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PNP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에 연결되고 (+)단자가 컬렉터에 연결되었을 때 낮은 저항값을 표시하고 있다면 이 트랜지스터의 접합은?
(a) 순방향 바이어스되었다. (b) 역방향 바이어스되었다.
(c) 개방되었다. (d) 단락되었다.
⇒ Base 와 Collector 사이에 존재하는 다이오드에서 Collector 쪽의 P-type에 +단자가 연결되고 Base 쪽의 N-type에 -단자가 연결되게 되므로 결국 이 다이오드는 순방향 바이어스 즉, 단락되게 되는 것이다.
2. 어떤 NPN 트랜지스터의 베이스단자에 계측기의 (+)((-)단자로 바뀌어야 된다고 생각)가 연결되고 이미터에 (+)단자가 연결된 상태에서 무한대의 저항값을 표시하고 있다면 이 트랜지스터의 접합은?
(a) 순방향 바이어스되었다. (b) 역방향 바이어스되었다.
(c) 개방되었다. (d) 단락되었다.
⇒ Base 와 Emitter 사이에 존재하는 다이오드에서 Emitter 쪽의 N-type에 +단자가 연결되고 Base 쪽의 P-ttype에 -단자가 연결되게 되므로 결국 이 다이오드는 역방향 바이어스 즉, 개방되게 되는 것이다.
3. 어떤 NPN 트랜지스터의 베이스단자에 계측기의 (-)단자가 연결되고 컬렉터에 (+)단자가 연결된 상태에서 저항값을 0(∞의 높은 저항값으로 바뀌어야 된다고 생각)으로 표시하고 있다면 이 트랜지스터의 접합은?
(a) 순방향 바이어스되었다. (b) 역방향 바이어스되었다.
(c) 개방되었다. (d) 단락되었다.
⇒ Base 와 Collector 사이에 존재하는 다이오드에서 Collector 쪽의 N-type에 +단자가 연결되고 Base 쪽의 P-type에 -단자가 연결되게 되므로 결국 이 다이오드는 역방향 바이어스 즉, 개방되게 되는 것이다.
4. 어떤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에 계측기의 (+)단자가 연결되고 이미터 또는 컬렉터에 (-)단자가 연결된 상태에서 높은 저항값을 표시하고 있다면 이 트랜지스터는?
(a) 순방향 바이어스되었다. (b) 역방향 바이어스되었다.
(c) NPN 트랜지스터이다. (d) PNP 트랜지스터이다.
⇒ Base terminal에 +단자가 연결되고 Collector 또는 Emitter terminal에 -단자가 연결되었는데, 높은 저항값을 가진다고 했다. 이것은 두 단자 사이의 다이오드에서 역방향 바이어스가 되었다는 것을 의미하게 되는 것이고, 이것은 결국 PNP트랜지스터라는 것을 의미하게 되는 것이다.
(a) 순방향 바이어스되었다. (b) 역방향 바이어스되었다.
(c) 개방되었다. (d) 단락되었다.
⇒ Base 와 Collector 사이에 존재하는 다이오드에서 Collector 쪽의 P-type에 +단자가 연결되고 Base 쪽의 N-type에 -단자가 연결되게 되므로 결국 이 다이오드는 순방향 바이어스 즉, 단락되게 되는 것이다.
2. 어떤 NPN 트랜지스터의 베이스단자에 계측기의 (+)((-)단자로 바뀌어야 된다고 생각)가 연결되고 이미터에 (+)단자가 연결된 상태에서 무한대의 저항값을 표시하고 있다면 이 트랜지스터의 접합은?
(a) 순방향 바이어스되었다. (b) 역방향 바이어스되었다.
(c) 개방되었다. (d) 단락되었다.
⇒ Base 와 Emitter 사이에 존재하는 다이오드에서 Emitter 쪽의 N-type에 +단자가 연결되고 Base 쪽의 P-ttype에 -단자가 연결되게 되므로 결국 이 다이오드는 역방향 바이어스 즉, 개방되게 되는 것이다.
3. 어떤 NPN 트랜지스터의 베이스단자에 계측기의 (-)단자가 연결되고 컬렉터에 (+)단자가 연결된 상태에서 저항값을 0(∞의 높은 저항값으로 바뀌어야 된다고 생각)으로 표시하고 있다면 이 트랜지스터의 접합은?
(a) 순방향 바이어스되었다. (b) 역방향 바이어스되었다.
(c) 개방되었다. (d) 단락되었다.
⇒ Base 와 Collector 사이에 존재하는 다이오드에서 Collector 쪽의 N-type에 +단자가 연결되고 Base 쪽의 P-type에 -단자가 연결되게 되므로 결국 이 다이오드는 역방향 바이어스 즉, 개방되게 되는 것이다.
4. 어떤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에 계측기의 (+)단자가 연결되고 이미터 또는 컬렉터에 (-)단자가 연결된 상태에서 높은 저항값을 표시하고 있다면 이 트랜지스터는?
(a) 순방향 바이어스되었다. (b) 역방향 바이어스되었다.
(c) NPN 트랜지스터이다. (d) PNP 트랜지스터이다.
⇒ Base terminal에 +단자가 연결되고 Collector 또는 Emitter terminal에 -단자가 연결되었는데, 높은 저항값을 가진다고 했다. 이것은 두 단자 사이의 다이오드에서 역방향 바이어스가 되었다는 것을 의미하게 되는 것이고, 이것은 결국 PNP트랜지스터라는 것을 의미하게 되는 것이다.
추천자료
실험1 회로법칙의 확인과 계측기의 이해
정전류원과 전류-전압 변환회로 결과 보고서
테브닌과 노턴 등가회로_전압 및 전류의 측정
[일반물리학실험Ⅱ] 30장. 조화파의 합성 (결과레포트)
아주대학교 기초전기전자실험 과목
기초물리학 및 실험Ⅱ - 선팽창계수의 측정
전압 인가시 LED 발광 시점 측정
(결과) 휘트스톤브릿지
실험보고서 - AD변환 메카 실험
유도기전류 측정실험
전자기학 결과 보고서 - 옴(Ohm)의 법칙 : Ohm의 법칙으로 널리 알려진 세 변수(저항, 전압, ...
[전기회로 설계 및 실험] 전압, 전류계 사용법 : 전기량을 측정하기 위해, 시각적으로 표현하...
rc교류회로,전기공학 실험 사전보고서
등전위선과 전기장an electric field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