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진보주의
1. 진보주의 철학의 역사적 배경
2. 철학적 근거
3. 발전이론
4. 진보주의 교육강령
5. 진보주의 교육의 정의
6. 진보주의 사상 비판
2. 본질주의
1. 역사적 배경
2. 이론적 배경
3. 철학적 근거
4. 본질주의 교육이론
5. 본질주의 비판
3. 항존주의
1. 항존주의 등장 배경
2. 철학적 근거
3. 항존주의 교육원리
4. 항존주의 교육이론
5. 항존주의 비판
4. 재건주의
1. 재건주의 발전과정
2. 철학적 근거
3. 재건주의 교육이론
4. 재건주의 비판
현대의 교육철학
5. 현상학
1) 현상학의 개념
2) 배경
3) 현상학의 특징과 변화
4) 다른 사조와의 비교
5) 현상학의 연구방법
6) 이후의 발달
6. 해석학
1. 해석학의 개념
2. 해석학의 배경
3. 해석학의 종류
4. 현대철학에서의 해석학
7. 실천주의
1. 실천주의 개념
2. 실천주의의 배경
8. 구성주의
1. 구성주의의 이론적 배경
2. 구성주의에 대한 다양한 견해
3. 구성주의의 학습
4. 구성주의 관점
5. 구성주의의 유형
9. 포스트모더니즘
1. 포스트모더니즘의 발생배경
2. 포스트모던의 등장
3. 포스트모더니즘의 개념
4. 모더니즘과 포스트 모더니즘의 비교
※ 참고문헌
1. 진보주의 철학의 역사적 배경
2. 철학적 근거
3. 발전이론
4. 진보주의 교육강령
5. 진보주의 교육의 정의
6. 진보주의 사상 비판
2. 본질주의
1. 역사적 배경
2. 이론적 배경
3. 철학적 근거
4. 본질주의 교육이론
5. 본질주의 비판
3. 항존주의
1. 항존주의 등장 배경
2. 철학적 근거
3. 항존주의 교육원리
4. 항존주의 교육이론
5. 항존주의 비판
4. 재건주의
1. 재건주의 발전과정
2. 철학적 근거
3. 재건주의 교육이론
4. 재건주의 비판
현대의 교육철학
5. 현상학
1) 현상학의 개념
2) 배경
3) 현상학의 특징과 변화
4) 다른 사조와의 비교
5) 현상학의 연구방법
6) 이후의 발달
6. 해석학
1. 해석학의 개념
2. 해석학의 배경
3. 해석학의 종류
4. 현대철학에서의 해석학
7. 실천주의
1. 실천주의 개념
2. 실천주의의 배경
8. 구성주의
1. 구성주의의 이론적 배경
2. 구성주의에 대한 다양한 견해
3. 구성주의의 학습
4. 구성주의 관점
5. 구성주의의 유형
9. 포스트모더니즘
1. 포스트모더니즘의 발생배경
2. 포스트모던의 등장
3. 포스트모더니즘의 개념
4. 모더니즘과 포스트 모더니즘의 비교
※ 참고문헌
본문내용
인들은 헬레니즘 철학자들이 구축한 서구세계의 지적 인식 틀 안에 내재되어 있는 합리주의 이성론에 대해 회의를 품기 시작했다. 이후에 계속된 사회 문화적인 변화 역시 이러한 현상을 더욱 가속화 시켰으며 오늘날 흔히 얘기되는 후기 산업사회, 정보화시대, 대중소비사회라는 용어들은 이러한 새로운 질서를 다각적으로 표현한 것들이다.
이런 새로운 질서에 상응하는 변화된 예술적 현상이 ‘탈모더니즘, 탈구조주의’ 또는 ‘포스트 모더니즘’으로 정의되고 있다.
2. 포스트모던의 등장
모더니즘의 회의 속에 등장하기 시작한 것이 바로 포스트 모더니즘이다.
첫째, 포스트모더니즘은 동시대 어느 문화권에서 읽을 수 있는 보편사가 아니며 단순히 문화의 한 사조로 평가되어서는 안된다. 포스트모더니즘이라는 현상은 후기 자본주의의 문화논리로서 나타난다. 따라서 자본주의라는 삶의 양식과 분리해서 볼 수는 없다. 현대의 모든 현상을 배태한 서구이성이 허용치 않던 비판을 과감히 시도하며 교조적 시대가 남긴 빈약한 세계상을 반성하는 무비판 시대의 자기 반성으로서 받아들여야 한다. 즉, 역사적 반성과 자기비판에서 도출된 개념이다.
