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코올이 인간반응시간에 미치는 효과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알코올이 인간반응시간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96
12.94718
4.03E-21
0.05912
0.080605
0.05912
0.080605
회귀분석 통계량
다중 상관계수
0.785092
결정계수
0.616369
조정된 결정계수
0.611451
표준 오차
0.169388
관측수
80
분산 분석
 
자유도
제곱합
제곱 평균
F 비
유의한 F
회귀
1
3.595744
3.595744
125.3204
6.74E-18
잔차
78
2.238007
0.028692

79
5.833751
 
 
 
 
계수
표준 오차
t 통계량
P-값
하위 95%
상위 95%
하위 95.0%
상위 95.0%
Y 절편
0.457462
0.032563
14.04837
4.58E-23
0.392633
0.52229
0.392633
0.52229
X 1
0.079079
0.007064
11.19466
6.74E-18
0.065016
0.093142
0.065016
0.093142
4. 토론 및 결론
4.1. 알코올 섭취가 반응시간에 미치는 영향
<그림8>은 디자인 tool을 이용한 데이터분석을 바탕으로 excel을 이용해서 단순반응과 선택반응을 통합한 비교분석 그래프이다. 우선 그래프를 통합적으로 비교해 보면 두 가지를 알 수 있다. 첫째, 선택 대안의수 (자극의 수)를 2,4,8 가지로 늘려가며 실험을 한 결과 선택 대안의수(자극의 수)가 늘어남에 따라 반응시간 또한 증가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알코올 섭취 전에 실험을 했을 때보다 알코올 섭취를 한 후 실험을 했을 때 반응시간이 더 오래 걸린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반응시간 RT = a+ b [ log2(N) ]으로 나타낸 식에서 알코올 섭취 여부에 따라 가 변하였음을 알 수 있고, 그림 6,7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힉-하이먼 법칙과 정확하게 일치하지는 않았지만 실제 우리가 실험한 결과를 통해서 데이터들이 반응시간이 대안의수와 선형적으로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한편 회귀분석을 통한 알코올 섭취여부에 따른 선형방정식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알코올 섭취 전의 선형방정식은 (1) y=0.069x+0.400이고 알코올 섭취 후의 선형방정식은 (2) y=0.079x+0.457 이다. 이러한 결과를 볼 때 평상시 때보다 알코올 섭취를 한 후 반응시간이 느려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림 8> 단순반응과 선택반응을 통합한 비교분석
4.2. 선택대안의 수와 반응시간의 관계 해석
누구나 실험을 하지 않고도 선택대안의 수가 증가할수록 반응시간이 증가한다는 예상을 할 수 있다. 그러나 선택대안의 수에 따른 반응시간의 추세선이 직선보다는 로그함수곡선에 가깝다는 본 실험의 결과는 주목할 만하다. 왜냐하면 이것은 선택대안의 수가 증가할수록 반응시간이 증가하지만 어느 정도에 다다르면 선택 대안수 대비 반응시간의 변화율이 감소한다는 것을 의미하고 이는 상식적으로 받아들이기 힘든 현상이기 때문이다.
우리는 이 원인을 정보이론에서 찾았다. 정보이론에서 정보는 불확실성의 감소라 정의되며 bit 단위로 측정된다. 여러 대안의 확률이 동일하고 이러한 대안의 수가 이라면 정보량 [bit]는 다음과 같다.
즉, 정보량은 동일한 확률의 대안 개수에 대한 로그함수이다. 또한 정보이론에서 정보는 불확실성의 감소(reduction of uncertainty)를 의미하기 때문에 정보량을 불확실성이라고 바꿔서 생각할 수 있다. 본 실험으로 돌아와 보자. 선택대안의 수가 증가할수록 정보량은 증가한다. 이는 곧 피험자의 불확실성 증가를 의미한다. 결국 이 불확실성의 증가가 반응시간의 증가를 야기한다. 여기서 눈여겨봐야 할 대목은 선택대안의 수와 정보량의 로그함수 관계가 반응시간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이다.
본 실험은 보완해야 할 몇 가지 면이 존재했다. 첫째, 보다 정확한 실험결과를 얻기 위해 더 많은 피험자가 필요했다. 본 실험의 피험자는 20명으로 다른 연구들의 피험자보다 확연히 적었다. 이러한 이유로 평균 기대치에서 크게 벗어나는 실험결과를 보인 피험자가 실험 결과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과 표본들이 정규분포를 보이지 않을 가능성이 높았다. 그러므로 t-test 쌍체분석을 하는데 있어서 제한이 있었고 조금 더 확실한 실험 결과를 얻기 위하여 더 많은 표본수를 모아 정규분포에 가깝게 하여 신뢰도를 증가 시켰어야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
둘째, 반응시간이 줄어든 것도 학습과 반복에 의한 반응시간의 감소가 아닌지 의심이 되었다. 실험이 식사량, 수면의 정도, 알코올의 양, 알코올 분해능력, 개인의 집중능력 등이 통제되지 않은 상황에서 알코올의 섭취가 반응시간에 얼마나 큰 영향을 미치는 가를 알아보기 위해 진행되었기 때문에, 통계적 분석을 하는 데 있어서 많은 오차가 발생되었다고 생각한다.
5. 참고 문헌
[1] KATHERINE TZAMBAZIS and CON STOUGH, 2000, ALCOHOL IMPAIRS SPEED OF INFORMATION PROCESSING, Alcohol & Alcoholism Vol. 35, No. 2, pp. 197-201.
[2] 안 창 수, 1994, 술 텔레비전, 도서출판 여민, pp.177-180.
[3] 다카기 사토시, 1993, 술도 마시고 건강도 지키고, 도서출판 행담, pp.1160-120.
[4] Kestutis Kveraga and Leanne Boucher and Howard C. Hughe, 2002, Saccades operate in violation of Hicks law, Springer-Verlag.
[5] RODERICK K.MAHURIN and FRANCIS J.PIROZZOLO, 1993, APPLICATION OF HICK'S LAW OF RESPONSE SPEED IN ALZHEIMER AND PARKINSON DISEASES, Perceptual and Motor skills.
[6] Sanders. Mark s. MCcomick. 1995, Human factors in engineering and design, 대영사, 48-50P
[7] 김태호, 심현철, 이청림 공저. 2000, (Excel활용) 실용 통계학, 청목출판사, 263-306p
  • 가격3,3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3.07.11
  • 저작시기2013.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5718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