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도동기론][동도동기론 개념][오리엔탈리즘][인식론][동도서기론 개념][동도서기론 구조]동도동기론의 개념, 동도동기론과 오리엔탈리즘, 동도동기론과 인식론, 동도서기론의 개념, 동도서기론의 구조 분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동도동기론][동도동기론 개념][오리엔탈리즘][인식론][동도서기론 개념][동도서기론 구조]동도동기론의 개념, 동도동기론과 오리엔탈리즘, 동도동기론과 인식론, 동도서기론의 개념, 동도서기론의 구조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동도동기론의 개념

Ⅲ. 동도동기론과 오리엔탈리즘

Ⅳ. 동도동기론과 인식론

Ⅴ. 동도서기론의 개념

Ⅵ. 동도서기론의 구조
1. 동도서기론의 논리구조
2. 동도서기론의 논리구조에 대한 위정척사론자들의 견해

참고문헌

본문내용

써 기가 없으면 도는 그 이름조차 성립되지 않는다고 하여 기의 측면을 강조하였다. 뒤에서 서술하겠지만 우리는 1880년대 동도서기론이 정부의 공식적인 근대화정책의 이론으로 채택되어 김윤식이 직접 그러한 내용의 고종의 교서를 작성하고 있는 것을 볼 때, 그의 이러한 도와 기에 대한 인식은 매우 유의할 필요가 있다. 즉 그는 서양의 교는 배척하되 서양의 기는 이용후생의 측면이 있기 때문에 농업, 양잠, 의약, 병기, 주차 등 기술 문명은 수용해야 한다고 하였다.
그가 서양의 종교적인 측면에 대하여 근본적으로 거부하고 있는 것은 바로 동양의 기존의 윤리질서가 서양의 종교를 수용할 경우 해체된다고 보았기 때문이었다. 이러한 김윤식의 동도서기론의 논리는 당시 개화정책을 추진해 나간 관료들의 대표적인 이론으로 보아도 좋을 것이다. 동도서기의 논리구조는 김윤식과 같은 관료출신뿐 만 아니라 재야의 학자에서도 살필 수 있다.
윤선학은 왕륜울 도라고 하고, 주차, 국사, 농업, 기계 등은 백성과 나라에 유용한 기라고 주장하였다. 여기서 윤선학은 그가 변화시키고자 하는 것은 기이지 도가 아니라고 하였다. 동도서기론이 정연한 논리체계를 갖추게 된 것은 1881년이었다. 신기선은 안종수가 저술한 (농정신편)의 서문에서 동도와 서기를 나누어 도는 3강과 5륜을 포함하는 유교윤리를 가르치고 기는 예약(예약), 형정(형정), 복식(복식-의복과 장식구), 기명(기명-살림에 쓰이는 그릇들)을 지칭하는 것이라고 하였다.
2. 동도서기론의 논리구조에 대한 위정척사론자들의 견해
위정척사론자들은 서양의 기계를 ‘기기음교(奇器淫巧)로 지목하여 추호도 그 수용을 인정하지 않았다. 유종교, 이진상, 김한섭 등은 동도서기론의 논리를 그들의 철저한 유교윤리에 의거하여 비판하였다. 그 핵심은 이렇다. 부국강병을 하기 위해서는 충효를 배양하고 절의를 장려해야 하며 기계의 예리하지 못함은 걱정할 바가 아니라고 하였다.
참고문헌
▷ 송종필(2000), 동도동기론적 해석학과 율려 신학, 감리교신학대학교
▷ 우실하(1998), 오리엔탈리즘의 해체를 위한 인식 전환으로서의 동도동기론, 동양사회사상학회
▷ 우실하(2008), 한국인의 색 감각과 오리엔탈리즘, 한국사회학회
▷ 우실하(1997), 오리엔탈리즘의 해체와 우리문화 바로 읽기, 소나무
▷ 장영숙(2003), 동도서기론의 연구동향과 과제, 한국역사연구회
▷ 최윤수(2003), 동도서기론의 재해석, 한국동양철학회
  • 가격6,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3.07.11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5764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