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로 세상 읽기-트루먼 쇼에 나타난 포스트모더니즘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영화로 세상 읽기-트루먼 쇼에 나타난 포스트모더니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포스트모더니즘의 개념 및 특징
2. 트루먼 쇼의 줄거리
3. 트루먼 쇼에서 나타난 포스트 모더니즘적 요소
1) 매체에 대한 자기반영성
2) 할리우드에 대한 자기반영성과 장르적 관습
3) 가치의 상대화, 진리의 부정, 다원주의
4) 포스트모더니즘과 대중문화
5) 해체주의

Ⅲ. 결론

본문내용

그는 ‘반 예술적’이고 ‘진지성에 반대하는’ 대중예술의 출현을 열렬이 환영한 바 있다. 김욱동,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 현암사, 1997, p226
그러나 포스트모더니즘 대중문화는 모더니즘 문화처럼 고답적인 엘리트주의를 표방하지도 않지만 그렇다고 저급한 대중문화에 쉽게 굴복하지도 않는다. 대중문화는 서로 대립적인 입장을 취하는 두 문화 사이 어딘가에 자리 잡고 있다. 한마디로 포스트모더니즘 대중문화는 드와이트 맥도널드가 말하는 ‘미드컬트’의 개념에 가장 가깝다. 모든 수단과 방법을 동원하여 어떻게든지 일반 대중을 즐겁게 해주는 ‘매스컬트’와는 달리, 이 ‘미드컬트’는 마치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야누스처럼 늘 두 방향으로 얼굴을 향한다. 한편으로는 고급문화에 적잖이 매력을 느끼면서도 또 다른 한편으로는 대중문화의 수준을 한 단계 끌어올리려고 노력을 아끼지 않는 것이다.
트루먼 쇼가 몰래카메라라는 사람들이 흥미를 가질만한 독특한 발상과 기발한 상상으로, 또 유명 배우를 내세운 상업성과 오락성을 갖췄다고 하더라도 단순히 쾌락적인 추구만이 아닌 우리 문화의 지배적인 대서사 곧 가부장 제도나 자본주의 더 나아가 우리가 논리적이고 합리적이라고 여겨왔던 것에 대한 재고를 탐구하며 포스트모더니즘 시대를 살고 있는 대중으로 하여금 다시 한 번 허구와 진실의 경계, 미디어의 권력과 같은 심도 있는 문제에 대해 생각할 기회를 주며 메시지의 교훈적인 면을 강조하기도 한다.
5) 해체주의
확실히 포스트모더니즘은 기존의 가치에 도전을 하면서 서민과 대중에게 다가가려 하며 틀에 얽매이지 않는 형식으로 표출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트루먼은 결국 감독이 만들어 놓은 세트를 파괴한다. 이는 해체주의적 요소로, 트루먼이 결국 세트를 탈출하는 장면은 기존의 상실을 타파하고 새로운 세계로 나아가는 자유적인 이미지를 가지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해체주의는 영화의 형식에서도 나타난다. 이 트루먼 쇼의 주인공은 언뜻 보면 트루먼 같지만 사실은 우리와 같이 트루먼 쇼를 보고 있는 영화 속 관객들이다. 관객과 주인공의 동일성, 영화 내에서 보여주는 할리우드의 상업성에 대한 신랄한 비판을 통해서 포스트모더니즘의 해체주의를 찾아볼 수 있다.
III. 결 론
포스트모더니즘은 현 시대를 관통하는 사상으로써, 그것이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사회문화 전반에 걸쳐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는 것만은 분명한 사실이다. 그러나 포스트모더니즘에 대한 논의는 아직도 부족하며 현재진행형이기 때문에 포스트모더니즘에 대한 개인적인 찬반의견을 주장할 생각은 당연히 전혀 없다. 따라서 포스트모더니즘에 대한 객관적인 개념과 특징을 중심으로 서술하려고 노력하였고, 영화 속에 나타난 객관적인 포스트모더니즘적 요소를 발견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서론에서 언급했듯이 예술은 언제나 이 땅의 철학과 사상을 가져다 세워준다. 예술가들은 그들의 믿음을 구체적 형태로 표현하며 그들이 갖는 세계관의 의미를 분명하게 보여주고, 그것이 인간의 삶에 대하여 뜻하는 것을 드라마틱하게 표현한다. 사실 포스트모더니즘에 대해 공부하기 전에는 트루먼 쇼에 포스트모던적 요소가 있을 것이라는 생각은 전혀 할 수 없었다. 그저 구성이 색다르다고만 생각했을 뿐이었다. 포스트모더니즘 사상을 전혀 몰랐기에 영화에 표현된 포스트모던적 사고의 결과를 읽어낼 수 없었던 것이다. 그러나 포스트모더니즘 사상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영화를 보니, 이 영화에 포스트모던적 요소가 곳곳에 있었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 영화 곳곳에 깔려있는 포스트모던적 요소를 발견하기 위해서는 포스트모더니즘의 개념과 특징에 대한 이해가 밑바탕 되어야 하는 것이었다.
트루먼 쇼는 할리우드 영화이면서 할리우드적 요소에 대한 비판이 있다는 점, 트루먼이 과감히 세트 장 밖으로 나감으로써 절대적으로 믿었던 진리가 허구일지도 모른다고 관객에게 강변하는 점, 엔딩에서 거짓된 자아를 벗음으로 진정한 자유를 선택하지만 여전히 무엇인가 결정 된 것은 아무것도 없고 미래는 불확실한 점, 이로써 이야기가 끝난 것이 아니라 앞으로 새롭게 펼쳐질 이야기가 더 많을 것만 같은 비종결적인 마무리였다는 점 등을 볼 때 이 영화는 많은 포스트모던적 요소를 지니고 있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참고문헌>
유선모, 포스트모더니즘과 기독교, 총신대학교 기독교교육과, 2012
김욱동,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 현암사, 1997
김성곤, 김성곤의 영화기행, 호형출판, 2002
나병철,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을 넘어서, 소명출판, 1999
  • 가격3,3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3.07.11
  • 저작시기2013.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5752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