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영화에 나타난 '악' 에 대한 관점 변화 - 과거와 현재의 비교분석을 통해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서론
1-1. 연구 동기
1-2. 연구 목적 및 의의
1-3. 연구의 범위
1-4. 포스트모더니즘의 정의

2. 과거와 현재의 영화 비교
2-1. 사랑
2-1-1. 불륜
2-2. 민족
2-2-1. 북한
2-3. 가족
2-3-1. 동거
2-3-2. 비혈연 관계

3.결론
3-1. 영화 분석
3-2. 포스트모더니즘의 영향

*참고문헌

본문내용

차이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3-1. 영화 분석
사랑을 소재로 한 영화에서 알 수 있는 변화는 <자유부인>, <귀로>, <바람난 가족>의 작품을 통해 살펴보았다. 영화 속에서 불륜은 ‘가출한 여성의 방황’으로 그려지거나 윤리적 측면에서 매우 부정적인 행위로 묘사되어 있다. 심지어는 결론을 비극적인 상황으로 설정함으로써 불륜을 윤리적 측면에서 비판하고 있었다. 하지만 현대에 이르러 불륜은 사랑의 한 부분으로서 부정적인 행위로 묘사되지 않는다. 특히 극중 전개상 성관계적 측면보다는 주인공들이 느끼고 있는 감정이 주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는 사실에서 그러한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민족을 소재로 한 영화에서도 이러한 패러다임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부류의 영화로 <피아골>, <증언>, <웰컴투동막골>, <쉬리> 등을 살펴보았다. 북한은 과거에 ‘빨갱이’ 내지는 테러 행위를 통한 살상의 주체로 묘사되어 있었다. 특히 영화 속에서 북한은 흑백논리에 따라 악으로 규정되었다. ‘우리’가 아니면 ‘적’이라는 생각은 북한을 일종의 ‘악’으로 규정했다. 하지만 현대의 영화에서 북한은 무조건적 악으로만은 규정되지 않는다. 영화 <웰컴투동막골>에서 북한 군인들은 부정적 대상이기보다는 ‘선’에 가깝게 묘사되고 있었다. 오히려 어떻게 보면 ‘악’이라는 개념 자체가 모호해져 명확하게 그 존재를 찾기가 쉽지 않다.
가족 관계에서 알 수 있는 변화는 <결혼은 미친 짓이다>, <싱글즈>, <열한 번째 엄마> 등의 영화를 통해 살펴보았다. 동거에 대한 영화 속 인식 변화의 경우 과거에는 상당히 부정적인 시각을 내포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극중에서 주인공은 끊임없이 죄책감에 시달리거나 괴로워하는 모습들을 보이고 있었다. 동거의 목적 또한 정신적 사랑의 차원 이외에도 아니라 성관계를 위한 측면이 매우 짙었음을 알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영화의 끝에서도 동거를 긍정하기보다는 비판함으로써 결국엔 기존의 결혼이라는 제도를 옹호하는 결론에 도달했다. 과거에 비혈연 가족 관계는 대부분 부정적으로 그려졌으며, 내용의 경우에도 부정과 반목을 그린 영화가 많다. 하지만 <열한 번째 엄마>의 경우 ‘엄마’는 기존의 ‘계모’ 이미지에서 벗어나 ‘아들’과 진실한 가족애를 나누는 존재로 그려진다. 특히 죽기 직전까지 아들을 챙기는 엄마의 모습에서는 비록 친아들은 아니지만 그에 못지않은 모성애를 느끼는 ‘진짜 엄마’로 묘사되어 기존의 틀을 깨고자하는 시각을 엿볼 수 있었다.
3-2. 포스트모더니즘의 영향