둘째, 포스트모더니즘은 모더니즘이라는 사상사의 축약체에 대비하여 읽혀야 한다. 시대를 겪어내며 그 시대의 문제를 고민한 사람들의 사상사적 축약체가 문화 사회 역사 경제에 자기를 현시하는 방법으로 읽지 못하면 다만 포스트는 <현상>으로서만 포착되고 따라서 본질은 은폐되며 그리하여 뿌리 없는 자기해체로 중심 잃기만 진행된다. 따라서 포스트모더니즘의 바탕을 이루고 있는 근본배경 연구 없이 각 분야에서 드러나는 현상만을 조합하는 것은 가지만을 바라보며 나무의 병을 진단하는 어리석은 행위이다
3. 포스트모더니즘의 개념
포스트모더니즘의 개념은 문학, 철학, 사회학과 더불어 예술일반에 적용될 수 있으면서도 적용분야에 따라 그 의미가 상당부분 다르게 해석된다.
포스트모더니즘이란 용어는 문자 그대로 '포스트'라는 접두어와 '모더니즘'이라는 단어가 결합되어 생긴 말이다. 이 용어는 의미면에서 본다면 단순히 '모더니즘 다음에 오는'현상을 가리킬 따름이다. 따라서 그것은 일차적인 면에서 시간적 구분을 의미할 뿐 결코 긍정적이건 부정적이건 어떤 유형의 가치 평가가 개입된 개념이라고는 할 수 없다.
즉, 그것은 어디까지나 후시성을 가르키는 표현에 지나지 않는다. '프리모던'이란 용어가 단순히 '전근대' 또는 '전현대'를 가리키는 것과 마찬가지로 '포스트 모던'이라는 용어는 단순히 '후근대 또는 후현대'를 가리키는 표현인 것이다.
이 용어를 보다 명시적으로 보여준 사람은 1950년대 초 역사가 아놀드 토인비(Arnold Toynbee)이다. 토인비는 서구문명이 19세기 이루 전환기적 국면에 접어들었다고 주장했다.
그 전환이 무엇인지 밝히지 않았지만 그는 이것을 '돌연변이'로 인식했고 또, 현대를 맞이하는 서구역사의 전통에 극적인 출발점으로 기록될 것이라고 예견했다. 그리고 그는 <역사연구 A Study of History> 후반에서 우리의 시대를 사회적 불안, 세계전쟁, 혁명의 시대 그리고 '포스트 모던 시대'로 명명했다.
4. 모더니즘과 포스트 모더니즘의 비교
모더니즘과 포스트 모더니즘의 관계를 논의하는데서 이론가들의 입장은 크게 두 유형으로 나누어진다. 그 중의 하나는 포스트 모더니즘을 가깝게는 모더니즘, 넓게는 낭만주의의 계승이나 논리적 발전으로 파악하려는 입장이다. 이러한 입장을 펴는 이론가들의 관점에서 보면 포스트 모더니즘은 모더니즘의 후기현상이나 그것보다 한결 더 극단적으로 발전한 형태에 지나지 않는다. 포스트 모더니즘이 흔히 '후기 모더니즘'이라는 관점에서 논의되어 온 것은 바로 이러한 이유 때문이다.
미국의 네오리얼리즘 이론가 제럴드 그래프는 이러한 관점에서 포스트 모더니즘을 파악해 온 가장 대표적인 이론가 중 한 사람이다. 그에 따르면 이제까지 서구 세계를 풍미해 온 문화적 전통과 예술적 인습은 몇몇 이론가들이 주장하는 바처럼 그렇게 쉽게 붕괴되지 않고 여전히 계승되고 있다. 따라서 그는 포스트 모더니즘을 가깝게는 모더니즘, 멀게는 낭만주의의 전통에서 파악하고자 한다. 이 점과 관련하여 그는 "포스트 모더니즘은 낭만주의와 모더니즘이 견지하는 입장과의 단절이 아니라 오히려 이 두 운동의 기본 전제들을 논리적으로 발전시킨 극한 점으로 파악하지 않으면 안된다"고 주장한다. 포스트 모더니즘을 일종의 '돌파구'로 파악하는 일부 이론가들의 태도를 가리켜 그가 '신화'라고 부는 것은 바로 이러한 이유 때문이다.
