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유소재] 직물의 삼원조직에 대해서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서론

Ⅱ. 본론
 1.평직
  (1)평직의 정의
  (2)평직의 특징
  (3)평직의 종류
 2.능직
  (1)능직의 정의
  (2)능직의 특징
  (3)능직의 종류
 3.주자직
  (1)주자직의 정의
  (2)주자직의 특징
  (3)주자직의 종류
 4.기타직물

Ⅲ. 결론

※참고문헌, 사이트

본문내용

가공, 예를 들면 crimpe가공 화 학처리, 엠보싱 가공 등으로도 얻을 수 있다.
■무게 및 용도
가벼운 것이 보통이나 무거운 것도 있다. 원피스, 블라우스, 수트, 홈웨어, 커튼에 쓰인다.
■이름의 유래
프랑스어로 ‘creper’는 오그라들게 하다 곱슬거리게 하다는 의미가 있다.
브로드케이드(BROCADE)
브로케이드는 금속사가 섞인 필라멘트사나 스펀사를 사용한다. 자카드직이며, 섬세하고 복잡한 무늬직으로 자수과 같은 입체효과가 있다. 이런 직물들은 이면에 부사가 많기 때문에 양면으로 쓸 수는 없다.
■이름의 유래
라틴어 brocare는 형태를 나타낸다는 뜻이다.
■무게 및 용도
무거운 편으로 브로케이드는 정장류와 액세서리에 많이 쓰이며 커튼이나 가구용으로 쓰인다.
■유사한 직물
-brocatelle: 더 무겁고 다양한 섬유를 사용한다. 단단하고 복합적인 구조를 지니고 있으며 무늬가 도드라져 윤곽선을 나타내거나 패딩이 된 듯한 입체효과를 준다.
다마스크(DAMASK)
경사, 위사 모두 실의 상태에서 실켓 가공을 해 견과 같은 광택을 준 후 직 조한다. 바탕 조직은 경주자, 무늬 부분은 위주자이기 때문에 바탕과 무늬 부 분의 광선을 반사하는 강도가 달라 무늬가 선명하게 나타난다. 직물은 안팎 을 모두 사용할 수 있으며 한쪽 면에 광택이 나타나면 다른 편은 무광이다. 2가지 색을 쓰면 안과 밖이 다른 색상이 되어 reversible하다. 자카드직으 로 번져 나가는듯한 큰 무늬가 특징이다.
■이름의 유래
중국으로부터 건너온 견직물의 교역로에 위치한 시리아의 다마스커스로부터 유래하였다. 15세기부터 특히 북부 유럽에서 실크다마스크를 흉내 낸 리넨 다마스크가가 만들어졌다.
■무게 및 용도
무겁다. 고급품은 매우 촘촘하다. 이브닝 웨어, 스카프 등 목에 두루는 액세서리류, 식탁용 직물, 커튼, 가구류, 침구류, 타월, 오늘날에는 식탁용 직물로 더 익숙하다.
시어서커(SEERSUCKER)
대칭 평직구조, 길이방향으로 올록볼록하거나 주름이 지는 면과 평탄한 면이 교대로 나타나서 줄무늬를 만든다. 올록볼록한 효과는 부분적으로 날실에 장 력을 약하게 하여 씨실이 뜨면서 생긴다. 단색, check, plaid 등 선염이 많 다. 면에 화학 약품을 프린트해서 같은 효과를 얻을 수도 있으나 약하다.
■이름의 유래
페르시아어에서 왔으며, 우유와 설탕이라는 뜻으로 매끈한 실과 주름진 실이 교대되어 줄무늬를 만드는 것을 뜻한다.
■무게 및 용도
직물 자체가 주름이 져 있기 때문에 다림질이 필요 없다. 여름용 의복으로 적당하며 가벼운 것과 무거운 것이 있다. 가벼운 것은 원피스, 운동복, 여름용 잠옷, 무거운 것은 여름용 수트, 침대보, 커튼으로 쓰인다.
■유사한 직물
-plisse: 화학 처리한 주름 효과
코듀로이(CORDUROY)
