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산성이 강하고, 농도가 낮아질수록 산의 차이에 따른 pH의 차이가 작아진다. 이제 강산에서 일어나고 있는 산-해리 평형의 상황을 생각해보면 HA→H++A-에서 HA가 H+와 A-로 해리하는 정반응이 아주 많이 일어나고 H+와 A-이 HA로 재결합하는 역반응은 아주 적게 일어난다. 포름산은 이 3가지산중에 가장 약산으로 다른 산에 비해 H+와 A-가 HA로 재결합하는 역반응이 상당히 일어난다. 하나의 산에서 다른 농도를 가질 때의 평형 상황을 생각해보면 농도가 낮으면 해리하는 양이 더 적으므로 pH가 높게 된다.
%해리도는 A용액에서나 B용액에서나 농도가 낮아지면서 점점 높아졌다가 0.0001M이 되면 다시 낮아지는 양상을 보인다. 그리고 A용액보다 B용액의 %해리도가 훨씬 높은데 이는 B용액(인산)이 A용액(포름산)보다 강산이기 때문이다.
만약 정확한 실험을 했다면 Ka는 온도가 일정하면 농도가 변해도 일정하므로 A용액에서 농도에 따라 구한 Ka와 pKa가 똑같을 것이고 B용액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4. Reference
① Principles of Modern Chemistry, 5/ed., Oxtoby Gillis Nachtrieb, p. 323.
%해리도는 A용액에서나 B용액에서나 농도가 낮아지면서 점점 높아졌다가 0.0001M이 되면 다시 낮아지는 양상을 보인다. 그리고 A용액보다 B용액의 %해리도가 훨씬 높은데 이는 B용액(인산)이 A용액(포름산)보다 강산이기 때문이다.
만약 정확한 실험을 했다면 Ka는 온도가 일정하면 농도가 변해도 일정하므로 A용액에서 농도에 따라 구한 Ka와 pKa가 똑같을 것이고 B용액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4. Reference
① Principles of Modern Chemistry, 5/ed., Oxtoby Gillis Nachtrieb, p. 323.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