한편 다른 일군의 이론가들은 포스트 모더니즘을 모더니즘과 의식적 단절이나 비판적 반작용으로 파악하고자 한다. 이러한 이론가들에 따르면 포스트모더니즘은 낭만주의는 말할 것도 없거니와 모더니즘과도 변별적으로 구별되며, 그 나름대로의 독특하고 고유한 존재이유를 지니고 있다. 다시 말해서 그것은 고전주의와 낭만주의, 그리고 리얼리즘과 모더니즘에 뒤이어 나타난 급진적으로 새로운 예술전통이나 이론 또는 사조에 해당된다. 이런 입장을 내세우는 이론가들의 경우 포스트 모더니즘은 '탈모더니즘', '반모더니즘'적인 속성을 지니게 마련이다.
※ 참고문헌
인터넷 : http://enc.daum.net/dic100/viewContents.do?articleID=b25h0938b
http://enc.daum.net/dic100/viewContents.do?&m=all&articleID=b24h3627b
http://www.penart.co.kr/literatureart/history/postmodern.htm
http://field.or.kr/zb/zboard.php?id=buk&page=1&sn1=&divpage=1&sn=off&ss=on&sc=on&select_arrange=hit&desc=asc&no=418&PHPSESSID=58750a9e162bb5c8fef583b5e746d0cd
http://musicteach.com.ne.kr/htmls/edu_data/edu_02.htm
노상우(2003), 교육의 역사와 사상, 서울, 교육과학사
오만록(2000), 교육의 이해, 서울, 형설출판사
이런 새로운 질서에 상응하는 변화된 예술적 현상이 ‘탈모더니즘, 탈구조주의’ 또는 ‘포스트 모더니즘’으로 정의되고 있다.
2. 포스트모던의 등장
모더니즘의 회의 속에 등장하기 시작한 것이 바로 포스트 모더니즘이다.
첫째, 포스트모더니즘은 동시대 어느 문화권에서 읽을 수 있는 보편사가 아니며 단순히 문화의 한 사조로 평가되어서는 안된다. 포스트모더니즘이라는 현상은 후기 자본주의의 문화논리로서 나타난다. 따라서 자본주의라는 삶의 양식과 분리해서 볼 수는 없다. 현대의 모든 현상을 배태한 서구이성이 허용치 않던 비판을 과감히 시도하며 교조적 시대가 남긴 빈약한 세계상을 반성하는 무비판 시대의 자기 반성으로서 받아들여야 한다. 즉, 역사적 반성과 자기비판에서 도출된 개념이다.
둘째, 포스트모더니즘은 모더니즘이라는 사상사의 축약체에 대비하여 읽혀야 한다. 시대를 겪어내며 그 시대의 문제를 고민한 사람들의 사상사적 축약체가 문화 사회 역사 경제에 자기를 현시하는 방법으로 읽지 못하면 다만 포스트는 <현상>으로서만 포착되고 따라서 본질은 은폐되며 그리하여 뿌리 없는 자기해체로 중심 잃기만 진행된다. 따라서 포스트모더니즘의 바탕을 이루고 있는 근본배경 연구 없이 각 분야에서 드러나는 현상만을 조합하는 것은 가지만을 바라보며 나무의 병을 진단하는 어리석은 행위이다
3. 포스트모더니즘의 개념
포스트모더니즘의 개념은 문학, 철학, 사회학과 더불어 예술일반에 적용될 수 있으면서도 적용분야에 따라 그 의미가 상당부분 다르게 해석된다.
포스트모더니즘이란 용어는 문자 그대로 '포스트'라는 접두어와 '모더니즘'이라는 단어가 결합되어 생긴 말이다. 이 용어는 의미면에서 본다면 단순히 '모더니즘 다음에 오는'현상을 가리킬 따름이다. 따라서 그것은 일차적인 면에서 시간적 구분을 의미할 뿐 결코 긍정적이건 부정적이건 어떤 유형의 가치 평가가 개입된 개념이라고는 할 수 없다.
