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경해부생리학] 소뇌와 기저핵[cerebellum & Basal Ganglia]에 관해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신경해부생리학] 소뇌와 기저핵[cerebellum & Basal Ganglia]에 관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소 뇌

o 운동기능 조절 중추
- 소뇌의 구조와 구성

o 소뇌의 기능
- 소뇌의 기능적 구분과 조정

○ 기 저 핵

o 기저핵의 구조
- 줄무늬체
- 흑색질
- 시상밑핵

o 기저핵의 기능
- 구심 신경로
- 원심 신경로
- 운동계로 가는 경로

o 기저핵의 운동장애
- 헌팅턴병
- 파킨슨병
- 기타 증상들

본문내용

피질에 출력을 보내어, 결과적으로 피라미드로(pyramidal tract)를 통해 척수와 뇌간의 하위운동신경원(LMN)에 영향을 주는 기능을 함.
②기저핵은 정상 상태에서 대뇌의 피질이나 다fms 여러 피질하구조에서 오는 수많은 다양한 입력을 받아 이를 적절하게 처리한 후 그 상황에 가장 알맞은 운동프로그램을 선택하는 기능을 한다고 할 수 있음.
◈ 기저핵의 운동장애
- 기저핵이 손상되면 불수의운동(dyskinesia)과 근기장도의 이상(disturbance of muscle tone)을 포함한 여러 가지 운동장애가 나타나며, 이는 운동불능-근경직 증후군(akinetic-rigid syndrome)과 이상운동증후군(dyskinetic syndrome)으로 크게 나누어짐.
운동감소(hypokinesia), 근경직(muscle rigidity), 휴지성 떨림(resting tremor)은 흑색질치밀부(SNc)의 도파민 함유 신경원이 손상되는 파킨슨증후군(Parkinson syndrome)의 주 증상이며, 여러 종류의 불수의적운동(involuntary movement)은 선조, 창백, 시상, 시상밑핵 등 여러 구조의 일부가 손상되었을 경우 나타날 수 있음.
발리즘(ballism, hemiballism)은 시상밑햇이 손상되었을 경우 나타남.
◇ 헌팅턴병(huntington's disease)
유전적 질환
줄무늬체, 특히 꼬리쪽 신경세포가 심한 퇴행성 변화를 보임
대뇌 겉질과 다른지역의 신경세포도 침범
비수의적인 무도증과, 기분과 인식기능의 장애가 복합적으로 나타남
서서히 운동 증상의 악화와 더불어 치매와 인격장애가 동받됨
◇ 파킨슨병(Parkinson's disease)
- 대개 떨림, 경축, 운동장애를 동반
휴지기 떨림(resting tremor)
알약을 굴리는 것과 같은 규칙적인 운동이 일어남
수의적 운동증에는 나타나지 않으며 감정적 스트레스에 증가함.
강직(rigidity)
모든 근육의 긴장도가 증가하여 나타남
반사에도 특별한 장애가 없음
관절을 굽히는 동안 저항이 증가했다가 감소했다가 하는 톱니바퀴성 경축(cog-wheel rigidity)을 보이기도 함.
운동완서(bradykinesia)
- 비정상적으로 운동이 느려짐
운동감소증(hypokinesia)
- 전체적으로 운동의 범위가 감소됨
운동불능증(akinesia)
- 마비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운동의 시작이 어렵거나 운동을 시작하는 빈도가 적어서 한 자세에서 다른 자세의 이행이 곤란한 경우
◇ 기타 증상들
무정위성운동증(athetosis)
- 사지의 원위부를 불규칙하게 뒤틀거나 꿈틀거리는 느린 운동으로 대부분 근경직이 동반되어 연속된 근경련(muscle spasm)의 형태로 나타남.
- 대부분 선조와 대뇌피질손상에 있으나 창백핵이나 시상의 병변으로 유발되는 경우도 있음
무도병(chorea)
- 의지와 상관없이 불수의 운동이 마치 목적이 있는 운동처럼 활기 있고 우아한 연속적인 동작으로 나타남.
- 대부분 무도병은 저긴장증이 동반(주로 사지의 원위부와 얼굴 표정근, 혀, 연하작용에 사용되는 인두와 후두근육등에서 잘 나타남.
- 류마트열(rheumatic fever)의 합병증으로 올 수 있는 시드넘 무도병(Sydenham's chorea)이나 유전적 질환인 헌팅튼병의 대표적 증상
- 병변은 선조와 대뇌피질
발리즘(ballism)
- 격렬하게 사지를 휘두르는 불수의 운동으로 상지대나 하지대등 사지의 근위부 근육의 강력한 운동으로 나타난다.
참고문헌 및 출처
- 김종만, 『신경해부생리학』정담, 2004
- http://blog.naver.com/angelnaby/40036880055
  • 가격1,8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3.07.05
  • 저작시기2008.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5566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