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 복지론] 다문화 사회와 다문화주의에 관해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다문화 사회와 다문화주의


1. 다문화 사회에서의 문화에 대한 이해
1) 문화의 의미
2) 문화의 속성
3) 문화의 의의

2. 다문화 사회의 도래와 그 특징
1) 단일문화(monoculture)와 다문화(multiculture)
(1) 단일문화의 의미
(2) 다문화의 의미
(3) 한국에서 사용되는 다문화의 의미
2) 다문화 사회의 특징
3) 다문화 사회의 유형

3. 다문화주의의 의미와 성격
<동화주의와 다문화주의 비교>

본문내용

한다면, ‘한국형’ 다문화 사회라고 불러도 일면 의미가 있을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김혜순(2008:39)은 최근의 한국 사회는 엄밀히 말해서 ‘다문화화’라기보다는 ‘다인종화’, ‘다민족화’되고 있다고 하는 것이 더 정확하다고 보았다. 이것은 앞서 언급한 ‘다문화’ 현상의 양상과 범주로 볼 때 한국에서는 성, 연령, 신체, 성적취향, 계층 등과 같이 이미 한국 사회 내부에 존재해 왔던 것에 기반한 다양성보다는 이주민의 유입으로 인해 인종과 민족이 매개하는 문화적 다양성이 보다 뚜렷하게 부각되고 있기 때문으로 해석할 수 있다.
3.다문화주의의 의미와 성격
<동화주의와 다문화주의 비교>
동화주의
다문화주의
문화적 지향점
문화적 동질화
추상적인 수준에서 타문화 이해 및
수용
문화적 이질성 존중
구체적인 수준에서 타문화 인정 및 보호
정책의 목표
소수자 집단의 주류 문화로의 동화를 통한 사회 통합
소수자 집단의 고유성 인정 및 다양 한 문화 공존
갈등 해결 수단
완전한 동화를 통한 해결
완전한 (정치적) 참여를 통한 해결
정책수단
소수자 집단에 대한 차별 방지 법제화(소극적)
소수자 집단의 문화와 권리 보호 법제화(적극적)
다양성 개념
사적 영역의 문화적 다양성 보호
공적, 사적 영역의 문화적 다양성 보호
추구하는 평등의 특징
기회의 평등
기회의 평등
결과의 평등
이주자에 대한 시각
통합의 대상: 이방인
경제적 관점: 노동력, 부양자
공존의 주체: 사회 구성원
문화적 관점: 다양성의 원천
문제점
강제적 동화로 이어질 우려
완전한 동화는 불가능
이주자에 대한 배제 우려
정체성 불분명
사회적 분열과 갈등 우려
  • 가격5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3.07.10
  • 저작시기2011.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5683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