정신분열증 케이스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정신분열증 케이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문헌고찰

Ⅱ.본론
-정신간호학 실습지침서 참고(김 명희 저)
1.간호사정
1) 일반적 정보
2) 현재병력
3) 발달력
4) 가족력
5) 현재상태
2. 사례개입

Ⅲ.결론
1. 제언
2. 참고문헌

본문내용

고 저를 병원에 입원시켰어요. 근데 정신분열증이 뭐예요?”
- 처음 정신분열증으로 입원하여 치료하였고, 퇴원 후 2차례 재 입원하였음.
간호진단
#1. 대상자 자신의 질환에 대한 인식 부족과 관련된 지식 부족
기대결과
단기: 대상자는 6월 25일까지 정신분열증이 무엇인지 말할 수 있다.
장기: 대상자는 퇴원 시 정신분열증이 자신의 질환이며, 자신에게 나타나는 증
상이 정신 분열증 증상임을 인지하게 된다.
간호중재
간호계획
이론적 근거
간호수행
1. 신뢰감을 형성한다.
2. 정신분열증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3. 정신분열증의 증상에 대해 나열할 수 있다.
4. 자신의 질환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신뢰감 형성은 대상자가 마음을 열고 치료적 지 지 역할을 기대하게 한다.
-자신의 질환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고, 자신이 그 병에 걸렸다는 것을 인식함으로써 효과적인 치료를 기대할 수 있다.
-신뢰를 촉진하는 분위기 를 만들기 위해 만날 때 마다 스킨 쉽과 진지하게 대상자의 말을 들어주고 적절한 eye contact를 하였다.
- 주 3회 정도 정신 분열증에 대해 설명하고, 증상에 대한 교육한다.
- 대상자 자신에게 나타나는 증상이 무엇인지 말하게 하고 정신분열증 증상과 비교하도록 하여 질환에 대해 인식 시켜준다.
간호평가
6월 30일 대상자는 정신 분열증이 무엇인지 설명하였다.
6월 30일 대상자는 아직까지 정신 분열증이 자신에 질환이라는 것을 인식하지 못하였다.
일시
2007.6.18-6.29(관찰) 사정일: 6월 20일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아버지와 작은 언니가 짜고 음식에 농약을 넣어서 저를 죽이려고 했어요.”
“농약이 섞인 음식을 먹어서 얼굴과 손이 부었어요.”
“작은 언니가 면회 올 때 김밥이랑 부침개를 사왔는데, 농약을 섞었을 까봐 안 먹었어요.”
면회 후 언니가 사온 음식을 버리는 모습.
손을 주무르며 붓기를 빼는 듯한 행동.
간호진단
#2. 가족이 음식에 농약을 넣었다는 생각과 관련된 음식 먹는 것에 대한 불안
기대결과
단기: 대상자는 6월 25일까지 작은언니와 함께 언니가 사온 음식을 먹을 수 있다.
장기: 대상자는 6월 30일까지 가족이 음식에 농약을 넣었다는 생각을 하지 않는다.
간호중재
간호계획
이론적 근거
간호수행
1. 가족과 신뢰감을 형성한다.
2. 가족과 함께 사온 음식을 먹는다.
-신뢰감 형성은 대상자가 마음을 열고 치료적 지 지 역할을 기대하게 한다.
-실제로 경험하고 관찰하는 것이 문제를 인지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신뢰를 촉진하는 분위기를 만들기 위해 만날 때 마다 스킨 쉽과 진지하게 대상자의 말을 들어주고 적절한 eye contact를 하였다.
- 가족과 함께 음식에 약이 있을 것 같은 음식을 먹음으로써 음식에 독이 없음을 확인 시킨다.
간호평가
6월 30일 현재 대상자는 가족이 사온 음식에 약이 들어 있다는 생각을 하지 않으나, 혼자 먹이려는 가족의 반응에 대하여 불쾌해하며, 음식을 먹지 않았다.
#2. 가족이 음식에 농약을 넣었다는 생각과 관련된 음식 먹는 것에 대한 불안
#3. 퇴원 후 투약에 대한 불이행 가능성
일시
2007.6.18-6.29(관찰) 사정일: 6월 20일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아버지와 작은언니가 짜고 저를 병원에 입원시켰어요.”
- 처음 정신분열증으로 입원하여 치료하였고, 퇴원 후 2차례 재 입원하였음.
- 퇴원 후에 약을 제대로 복용하지 않아서 증상이 발생하였다고 함.
간호진단
#3. 퇴원 후 투약에 대한 불이행 가능성
기대결과
단기: 대상자는 6월 30일까지 자신의 질환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장기: 대상자가 퇴원 후 자신의 질환을 치료하려면 약을 잘 먹어야 한다고 말 한다.
간호중재
간호계획
이론적 근거
간호수행
1. 정신분열증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정신분열증의 증상에 대해 나열할 수 있다.
3. 자신의 질환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4. 자신의 질환을 고치는 방법은 약을 제시간에 먹어야 한다고 말한다.
-자신의 질환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고, 자신이 그 병에 걸렸다는 것을 인식함으로써 효과적인 치료를 기대할 수 있다.
- 자신의 질환을 인식하고 치료 방법을 안다면 그 방법을 사용하여 치료하려는 의지가 생긴다.
- 주 3회 정도 정신 분열증에 대해 설명하고, 증상에 대한 교육한다.
- 대상자 자신에게 나타나는 증상이 무엇인지 말하게 하고 정신분열증 증상과 비교하도록 하여 질환에 대해 인식 시켜준다.
- 자신의 질환을 치료하기 위해서 들어가는 약물을 교육하고, 약물치료나 기타 정서적 치료를 해야하는 이유를 설명한다.
간호평가
6월 30일 대상자는 정신 분열증이 무엇인지 설명하였다.
6월 30일 대상자는 아직까지 정신 분열증이 자신에 질환이라는 것을 인식하지 못하였다.
6월 30일 대상자는 병원에서 주는 약이 자신의 질환을 치료하기 위해 먹는 약인 것은 알지만, 약 먹는 시간이라고 말하고, 대상자 이름을 불러야 약을 먹으러 나오는 경우가 종종 있었다.
Ⅲ. 결론
1. 제언
◈총 평가: 망상 증상 가진 양성증상의 정신분열증을 앓고 있는 김**님은 초등학교 때 음식에 농약이 섞였다고 발언한 후 중학교 때 처음 병원에 입원하였고, 그 후 2차례 재 입원하였다. 며칠 전까지 작은언니가 사온 음식에 약을 섞어 왔다고 말하며, 음식을 먹지 않고 버렸다고 한다. 현재 가족과 함께 음식을 먹도록 권유 하였으며, 특정 색이 있는 음식은 몸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는다고 인식 시켜주고 있다. 대상자에게 가장 필요한 것은 병식을 가지는 것이 중요한데, 정신분열증이 어떤 질환인지는 알고 있으나, 그 질환이 자신에게 어떻게 나타나는지 느끼지 못하고 있는 상태이다. 대상자가 병식을 가질 수 있다면 치료도 빠르게 될 것이고, 투약도 자신이 알아서 챙겨 먹을 수 있을 것이다. 대상자는 자신이 할 수 있는 일에 대해 종이에 적거나 간호사에게 말하며, 자신에 잘 할 수 있는지에 대해 질문 하였다. 위생상태는 비교적 양호한 편이다.
2. 참고문헌
이정숙 외, 정신건강간호학(Ⅰ), 현문사, 2002년
김명희, 정신간호학 실습지침서, 현문사, 2006년
WWW. druginfo.co.kr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09.02.04
  • 저작시기2007.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1750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