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양사] 전염병, 식생활을 바꾸다 - 유럽의 흑사병을 중심으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전염병, 식생활을 바꾸다
- 유럽의 흑사병을 중심으로



1. 서론

2. 식생활의 변화 : 기근의 시대에서 풍요의 시대로

3. 변화의 이유 : 소금과 생선

4.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러나 흑사병은 분명 이전에도 고기보다 하위에 있었던 생선에 대한 이미지를 더욱 떨어뜨렸고, 시대가 가져가준 상대적인 부유함은 생선을 천시하고 육류를 선호하는 분위기를 더욱 강고하게 만들었다.
4. 결론
흑사병은 유럽에 적지 않은 타격과 함께 수많은 사회적인 변혁을 일으켰다. 인구의 감소는 노동력의 품귀현상을 불러왔고, 이로인해 이전 시대에 비해 농민이나 노동자들의 위치가 크게 상승하였으며, 농민반란 등이 활발하게 일어난 시기도 흑사병이 유럽을 한 차례 휩쓸고 간 이후였다. 노동자들의 실질 임금이 상승하고 농산물 가격이 하락했으며, 로저스와 같은 학자는 흑사병으로 인한 이러한 변화들이 중세의 장원체제 자체를 크게 뒤흔들었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이러한 영향들이 유럽의 음식문화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쳤음을 본고에서는 이미 검토하였다. 인구 변화라는 생태학적인 흑사병의 영향이 사회적인 변화를 일으키고, 이러한 사회적 변화가 곧 음식문화에 반영된 것이다.
그러나 본고에서는 이보다 좀 더 세밀한 변화들이 흑사병 시기에 있었음을 언급하고자 했다. 흑사병은 인구와 관련된 생태학적인 변화만을 일으킨 것이 아니었다. 흑사병은 인류 최악의 전염병이라는 전무후무한 사태에 대응하고자 하는 사람들의 심성이나 사회적인 구조 내부에 좀 더 세밀하게 침투했으며, 훨씬 미시적인 부분에서도 작동했다. 그리고 음식문화는 그러한 미시적인 부분에 가장 근접해 있는 사회 요소중 하나로서 흑사병의 그러한 미시적 영향력을 탐구할 수 있는 부분이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아직까지 연구된 부분이 적고 미시적인 자료의 부족으로 상당부분 추론과 기존 연구에 의존할 수 밖에 없다는 한계가 있지만, 이러한 미시적인 부분에서의 탐구야말로 인간의 본질적인 역사에 좀 더 다가가는 길이라 할 것이다.
참고문헌
맛시모 몬타나리, 『유럽의 음식문화』, 주경철 옮김, 새물결, 2001,
필립 지글러, 『흑사병』, 한은영 옮김, 한길사, 2001
페르낭 브로델, 『물질문명과 자본주의Ⅰ-1:일상생활의 구조 上』, 까치, 1995
셸던 와츠, 『전염병의 역사』, 태경섭한창호 옮김, 모티브북, 2009
프레더릭 F. 카트라이트마이클 비디스 『질병의 역사』, 가람기획, 2004
레이 테너힐, 『음식의 역사』, 손경희 옮김, 우물이 있는 집, 2006,
필립 아리에스조르주 뒤비 책임 편집, 『사생활의 역사 2 : 중세부터 르네상스까지』, 성백용김지현 외 옮김, 새물결, 2006
  • 가격1,8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3.07.10
  • 저작시기2010.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5705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