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안쪽을 향해 정렬하여 2중막으로 배열된다. 2중막을 형
성하는 인지질층은 막을 구성하는 단백질에 대한 용매 작용과 투과성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며 지질
중 일부는 특정 막 단백질과 특별한 상호 작용을 하여 그 기능에 영향을 준다. 막을 구성하는 단백
질 또한 친수성과 소수성을 모두 갖는다. 막을 구성하는 단백질은 연속적인 2중의 지질막 사이에
끼여 있는데 단백질 분자의 극성 부분은 막의 표면으로 돌출되어 있고 비극성 부분은 소수성을 띤
막의 내부에 매몰되어 있다. 막 단백질이 지질막에 위치하는 형태는 다양하여 지질막을 관통하고
있거나 분자 전체가 막 내부에 매몰되어 있는 것도 있고 일부만 밖으로 돌출되어 있는 것도 있다.
단백질의 돌출된 부분 표면에는 작은 당 사슬들이 뻗쳐 있다. 이러한 분자 배치에 의해 막 단백질
은 이온이나 저분자 물질을 통과 시킨다.
7. 참고문헌:
1) 강신성외 7명 생물과학 (아카데미서적, 1998) p.123-125
2) 김명원 외 생명과학 이론과 현상의 이해(제4판) (라이프 사이언스, 2004) p.68-70
3) 인터넷 백과사전 (http://biopedia.org, http://www.encyber.com)
성하는 인지질층은 막을 구성하는 단백질에 대한 용매 작용과 투과성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며 지질
중 일부는 특정 막 단백질과 특별한 상호 작용을 하여 그 기능에 영향을 준다. 막을 구성하는 단백
질 또한 친수성과 소수성을 모두 갖는다. 막을 구성하는 단백질은 연속적인 2중의 지질막 사이에
끼여 있는데 단백질 분자의 극성 부분은 막의 표면으로 돌출되어 있고 비극성 부분은 소수성을 띤
막의 내부에 매몰되어 있다. 막 단백질이 지질막에 위치하는 형태는 다양하여 지질막을 관통하고
있거나 분자 전체가 막 내부에 매몰되어 있는 것도 있고 일부만 밖으로 돌출되어 있는 것도 있다.
단백질의 돌출된 부분 표면에는 작은 당 사슬들이 뻗쳐 있다. 이러한 분자 배치에 의해 막 단백질
은 이온이나 저분자 물질을 통과 시킨다.
7. 참고문헌:
1) 강신성외 7명 생물과학 (아카데미서적, 1998) p.123-125
2) 김명원 외 생명과학 이론과 현상의 이해(제4판) (라이프 사이언스, 2004) p.68-70
3) 인터넷 백과사전 (http://biopedia.org, http://www.encyber.com)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