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소량의 CCl4액체가 담긴 유리구를 넣고 무게(C)를 측정한다.
⑤ (C-B) 통해서 CCl4의 무게를 계산한다.
⑥ 기체 뷰렛의 현재 부피(V1)를 측정한다.
⑦ Victor Meyer 장치에 유리구을 깨뜨려 넣고 재빨리 마개로 막는다.
⑧ 기체 뷰렛의 나중 부피(V2)를 측정한다.
⑨ (V1-V2) 통해서 CCl4액체의 기화에 따른 부피 변화(△V)를 계산한다.
⑩ 이상 기체 상태 방정식을 사용하여 CCl4의 분자량을 측정한다.
『실험결과』
【측정결과】
1차
2차
3차
비커
무게(A)
64.969
비커+유리구
무게(B)
65.546 g
65.450 g
65.635 g
유리구
무게(B-A)
0.577 g
0.481 g
0.667 g
비커+유리구+CCl4
무게(C)
65.764 g
65.687 g
65.822 g
CCl4
무게(C-B)
0.218 g
0.237 g
0.187 g
이론적으로 예상되는
CCl4 기체의 부피
41.24 ml
44.23 ml
34.89 ml
실제 측정된
CCl4 기체의 부피
37.25 ml
39.86 ml
29.61 ml
【계산결과】
『논의 및 고찰』
이번 실험시간은 여러 실험의 이론 수업을 다 들은 터라 원활하게 시험을 시작할 수 있었다. 이번에는 빅터 마이법 법을 포함해서 다른 실험은 하였는데 빅터 마이어 법은 실험과정은 간단하나 기다리는 시간이 많은 터라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점이 힘들어 가장 처음 설치하려 했으나 많은 조의 선택으로 조금 기다리고 뒷부분에 여유롭게 해 나갈 수 있었다. 빅터 메이법 실험은 앞 조에서 실험 기구 설치를 모두 해 놓아서 바로 실험에 임할 수 있었는데 가장 힘들었던 점은 조그마한 유리공에 소량의 CCl4 를 담는 것이 가장 힘든 점이었다. 여기서의 문제는 소량의 CCl4를 담지 못하면 기화 후 기체의 부피가 너무 커지기 때문에 설치된 장치로는 측정이 불가했기 때문이다. 그래서 소량(0.35g 이하)의 CCl4를 담는 것이 이번 실험에서의 가장 힘든 점이었다. 우선 유리구를 조금 가열하여 유리구 속의 기압을 낮추고 유리구 입구를 CCl4액체에 넣어 압력차에 의해서 빨려 들어가는 방식으로 원하는 양의 CCl4를 유리구에 담을 수 있었다. 또 오차를 생각해 주어야 하는데 유리구를 가열할 때 생긴 그을음이 실험에 오차를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유리구 주위의 그을음을 깨끗이 제거해주는 것이다. 유리구가 너무 작아서 손이 큰 나로선 굉장히 힘든 일이었고 유리구는 깨지기도 쉬우므로 아주 조심하면서 실험을 해나갔다. 다행스럽게도 이번 실험에서 먼저 실험한 다른 조원이 실험과정과 실수 할 수 있는 부분을 체크해주고 도와주었기 때문에 실수 없이 조금의 오차는 있었으나 나름 만족스럽게 실험을 끝낼 수 있었다.
『참고문헌』
물리화학 RAYMOND CHANG 형설출판사
물리화학 제3판 CASTELLAN 희중당
물리화학 이재원 녹문당
물리화학실험대한화학회청문당1999
물리화학실험최재시 외 2명형설출판사1983
물리화학실험이익춘 외 2명탐구당1992
물리화학실험김성규 외 22명대한화학회1999
⑤ (C-B) 통해서 CCl4의 무게를 계산한다.
⑥ 기체 뷰렛의 현재 부피(V1)를 측정한다.
⑦ Victor Meyer 장치에 유리구을 깨뜨려 넣고 재빨리 마개로 막는다.
⑧ 기체 뷰렛의 나중 부피(V2)를 측정한다.
⑨ (V1-V2) 통해서 CCl4액체의 기화에 따른 부피 변화(△V)를 계산한다.
⑩ 이상 기체 상태 방정식을 사용하여 CCl4의 분자량을 측정한다.
『실험결과』
【측정결과】
1차
2차
3차
비커
무게(A)
64.969
비커+유리구
무게(B)
65.546 g
65.450 g
65.635 g
유리구
무게(B-A)
0.577 g
0.481 g
0.667 g
비커+유리구+CCl4
무게(C)
65.764 g
65.687 g
65.822 g
CCl4
무게(C-B)
0.218 g
0.237 g
0.187 g
이론적으로 예상되는
CCl4 기체의 부피
41.24 ml
44.23 ml
34.89 ml
실제 측정된
CCl4 기체의 부피
37.25 ml
39.86 ml
29.61 ml
【계산결과】
『논의 및 고찰』
이번 실험시간은 여러 실험의 이론 수업을 다 들은 터라 원활하게 시험을 시작할 수 있었다. 이번에는 빅터 마이법 법을 포함해서 다른 실험은 하였는데 빅터 마이어 법은 실험과정은 간단하나 기다리는 시간이 많은 터라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점이 힘들어 가장 처음 설치하려 했으나 많은 조의 선택으로 조금 기다리고 뒷부분에 여유롭게 해 나갈 수 있었다. 빅터 메이법 실험은 앞 조에서 실험 기구 설치를 모두 해 놓아서 바로 실험에 임할 수 있었는데 가장 힘들었던 점은 조그마한 유리공에 소량의 CCl4 를 담는 것이 가장 힘든 점이었다. 여기서의 문제는 소량의 CCl4를 담지 못하면 기화 후 기체의 부피가 너무 커지기 때문에 설치된 장치로는 측정이 불가했기 때문이다. 그래서 소량(0.35g 이하)의 CCl4를 담는 것이 이번 실험에서의 가장 힘든 점이었다. 우선 유리구를 조금 가열하여 유리구 속의 기압을 낮추고 유리구 입구를 CCl4액체에 넣어 압력차에 의해서 빨려 들어가는 방식으로 원하는 양의 CCl4를 유리구에 담을 수 있었다. 또 오차를 생각해 주어야 하는데 유리구를 가열할 때 생긴 그을음이 실험에 오차를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유리구 주위의 그을음을 깨끗이 제거해주는 것이다. 유리구가 너무 작아서 손이 큰 나로선 굉장히 힘든 일이었고 유리구는 깨지기도 쉬우므로 아주 조심하면서 실험을 해나갔다. 다행스럽게도 이번 실험에서 먼저 실험한 다른 조원이 실험과정과 실수 할 수 있는 부분을 체크해주고 도와주었기 때문에 실수 없이 조금의 오차는 있었으나 나름 만족스럽게 실험을 끝낼 수 있었다.
『참고문헌』
물리화학 RAYMOND CHANG 형설출판사
물리화학 제3판 CASTELLAN 희중당
물리화학 이재원 녹문당
물리화학실험대한화학회청문당1999
물리화학실험최재시 외 2명형설출판사1983
물리화학실험이익춘 외 2명탐구당1992
물리화학실험김성규 외 22명대한화학회1999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