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도 분쟁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독도 분쟁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산음 양현에서 55·4%. 시마네현이 55·2%였지만, 톳토리현이 55·8%에 올라, 당사자 시마네현 뿐 만이 아니라, 톳토리현에서도 해결을 요구하는 소리가 강하다. 한편, 「현상인 채로 좋다」는 14·5%, 「영유권 문제에 접하지 않아 좋다」가 8·1%로, 한국이 실효 지배하고 있는 현상으로부터, 정부의 적극적인 개입에 소극적인 의견도 2할 이상 있었다.「모른다」는 22·0%. 지역별에서는, 국내 유수한 어업 기지·사카이미나토가 있는 톳토리현 서부에서 해결을 요구하는 소리가 62·5%로 높았다. 이는 타케시마 주변을 포함한 잠정수역의 어장을 한국 어선에 점거되고 있는 것에 대한 반발 때문인 걸로 보여 진다. 남녀별로 보면(자), 남성의 관심의 높음이 두드러진다. 해결을 요구해야 하는 것이라는 회답이 남성으로 65·0%에 오른 것에 대해, 여성은 47·0%.「모른다」에서도 남성은 13·5%, 여성 29·5%과 큰 열림이 있었다.  연대별로는, 「해결을 요구해야 한다」는, 40대의 65·5%가 탑.30, 오십, 60대로 6할 가깝게 오르지만, 20대, 70대는 5할 이하에 머물렀다. 산음중앙신보, 2005.9.5
V. 한국와 일본의 독도 의미공간 비교
1) 공통점 : 한국과 일본은 서로 상대국의 주장에 대해서 무지하며 알려고 하지도 않는다. 그들에게 이미 ‘독도는 우리 땅’이라는 의미공간이 자리하고 있다. 또한 정치인들은 독도 문제를 정치적으로 이용한다. 일본의 정치적 이용에 대해서는 위에 언급했고 한국도 노무현이 지지도는 10%이하지만 독도에 관한 정책에서는 90%육박하는 지지율을 받고 있다는 기사 데일리 서프라이즈, 2006.4.29
를 통해 알 수 있듯이 민족성을 자극해서 내부의 문제를 해결하려는 의미도 갖고 있다.
2) 차이점 : 한국인들은 정작 독도에 대해 무지 하지만 무관심 하진 않는다. 과거 일본 식민지의 경험의 원인으로 일본이 독도를 뺏으려 한다는 것에 강한 반발심을 갖고 있다. 그에 반해 일본은 한국에 비해 부족하다. 독도의 위치를 모르거나 무관심하다는 의견도 종종 눈에 띄기 때문이다.
VI. 결론
일본인들이 갖고 있는 독도 의미공간은 한국과 크게 다르지 않다. 우리가 ‘독도는 우리 땅’이라는 의미공간을 갖고 있듯이 일본인도 일본인들도 ‘다케시마는 한국 땅’이라는 의미 공간을 갖고 있다. 그들 입장에서는 터무니없는 억지가 아니다. 일본도 나름대로 역사적, 국제법적 근거가 있고 정치인들이 일본 측 주장만을 교육 시키고 있다. 그런 일본인이 ‘다케시마는 우리 땅’이라고 생각 못할 이유는 없다. 우리 또한 마찬가지지 않는가? 일본 측의 주장은 교육시키지 않고 독도에 대해 꽤나 알고 있는 것 같지만 실제로는 무지 하다. 단지 우리는 ‘우리 영토를 뺏으려는 자’라고 멋대로 규정 했지만 그들의 입장에서는 우리가 억지를 부리는 것이다. 일본이나 우리나라는 서로가 상대방을 이해하려는 노력이 없는 한 독도 문제는 영원히 평행선을 그릴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상대방을 이해하려는 지역학이 필요 한 것이다.
  • 가격1,2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3.07.10
  • 저작시기2014.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5699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