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고 고주파코일에는 IFT(Intermediate Frequency Transformer), OSC(발진코일), ANT코일 동조 코일 등이 있다.
커패시터가 전기를 저장하기 위해 전하(electric charge)를 사용한다면 인덕터는 자기를 저장하기 위해 전류(electric current)를 사용한다. [그림 1]과 같은 회로에 전류가 흐르면 비오-사바르의 법칙(Biot-Savart's law)에 의해 자기장이 생기게 된다. 이 자기장은 전류만 계속 흐른다면 [그림 1]과 같은 인덕터에 저장된다.
[그림 1]
[그림 2]
여기서 Φ는 자속(magnetic flux), L은 인덕턴스(inductance), I는 전류(electric current)이다. 자속의 단위는 베버(Weber) [Wb]이며 인덕턴스의 단위는 헨리(Henry) [H]이다.
인덕터가 자기장을 계속 가두어 두기 위해서는 [그림 1]의 구조를 단락(短絡, short)시켜 전류가 계속 흐르게 해야 한다. 현실적으로 모든 도선은 저항(resistance)를 가지기(or 전도도(conductivity)가 무한대가 아니기) 때문에 자기장을 계속 가두는 것은 불가능하다.
하지만, [그림 2]와 같은 커패시터는 전기장을 오랫동안 가둘 수 있다. 커패시터는 극성이 다른 전하를 쿨롱의 법칙(Coulomb's law)으로 서로 잡아당기게 해서 모으는 소자이기 때문에 도선을 개방(開放, open)시켜 전하가 움직이지 못하게 해야 한다. 도선을 개방한다는 것은 전류를 흘리지 못한다는 뜻이므로 단순하게 도선을 공기중에 열어놓아도 개방회로 역할을 한다. 이런 특성을 이용하면 커패시터를 충전시켜 DC 전압원(voltage source) 혹은 배터리(battery)가 되게 할 수 있다. 하지만, 인덕터를 이용해 DC 전류원(current source)을 만드는 것은 매우 어렵다. 그래서 회로이론 시간에는 DC 전압원과 전류원을 배우지만 실제 실험에서는 DC 전압원만 볼 수 있다
출처
http://terms.naver.com/entry.nhn?cid=2904&docId=1620398&mobile&categoryId=2904
http://blog.daum.net/leegy5503/18292320
http://forum.falinux.com/zbxe/index.php?document_srl=553356&mid=lecture_tip
다음, 네이버 블로그 및 백과사전 참조
커패시터가 전기를 저장하기 위해 전하(electric charge)를 사용한다면 인덕터는 자기를 저장하기 위해 전류(electric current)를 사용한다. [그림 1]과 같은 회로에 전류가 흐르면 비오-사바르의 법칙(Biot-Savart's law)에 의해 자기장이 생기게 된다. 이 자기장은 전류만 계속 흐른다면 [그림 1]과 같은 인덕터에 저장된다.
[그림 1]
[그림 2]
여기서 Φ는 자속(magnetic flux), L은 인덕턴스(inductance), I는 전류(electric current)이다. 자속의 단위는 베버(Weber) [Wb]이며 인덕턴스의 단위는 헨리(Henry) [H]이다.
인덕터가 자기장을 계속 가두어 두기 위해서는 [그림 1]의 구조를 단락(短絡, short)시켜 전류가 계속 흐르게 해야 한다. 현실적으로 모든 도선은 저항(resistance)를 가지기(or 전도도(conductivity)가 무한대가 아니기) 때문에 자기장을 계속 가두는 것은 불가능하다.
하지만, [그림 2]와 같은 커패시터는 전기장을 오랫동안 가둘 수 있다. 커패시터는 극성이 다른 전하를 쿨롱의 법칙(Coulomb's law)으로 서로 잡아당기게 해서 모으는 소자이기 때문에 도선을 개방(開放, open)시켜 전하가 움직이지 못하게 해야 한다. 도선을 개방한다는 것은 전류를 흘리지 못한다는 뜻이므로 단순하게 도선을 공기중에 열어놓아도 개방회로 역할을 한다. 이런 특성을 이용하면 커패시터를 충전시켜 DC 전압원(voltage source) 혹은 배터리(battery)가 되게 할 수 있다. 하지만, 인덕터를 이용해 DC 전류원(current source)을 만드는 것은 매우 어렵다. 그래서 회로이론 시간에는 DC 전압원과 전류원을 배우지만 실제 실험에서는 DC 전압원만 볼 수 있다
출처
http://terms.naver.com/entry.nhn?cid=2904&docId=1620398&mobile&categoryId=2904
http://blog.daum.net/leegy5503/18292320
http://forum.falinux.com/zbxe/index.php?document_srl=553356&mid=lecture_tip
다음, 네이버 블로그 및 백과사전 참조
추천자료
인터넷에서의 표현의 자유에 관한 연구
익명성이라는 가면 뒤에서 표현의 자유는 과연 인정되어야 하는가
[법철학] 표현의 자유에 대해서
정보화시대, 개인의 자유에 대하여(시놉티콘, 파놉티콘)
한,중,일 인터넷 자유무역지대의 구축방안
[정치철학]매킨타이어의 자유주의와 공동체주의적 정치이론
칼빈에 나타난 자유
[경제학] 신자유주의의 발생배경과 문제점
[헌법]예술의 자유
eUCP 제5조의 제시와 자유매입신용장의 사용가능성에 관한 연구
일반물리학 - 자유낙하 실험
[독후감] ‘비판적 교육학과 공교육의 미래 : 신자유주의 교육개혁을 재검토한다’를 읽고 _ 마...
미국발 금융위기와 신자유주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