위와 같은 분석 결과, 포스트모더니즘의 대표적인 특성이라고 볼 수 있는 ‘상대적 특성’이 한국 영화 속 선과 악의 규정에서도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분법적 사고에서 대상은 주체의 인식 체계에 들어오는 순간 긍정 혹은 부정으로 구분된다. 또한 그러한 경향은 그것에 대한 본질이 주체가 인식한 긍정 혹은 부정이 전부인양 생각되도록 만든다. 결국엔 참과 거짓이 사실은 그 대상을 인식한 ‘주체’가 규정한 것임에도 불구하고 그 대상 자체의 참과 거짓으로 판단된다. 또한 이분법적 사고는 이성이라는 이름으로 대상과 대상을 구분하고, 우열을 가리며, 때로는 그 대상들을 연구함에 있어 단 하나의 방법으로 ‘유일한’ 대답을 찾길 바란다. 곽차섭 외, <<포스트모더니즘과 당혹스런 역사학>>, 푸른역사, 2002, p. 14.
이러한 이분법적 사고의 특성상 그 주체가 사회일 때 흑백논리화 되어 ‘우리’가 아닌 다른 대상은 ‘적’으로 규정하기 쉽다. 본문에서 분석한 ‘과거의 영화’는 대부분 이러한 이분법적 사고의 특성을 명확하게 드러내고 있다.
포스트모더니즘은 이러한 이분법적 사고를 타파하고 선과 악의 규정이 상대적인 것임을 밝히는데 영향을 주었다. 포스트모더니즘은 기본적으로 분산적인 특성 내지는 상대적인 특성을 지향한다. 즉 절대적인 위치(일반적으로 중앙이라고 표현되는)란 없으며, 절대적인 대상 혹은 상황 또한 있을 수 없다는 것이다. 또한 포스트모더니즘의 과거와 다른 인식상의 전환은 상대성의 연장선상에서 ‘불확정성’으로 표현된다. 윤운영, <<한국사회에서의 포스트모더니즘 현상의 특성에 대한 한 연구>>, 동아대학교, 1994, p. 9.
따라서 포스트모더니즘은 ‘해체적 특성’ 및 ‘불확정성’을 지니게 된다. 뿐만 아니라 포스트모더니즘은 대상을 하나의 입장에서 탐구·분석하려하지 않는다. 즉 하나의 틀(게임) 안에서 그 틀을 지배하는 논리(게임에서의 규칙)만을 생각했던 과거의 이성주의를 비판한다. 김태양,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 김천과학대학교, 1995 p. 9.
이러한 포스트모더니즘의 영향으로 한국 영화 속에서 선과 악에 대한 규정 또한 상대적인 것으로 인식될 수 있었고, 과거에는 부정적인 것만으로 치부되었던 대상 혹은 현상을 긍정적인 시각 내지는 객관적인 시각에서 바라볼 수 있는 여지가 마련되었다. 현대의 영화들은 이러한 포스트모던적 시각에서 금기시되던 애정 관계, 가족 관계, 민족 내의 상황들을 바라보고 있다.
이와 같이 포스트모더니즘의 상대적 특성은 악을 규정하는 패러다임에 변화를 가져왔으며, 결과적으로 한국 영화 속에서 악(惡)에 대한 관점이 변화하는 데 큰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다.
참고문헌
곽차섭 외, 「포스트모더니즘과 당혹스런 역사학」, 푸른역사, 2002,
김태양,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 김천과학대학, 1995.
김현옥, 「포스트모더니즘과 비평」, 湖南大學校 (HONAM UNIVERSITY), 1996.
남경태, 「개념어 사전」, 들녘, 2006.
윤운영, 「한국사회에서의 포스트모더니즘 현상의 특성에 대한 한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1994.
황혜진,「영화로 보는 불륜의 사회학」, 서울:살림출판사, 2005.
참고싸이트
http://www.kmdb.or.kr/
http://www.kmdb.or.kr/statis/boxOffice.asp
http://ko.wikipedia.org/wiki
http://blog.naver.com/sjerry?Redirect=Log&logNo=140000199879
http://blog.daum.net/hcr333/10845686
  • 가격1,5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8.12.26
  • 저작시기2008.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0922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