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등학교 아동의 우리 문화 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이기현(2002), “유아교육과정과 전통문화교육”, 한국아동교육학회,「아동교육」, 제11권 1호
이기현(2006), 유아를 위한 한국 전통음식문화교육 프로그램, 교육과학사
이은화(1987), “전통놀이의 유아교육 현장적용을 위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논문
이창식(2006), 전통문화와 문화콘텐츠, 역락
전경화(2002), “의미탐색 전통문화교육과 유아의 국가정체성 형성”,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논문
정재걸(1999), “초등학교 전통문화교육을 위한 기초연구: 인성교육”, 한국 초등교육학회,「초등교육연구」, 제13권 1호
조기제(2002), “다문화사회에서의 민주시민교육”,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초등도덕교육」, 제10집
최재선(1998), “문화적 관점에서 본 인성교육의 과제”, 「연세교육연구」, 제11권 1호
통계청(2007), 보도자료 “2006년 혼인통계 결과, 2007. 3. 26.
한국교육과정평가원(2006), 도덕과 선택과목 교육과정 개정 시안 연구 개발
Banks, J.A(1994), An Introduction to Multicultural Education, Boston: Allyn & Bacon
---------(2007), Educating Citizens in a Multicultural Society, (2nd ed.), N.Y.: Teachers College Press, Columbia Univ.
Beck. U.(2000), 지구화의 길, 조만영 역, 거름
Foreign Policy, “the Globalization Index”, Jan./Feb. 2003, Nov./Dec. 2006
Hobsbawm, E. & Ranger, T. eds.(1996), The Invention of Tradition / 최석영 역, 전통의 날조와 창조, 서경문화사
Klein, M.D. & Chen, D.(2001), Working with Children from Culturally Diverse Backgrounds, (Delmar: Tomson Learning)
Koetzsch, R.(2007), 교육이론실천연구회 역, 대안학교 길잡이, 교육과학사
Kymlicka, W.(1995), Multicultural Citizenship, Oxford: Clarendon Press
NCSS(1994), Expectations of Excellence: Curriculum Standards for Social Studies Education, (Washington, D.C.: NCSS)
Robertson, R.(1992), Globalization: Social Theory and Global Culture, (London: Sage Pub.)
[ Abstract ]
A Study on the Elementary Social Studies Curriculum for Traditional Culture Education in the Multicultural Society
Park, Sang Joon
(Jeon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This paper aims to study on the elementary social studies curriculum for traditional culture education in multicultural society. Our society turns into multicultural society recently. Thus our traditional culture based on a racially homogeneous nation is plunged in confusion and conflicts in many ethnic groups and nations break out.
As a result of them our government carries out a policies and education to solve the problems of multicultural society. But they inculcated peoples with a racially homogeneous culture. Therefore from a multiculturalism it is required to understand traditional culture and to construct newly the elementary curriculum for traditional culture education in the elementary social studies.
Multicultural society requires citizens to acquire an knowledge on various cultures, an attitude of existing together many ethnic groups and a nations, an ability to solve the problems of multicultural society, and social participation for peaceful coexistence.
To bring up this citizenship the curriculum for traditional culture education in the elementary social studies must consist of integrating thematic strands like 'traditional culture', 'place and environment', 'durability and variation', 'relations with other nations'.
Keywords: multicultural society, multicultural education, monoculturalism,
multiculturalism, education for traditional culture, multicultural citizenship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이기현(2002), “유아교육과정과 전통문화교육”, 한국아동교육학회,「아동교육」, 제11권 1호
이기현(2006), 유아를 위한 한국 전통음식문화교육 프로그램, 교육과학사
이은화(1987), “전통놀이의 유아교육 현장적용을 위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논문
이창식(2006), 전통문화와 문화콘텐츠, 역락
전경화(2002), “의미탐색 전통문화교육과 유아의 국가정체성 형성”,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논문
정재걸(1999), “초등학교 전통문화교육을 위한 기초연구: 인성교육”, 한국 초등교육학회,「초등교육연구」, 제13권 1호
조기제(2002), “다문화사회에서의 민주시민교육”,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초등도덕교육」, 제10집
최재선(1998), “문화적 관점에서 본 인성교육의 과제”, 「연세교육연구」, 제11권 1호
통계청(2007), 보도자료 “2006년 혼인통계 결과, 2007. 3. 26.
