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들어진다는 것은 이미 아는 사실이긴 하지만 같은 양의 Ag+와 Cl-을 반응시킬 경우 상당히 미량의 이온만이 용액 속에 남아있을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이것의 농도를 직접 측정하여 이온화 상수를 구한다는 것은 상당히 정밀한 실험이 필요시 된다. Ag+의 반응 후 농도는 네른스트 식에 의해 구할 수 있었다. 그리고 KCl용액의 농도를 통해 Cl-의 농도도 구할 수 있었다. 하지만 이를 통해 구한 이온화 상수도 오차가 있었다. 다른 변수로는 계산 식 속의 로그를 생각해 볼 수 있다. 측정값이 조금만 달라져도 로그가 포함된 식의 값은 큰변화를 보일 수 있다. 이런 이유들로 인해 이론값에 가까운 값을 구하는 것이 힘들었다. 또한 다른 오차의 원인으로는 부피, 질량을 재고 시약을 만드는 과정상의 오차를 들 수 있다. 이는 실험자들의 직접적인 측정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주의가 요구된다.
첫 번째 실험에서는 양전극의 이온농도에 대한 음전극의 이온농도의 비율이 작을수록 즉 네른스트 식에서 로그 안의 숫자가 작을수록 더 큰 기전력을 얻을 수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 두 번째 실험에서는 물에 녹기 어려운 염일수록 용액 속에 남아있는 이온의 농도가 작기 때문에 이온화 상수도 작은 값이 나온다는 결론을 얻었다.
5.Reference
http://147.46.41.146/~chemlab/exp/exp6.htm
두산동아 하이탑 화학 ∥
Principles of Modern Chemistry
6.조교시범의 결과
시료
증류수
설탕
설탕물
소금
소금물
오렌지쥬스
관찰사실
안들어온다
안들어온다
안들어온다
안들어온다
꽤 밝다
아주 밝다
첫 번째 실험에서는 양전극의 이온농도에 대한 음전극의 이온농도의 비율이 작을수록 즉 네른스트 식에서 로그 안의 숫자가 작을수록 더 큰 기전력을 얻을 수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 두 번째 실험에서는 물에 녹기 어려운 염일수록 용액 속에 남아있는 이온의 농도가 작기 때문에 이온화 상수도 작은 값이 나온다는 결론을 얻었다.
5.Reference
http://147.46.41.146/~chemlab/exp/exp6.htm
두산동아 하이탑 화학 ∥
Principles of Modern Chemistry
6.조교시범의 결과
시료
증류수
설탕
설탕물
소금
소금물
오렌지쥬스
관찰사실
안들어온다
안들어온다
안들어온다
안들어온다
꽤 밝다
아주 밝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