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기체상태로도 존재한다.) 이것을 그대로 측정한 무게는 산화마그네슘과 질화마그네슘 혼합물의 질량이므로 Mg과 O의 반응 몰수의 비를 제대로 구할 수 없다.
따라서 도가니를 실온으로 냉각시킨 다음 물을 넣어주어 흰 가루를 모두 적셔준다. 물을 넣어주는 것은 질화마그네슘이 물과 격렬하게 반응하므로 산화마그네슘만 남게 하여 결합하는 마그네슘과 몰수의 비를 알아보기 위해서이다. NH3는 기체상태이므로 날아간다.
Mg3N2(s) + 3H2O(l) → 2NH3(g) + 3MgO(s)
그 다음 도가니를 다시 가열하는 것은 넣어준 물을 모두 없애서 산화마그네슘만의 무게를 측정하기 위해서이다.
4.Reference
http://147.46.41.146/~chemlab/exp/exp2-1.htm : 일반화학 실험 사이트
따라서 도가니를 실온으로 냉각시킨 다음 물을 넣어주어 흰 가루를 모두 적셔준다. 물을 넣어주는 것은 질화마그네슘이 물과 격렬하게 반응하므로 산화마그네슘만 남게 하여 결합하는 마그네슘과 몰수의 비를 알아보기 위해서이다. NH3는 기체상태이므로 날아간다.
Mg3N2(s) + 3H2O(l) → 2NH3(g) + 3MgO(s)
그 다음 도가니를 다시 가열하는 것은 넣어준 물을 모두 없애서 산화마그네슘만의 무게를 측정하기 위해서이다.
4.Reference
http://147.46.41.146/~chemlab/exp/exp2-1.htm : 일반화학 실험 사이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