한 세트의 날실과 씨실을 사용하여 바닥천을 대칭 평직구조로 짠다. 고급품 은 ‘genoa back’이라고 불리는 능직구조이다. 여분의 씨실이 비스듬히 떠서 수직의 선을 만든다. 이 상태의 자르지 않은 코듀로이는 뻣뻣하고 과거에는 fustian이라고 불렀다. 17세기 프랑스에서 뜨는 실을 자르고 솔질하여 수직 의 골이 생기는 직물로 만들었는데 이것이 코듀로이의 특성이다.
■이름의 유래
17, 18세기 궁중에서 남자 하인들의 제복 등으로 쓰이던 튼튼한 직물이다. 영어로는 fustane 혹은 fustyan으로 불렸으며 라틴의 막대기를 뜻한다. 보풀을 세우기 위해 막대기로 때려서 마감처리를 하였다.
■무게 및 용도
무거운 편이나 feather과 pinwale는 아주 가벼운 편이다. 매우 다양한 용도를 지니고 있으며 여성복, 남성복, 아동복 등에 쓰이고 원피스, 바지, 수트, 재킷, 스포츠웨어, 레저웨어, 노동복, 코트 등 어패럴뿐 아니라 액서세리와 카튼이나 가구류 등 인테리어 직물로도 쓰인다. 부사를 자르지 않고 스포츠웨어나 가구용 직물로 쓰이기도 한다.
■유사한 직물
-moleskin, beaverteen: fustian과 유사하다.
도비(DOBBY)
직조방법의 이름으로 매우 복잡한 조직을 만들어 낼 수 있는 dobby harness control로 짜여 있다. 자카드와는 달리 비교적 크기가 작고 모서리가 각진 무늬를 만든다.
■DOBBY직 OPEN WORK효과
dobby직을 이용하여 실의 간격을 조절하면 부분적으로 기하학적인 구멍을 만들 수 있다. 이를 이용한 직물로는 mock leno, natte look등이 있다.
옥스퍼드지(OXFORD CLOTH)
보통 2*1 바스켓직으로 날실에 얇은 실을 2겹으로 쓰고 씨실은 날실보다 꼬 임이 적고 더 두꺼운 실을 쓴다.
■이름의 유래
스코틀랜드에서 만들어진 셔츠용 직물 중 하나로 유명한 대학의 이름을 붙였거나 혹은 단순히 옥스퍼드 대학생들 사이에서 인기를 얻었기 때문에 불린 이름으로 추정된다.
■무게 및 용도
가벼운 셔츠용 직물, 원피스나 운동복, 잠옷, 기공이 많은 바스켓 조직과 부드러운 끝처리로 특별한 가공 없이도 다림질이 필요 없는 편안한 정장용 셔츠로 쓰인다.
■유사한 직물
-oxford chambray: 날실은 염색이 되어 있고 씨실은 염색이 되어 있지 않다.
벨벳(VELVET)
한 쌍의 TL실과 날실이 능직이나 평직으로 바닥천을 짜고 여벌의 날실이 파 일을 만든다. 오늘날 대부분의 벨벳은 이중직을 갈라서 실의 절단면이 표면 에 나오게 된다. 표면에 변화를 주기 위해서 over-wire식이 쓰이는데 이것 은 파일을 세워서 다양한 길이로 자르거나 고리를 남기거나 하여 텍스쳐를 주는 것이다. 벨벳은 누름가공이나 올록볼록 가공을 하기도 한다.
■무게 및 용도
일반적으로 무겁다. 무게에 따라 원피스, 수트, 코트, 신발, 모자, 정장 의류의 장식, 커튼 가구 등에 쓰인다.
Ⅲ. 결론
※참고자료
이순재 김미순, 디자이너를 위한 섬유소재
http://blog.daum.net/upholstery
http://blog.naver.com/nuthingco?Redirect=Log&logNo=20157918
http://www.syglobal.com/bbs/board/b_read.asp?b_code=771&no=2159&page=8
  • 가격2,3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13.07.09
  • 저작시기2007.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5641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