한국교육과정평가원(2006), 도덕과 선택과목 교육과정 개정 시안 연구 개발
Banks, J.A(1994), An Introduction to Multicultural Education, Boston: Allyn & Bacon
---------(2007), Educating Citizens in a Multicultural Society, (2nd ed.), N.Y.: Teachers College Press, Columbia Univ.
Beck. U.(2000), 지구화의 길, 조만영 역, 거름
Foreign Policy, “the Globalization Index”, Jan./Feb. 2003, Nov./Dec. 2006
Hobsbawm, E. & Ranger, T. eds.(1996), The Invention of Tradition / 최석영 역, 전통의 날조와 창조, 서경문화사
Klein, M.D. & Chen, D.(2001), Working with Children from Culturally Diverse Backgrounds, (Delmar: Tomson Learning)
Koetzsch, R.(2007), 교육이론실천연구회 역, 대안학교 길잡이, 교육과학사
Kymlicka, W.(1995), Multicultural Citizenship, Oxford: Clarendon Press
NCSS(1994), Expectations of Excellence: Curriculum Standards for Social Studies Education, (Washington, D.C.: NCSS)
Robertson, R.(1992), Globalization: Social Theory and Global Culture, (London: Sage Pub.)
[ Abstract ]
A Study on the Elementary Social Studies Curriculum for Traditional Culture Education in the Multicultural Society
Park, Sang Joon
(Jeon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This paper aims to study on the elementary social studies curriculum for traditional culture education in multicultural society. Our society turns into multicultural society recently. Thus our traditional culture based on a racially homogeneous nation is plunged in confusion and conflicts in many ethnic groups and nations break out.
As a result of them our government carries out a policies and education to solve the problems of multicultural society. But they inculcated peoples with a racially homogeneous culture. Therefore from a multiculturalism it is required to understand traditional culture and to construct newly the elementary curriculum for traditional culture education in the elementary social studies.
Multicultural society requires citizens to acquire an knowledge on various cultures, an attitude of existing together many ethnic groups and a nations, an ability to solve the problems of multicultural society, and social participation for peaceful coexistence.
To bring up this citizenship the curriculum for traditional culture education in the elementary social studies must consist of integrating thematic strands like 'traditional culture', 'place and environment', 'durability and variation', 'relations with other nations'.
Keywords: multicultural society, multicultural education, monoculturalism,
multiculturalism, education for traditional culture, multicultural citizenship
추천자료
[사회교육/교육학] 7차교육과정 고등학교 사회문화 과목 사회민족문화단원 분석 및 교과서 개...
다문화 가족 문제와 사회복지적 해결방안
[교육사회] 다문화 교육에 대하여
[A+평가 레포트] 다문화 교육프로그램의 개발 및 활용방안 - 다문화 교육의 정의 및 목표, 교...
[지역사회복지론] 다문화가정 지자체별 지원정책분석, 문제점, 해결방안
'세계시민사회의 대두와 다문화주의적 시민교육의 방향' 요약 정리
세계시민사회의 대두와 다문화주의적 시민교육의 방향에 대한 정리
다문화 가정을 위한 교육학적 관점 분석 (원인 및 해결방안 현 사례)
한국사회에서 다문화 가족을 위한 지원방안을 서술하시오.
[다문화 사회의 심각성과 해결방안] 다문화 사회 - 다문화 사회의 현황과 문제점 및 다문화 ...
농어촌 지역의 다문화 가정의 현황과 문제점을 알아보고, 사회복지사로서 다문화가정의 문제...
우리 지역사회에 다문화 가정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한국의 다문화 가정의 실태, ...
[부모교육] 현대 사회의 부모교육의 변화 - 한부모가정 부모교육, 취업모가정 부모교육, 장애...
다문화가정의 문제점에 대한 본인의 의견과 해결방안을 사회복지실천적 측면에서 서술하시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