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콘크리트의 개요 및 굳지않는 콘크리트 정의 ------- P1
Ⅱ. 굳지않는 콘크리트의 정의와 물성 --------------- P2
Ⅲ. 굳지않는 콘크리트 물성의 필요성 --------------- P3
Ⅳ. 시멘트 및 콘크리트 제품의 예 ------------------ P4
Ⅴ. 레포트 작성 후기 ---------------------------- P6
Ⅱ. 굳지않는 콘크리트의 정의와 물성 --------------- P2
Ⅲ. 굳지않는 콘크리트 물성의 필요성 --------------- P3
Ⅳ. 시멘트 및 콘크리트 제품의 예 ------------------ P4
Ⅴ. 레포트 작성 후기 ---------------------------- P6
본문내용
튼월, PC담장, PC장식재
② pre - stressed concerte(PS콘크리트)
- 경화한 콘크리트재의 인장응축력에 인장변형을 준 철근을 콘크리트에 부착시켜 압축응력을 잠재 시킨 것
- pre-tension 공법, post-tension 공법
③ ALC제품(Autoclaved lightweight concrete)
- 기포 콘크리트 제품
- 용도 : 지붕 내·외벽, 바닥
- 제품형태 : 블록(현장가공 가능) 및 판넬형(철선 등 인입)
- 특성 : 경량성, 단열성, 시공성 우수, 내화성 우수, 차음성이 비교적 우수, 다공질이므로 흡수성이 큼
콘크리트 건축물 - 비트라가구 박물관
콘크리트 건축물 - Texas Strettohouse
노출콘크리트 건축물 - 한국 예술과학원
노출콘크리트 건축물 - 솔크생물학 연구소
Ⅴ. 레포트 작성 후기
잘못된 콘크리트 사용 및 타설에 의한 재료분리
잘못된 콘크리트 사용 및 타설에 의한 재료분리
이번 레포트를 작성하면서 그전에 배웠던 시멘트와 골재에 대하여 다시한번 복습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그리고 위의 사진과 같이 잘못된 콘트리의 사용과 타설이 얼마나 무서운 일을 가져 올 수 있는지 알게 되었습니다. 이 레포트를 작성하기 전까지는 굳지않는 콘크리트란 것을 알지도 못했습니다, 그러나 이번 레포트를 계기로 굳지않는 콘크리트에 대하여 많이 알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여러 가지 시멘트 제품, 콘크리트 제품들을 조사하면서 많이 알게 되었고 건축재료의 세계는 정말 넓고 무궁무진하다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또한 건축재료의 세계가 무궁무진하고 넓은 만큼 건물을 지을 때 건축재료의 선택이 얼마나 중요한지 새삼 느끼게 되었습니다. 건물을 튼튼하게 짓는것도 중요하지만 좋은 재료를 적재적소에 사용하여 활용성과 실용성 그리고 건물의 아름다움까지 함께 높일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예전에는 건물을 튼튼하게만 지으면 훌륭한 건축가 이였는지는 몰라도 지금은 튼튼한 건축물과 더물어 그 건축물의 미까지 추구할 수 있어야 정말 멋진 건축가 될 수 있다는 생각을 하였습니다. 재료학을 공부함으로써 튼튼한 건축물을 짓기위한 시멘트의 선택부터 치장마감재 까지 모두 공부할 수 있는 좋은 과목인거 같습니다. 지구상에 건물이 없어지지 않는 한 재료학은 계속 발전 할 것이고 재료학은 훌륭한 건축물을 만들기 위해 꼭 필요한 학문이란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앞으로 재료학에 대하여 공부를 더 열심히 해야겠습니다.
② pre - stressed concerte(PS콘크리트)
- 경화한 콘크리트재의 인장응축력에 인장변형을 준 철근을 콘크리트에 부착시켜 압축응력을 잠재 시킨 것
- pre-tension 공법, post-tension 공법
③ ALC제품(Autoclaved lightweight concrete)
- 기포 콘크리트 제품
- 용도 : 지붕 내·외벽, 바닥
- 제품형태 : 블록(현장가공 가능) 및 판넬형(철선 등 인입)
- 특성 : 경량성, 단열성, 시공성 우수, 내화성 우수, 차음성이 비교적 우수, 다공질이므로 흡수성이 큼
콘크리트 건축물 - 비트라가구 박물관
콘크리트 건축물 - Texas Strettohouse
노출콘크리트 건축물 - 한국 예술과학원
노출콘크리트 건축물 - 솔크생물학 연구소
Ⅴ. 레포트 작성 후기
잘못된 콘크리트 사용 및 타설에 의한 재료분리
잘못된 콘크리트 사용 및 타설에 의한 재료분리
이번 레포트를 작성하면서 그전에 배웠던 시멘트와 골재에 대하여 다시한번 복습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그리고 위의 사진과 같이 잘못된 콘트리의 사용과 타설이 얼마나 무서운 일을 가져 올 수 있는지 알게 되었습니다. 이 레포트를 작성하기 전까지는 굳지않는 콘크리트란 것을 알지도 못했습니다, 그러나 이번 레포트를 계기로 굳지않는 콘크리트에 대하여 많이 알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여러 가지 시멘트 제품, 콘크리트 제품들을 조사하면서 많이 알게 되었고 건축재료의 세계는 정말 넓고 무궁무진하다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또한 건축재료의 세계가 무궁무진하고 넓은 만큼 건물을 지을 때 건축재료의 선택이 얼마나 중요한지 새삼 느끼게 되었습니다. 건물을 튼튼하게 짓는것도 중요하지만 좋은 재료를 적재적소에 사용하여 활용성과 실용성 그리고 건물의 아름다움까지 함께 높일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예전에는 건물을 튼튼하게만 지으면 훌륭한 건축가 이였는지는 몰라도 지금은 튼튼한 건축물과 더물어 그 건축물의 미까지 추구할 수 있어야 정말 멋진 건축가 될 수 있다는 생각을 하였습니다. 재료학을 공부함으로써 튼튼한 건축물을 짓기위한 시멘트의 선택부터 치장마감재 까지 모두 공부할 수 있는 좋은 과목인거 같습니다. 지구상에 건물이 없어지지 않는 한 재료학은 계속 발전 할 것이고 재료학은 훌륭한 건축물을 만들기 위해 꼭 필요한 학문이란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앞으로 재료학에 대하여 공부를 더 열심히 해야겠습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