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임 플 란 트 이 론 REPORT
Implant supported prostheses occlusal consideration
고찰에 앞서서...
1. 자연치와 임플란트의 다른 점
2. 통상 받아들여지고 있는 임플란트 상부 구조물의 교합적인 고려사항
3. 자연 치아와의 차이를 고려한 임플란트 상부 구조물의 보철적 설계
4. 외과적인 접근의 한계 내에서 보철적 과부하를 줄여주는 방향으로의 상부구조물 설계
5. 임플란트 보철물 교합면의 조정
6. 임플란트 상부구조에 적용할 수 있는 증례별 교합개념
Implant supported prostheses occlusal consideration
고찰에 앞서서...
1. 자연치와 임플란트의 다른 점
2. 통상 받아들여지고 있는 임플란트 상부 구조물의 교합적인 고려사항
3. 자연 치아와의 차이를 고려한 임플란트 상부 구조물의 보철적 설계
4. 외과적인 접근의 한계 내에서 보철적 과부하를 줄여주는 방향으로의 상부구조물 설계
5. 임플란트 보철물 교합면의 조정
6. 임플란트 상부구조에 적용할 수 있는 증례별 교합개념
본문내용
미적인 면에서 그대로 유지하는 것이 좋으며 대신 최대 풍융
부에서 교두 첨부까지 줄여 주는 방법이 추천된다.
6. 임플란트 상부구조에 적용할 수 있는 증례별 교합개념
① Full arch fixed prosthesis
대합치아가 RPD 또는 full denture일 경우에는 bilateral balanced occlusion을 형성하도록
하며 대합 치아가 자연치아일 경우에는 mutually protected occlusion 또는 group function을
형성해준다. Cantilever 연장 부위를 갖는 부위에서는 centric 상태에서 가벼운 접촉을 갖
고 작업측과 비 작업측 모두에서 접촉이 없도록 해야 한다.
② Overdenture
Bilateral balanced occlusion을 형성해 주어야 하며, 대합 치아가 자연 치아나 implant
상부 구조물일 경우 overdenure의 인공치 마모 현상에 대한 교합붕괴 여부를 주기적 검사
를 통해 check하여야 한다.
③ Posterior fixed prosthesis
대부분 하악 운동에 의한 유도로 형성은 자연 치아상에서 이루어지도록 하며 견치 유도
형성을 하지 못하는 경우는 group function으로 해 줄 수 있다. Centric occlusion시 접촉점
의 수를 줄이고 가능한 한 사면에서 접촉되는 것을 제거한다. Cantilever force를 줄이기
위해 상부 구조물의 교합면 면적은 대합치와의 교합 관계를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줄
여주도록 하고 교두 경사각은 완만하게 형성해 준다.
④ Single implant prosthesis
자연 치아 상에 전방 운동과 측방 운동의 유도로를 형성해 주고 임플란트에 유해한 힘
이 가해지지 않도록 delayed occlusion을 부여하도록 한다. 즉, 약한 교합력에서는 인접
치아에서 접촉이 되고 강한 교합력에서는 임플란트에 약한 접촉이 되도록 한다.
⑤ Poor quality of bone / Grafted bone
골유착 기간을 충분히 하여 치유 기간을 연장시키고 음식물의 섭취에서부터 최종 상부
구조물을 제작할 때까지 점진적인 부하를 가하도록 한다. 즉, 맨 처음에는 acrylic resin
등을 이용하여 provisional restoration을 제작하고 교합이 덜 되록 한 다음 일정 기간이
지나면 교합 접촉이 되도록 하여 처음부터 무리한 교합압이 가해지지 않도록 한다.
부에서 교두 첨부까지 줄여 주는 방법이 추천된다.
6. 임플란트 상부구조에 적용할 수 있는 증례별 교합개념
① Full arch fixed prosthesis
대합치아가 RPD 또는 full denture일 경우에는 bilateral balanced occlusion을 형성하도록
하며 대합 치아가 자연치아일 경우에는 mutually protected occlusion 또는 group function을
형성해준다. Cantilever 연장 부위를 갖는 부위에서는 centric 상태에서 가벼운 접촉을 갖
고 작업측과 비 작업측 모두에서 접촉이 없도록 해야 한다.
② Overdenture
Bilateral balanced occlusion을 형성해 주어야 하며, 대합 치아가 자연 치아나 implant
상부 구조물일 경우 overdenure의 인공치 마모 현상에 대한 교합붕괴 여부를 주기적 검사
를 통해 check하여야 한다.
③ Posterior fixed prosthesis
대부분 하악 운동에 의한 유도로 형성은 자연 치아상에서 이루어지도록 하며 견치 유도
형성을 하지 못하는 경우는 group function으로 해 줄 수 있다. Centric occlusion시 접촉점
의 수를 줄이고 가능한 한 사면에서 접촉되는 것을 제거한다. Cantilever force를 줄이기
위해 상부 구조물의 교합면 면적은 대합치와의 교합 관계를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줄
여주도록 하고 교두 경사각은 완만하게 형성해 준다.
④ Single implant prosthesis
자연 치아 상에 전방 운동과 측방 운동의 유도로를 형성해 주고 임플란트에 유해한 힘
이 가해지지 않도록 delayed occlusion을 부여하도록 한다. 즉, 약한 교합력에서는 인접
치아에서 접촉이 되고 강한 교합력에서는 임플란트에 약한 접촉이 되도록 한다.
⑤ Poor quality of bone / Grafted bone
골유착 기간을 충분히 하여 치유 기간을 연장시키고 음식물의 섭취에서부터 최종 상부
구조물을 제작할 때까지 점진적인 부하를 가하도록 한다. 즉, 맨 처음에는 acrylic resin
등을 이용하여 provisional restoration을 제작하고 교합이 덜 되록 한 다음 일정 기간이
지나면 교합 접촉이 되도록 하여 처음부터 무리한 교합압이 가해지지 않도록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