즉, 그것은 어디까지나 후시성을 가르키는 표현에 지나지 않는다. '프리모던'이란 용어가 단순히 '전근대' 또는 '전현대'를 가리키는 것과 마찬가지로 '포스트 모던'이라는 용어는 단순히 '후근대 또는 후현대'를 가리키는 표현인 것이다.
이 용어를 보다 명시적으로 보여준 사람은 1950년대 초 역사가 아놀드 토인비(Arnold Toynbee)이다. 토인비는 서구문명이 19세기 이루 전환기적 국면에 접어들었다고 주장했다.
그 전환이 무엇인지 밝히지 않았지만 그는 이것을 '돌연변이'로 인식했고 또, 현대를 맞이하는 서구역사의 전통에 극적인 출발점으로 기록될 것이라고 예견했다. 그리고 그는 <역사연구 A Study of History> 후반에서 우리의 시대를 사회적 불안, 세계전쟁, 혁명의 시대 그리고 '포스트 모던 시대'로 명명했다.
4. 모더니즘과 포스트 모더니즘의 비교
모더니즘과 포스트 모더니즘의 관계를 논의하는데서 이론가들의 입장은 크게 두 유형으로 나누어진다. 그 중의 하나는 포스트 모더니즘을 가깝게는 모더니즘, 넓게는 낭만주의의 계승이나 논리적 발전으로 파악하려는 입장이다. 이러한 입장을 펴는 이론가들의 관점에서 보면 포스트 모더니즘은 모더니즘의 후기현상이나 그것보다 한결 더 극단적으로 발전한 형태에 지나지 않는다. 포스트 모더니즘이 흔히 '후기 모더니즘'이라는 관점에서 논의되어 온 것은 바로 이러한 이유 때문이다.
미국의 네오리얼리즘 이론가 제럴드 그래프는 이러한 관점에서 포스트 모더니즘을 파악해 온 가장 대표적인 이론가 중 한 사람이다. 그에 따르면 이제까지 서구 세계를 풍미해 온 문화적 전통과 예술적 인습은 몇몇 이론가들이 주장하는 바처럼 그렇게 쉽게 붕괴되지 않고 여전히 계승되고 있다. 따라서 그는 포스트 모더니즘을 가깝게는 모더니즘, 멀게는 낭만주의의 전통에서 파악하고자 한다. 이 점과 관련하여 그는 "포스트 모더니즘은 낭만주의와 모더니즘이 견지하는 입장과의 단절이 아니라 오히려 이 두 운동의 기본 전제들을 논리적으로 발전시킨 극한 점으로 파악하지 않으면 안된다"고 주장한다. 포스트 모더니즘을 일종의 '돌파구'로 파악하는 일부 이론가들의 태도를 가리켜 그가 '신화'라고 부는 것은 바로 이러한 이유 때문이다.
한편 다른 일군의 이론가들은 포스트 모더니즘을 모더니즘과 의식적 단절이나 비판적 반작용으로 파악하고자 한다. 이러한 이론가들에 따르면 포스트모더니즘은 낭만주의는 말할 것도 없거니와 모더니즘과도 변별적으로 구별되며, 그 나름대로의 독특하고 고유한 존재이유를 지니고 있다. 다시 말해서 그것은 고전주의와 낭만주의, 그리고 리얼리즘과 모더니즘에 뒤이어 나타난 급진적으로 새로운 예술전통이나 이론 또는 사조에 해당된다. 이런 입장을 내세우는 이론가들의 경우 포스트 모더니즘은 '탈모더니즘', '반모더니즘'적인 속성을 지니게 마련이다.
※ 참고문헌
인터넷 : http://enc.daum.net/dic100/viewContents.do?articleID=b25h0938b
http://enc.daum.net/dic100/viewContents.do?&m=all&articleID=b24h3627b
http://www.penart.co.kr/literatureart/history/postmodern.htm
http://field.or.kr/zb/zboard.php?id=buk&page=1&sn1=&divpage=1&sn=off&ss=on&sc=on&select_arrange=hit&desc=asc&no=418&PHPSESSID=58750a9e162bb5c8fef583b5e746d0cd
http://musicteach.com.ne.kr/htmls/edu_data/edu_02.htm
노상우(2003), 교육의 역사와 사상, 서울, 교육과학사
오만록(2000), 교육의 이해, 서울, 형설출판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