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건강론 - 방어기제에 관해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정신건강론 - 방어기제에 관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억나지 않는 것을 말한다.
27) 합일화(Incorporation)
합일화란 ‘자기’와 ‘자기가 아닌 것’을 전혀 분별하지 못하는 영아기에 일어나는 동일시를 뜻한다. 외계에 있는 대상을 상징적으로 입으로 삼켜 동화하여 자아의 형태를 변형 없이 그대로 자아의 구조 속으로 들어오게 하는 원시적인 방법의 동일시이다.
예) 갓난아이는 어머니가 웃으면 자기가 웃는 줄 알고 자기가 좋아하는 줄 아는 상태.
28) 내면화 또는 함입(Introjection)
함입이란 ‘자기’와 ‘자기가 아닌 것’ 정도를 구별하는 시기에 일어나는 동일시를 말한다. 애증과 같은 강한 감정을 직접적으로 표현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다른 사람을 자기로 간주하는 경우가 이에 해당된다. 우울증에서 흔히 발견되며, 투사와 반대되는 개념이다.
예) 어머니를 미워하는 감정을 수용할 수 없기 때문에 자기 자신을 미워하는 것으로 대치.
29) 공격(Aggression)
욕구불만의 원인이 되는 사람이나 사물에 대해서 공격적인 태도나 행동을 취함으로써 긴장을 해소하려고 하는 기제이다. 직접적인 공격기제는 폭력, 폭행, 싸움 등의 행동으로 나타나며, 간접적인 공격기제는 조소, 비난, 폭언 등의 행동으로 나타난다.
29) 전이(Transference)
어떤 사람에 대한 심상이 무의식적으로 다른 사람에 대한 심상과 동일시되는 것을 말한다.
30) 승화(Sublimation)
원시적이고 용납되지 않는 충동을 억압으로 충분히 해결하지 못할 때 사회적으로 용납되는 형태로 둔갑하여 출구를 찾아 의식세계로 나가는 것을 말한다. 가장 건강한 방어기제이다.
예) 주먹대장이 경찰이 됨.
Ⅱ. 정신장애와 방어기제
정신역동학에서는 원초아(ID)의 욕구와 현실과 초자아 간의 타협을 방어기제로 이해하고, 정신장애의 증상을 방어과정의 산물로 해석한다.
각 정신장애에 주로 많이 동원되는 방어기제
정신건강 분류
주로 동원되는 방어기제
건강한 성격
신경증(NEUROSIS)
정신증(PSYCHOSIS)
이타주의, 유머, 억제, 승화
전치, 억압, 신체화, 대치, 반동형성, 지성화, 격리, 취소, 전환
퇴행, 부정, 상징화, 투사, 행동화, 공상, 차단
참고문헌
정원철. (2000). 정신보건사회사업론-이론과 실제. 서울: 학문사.
박선환, 박숙희, 이주희, 정미경, 김혜숙. (2008). 정신건강론. 파주시: 양서원.
임혁, 채인숙. (2010). 정신건강의 이해. 고양시: 공동체.
  • 가격1,8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3.07.09
  • 저작시기2005.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5670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