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정서의 개요
1. 쾌락
2. 애정
3. 공포
4. 분노
5. 불안
6. 질투
7. 수치심
Ⅱ. 정서의 의미
Ⅲ. 정서의 중요성
Ⅳ. 정서와 정신
Ⅴ. 정서와 정서교육
Ⅵ. 정서와 생활
1. 정서적 성숙의 특징
2. 정서와 생활과정
3. 정서와 생리작용
1) 정서와 생리작용
2) 정서와 학습
3) 정서장애아에 대한 배려
Ⅶ. 정서와 음악
참고문헌
1. 쾌락
2. 애정
3. 공포
4. 분노
5. 불안
6. 질투
7. 수치심
Ⅱ. 정서의 의미
Ⅲ. 정서의 중요성
Ⅳ. 정서와 정신
Ⅴ. 정서와 정서교육
Ⅵ. 정서와 생활
1. 정서적 성숙의 특징
2. 정서와 생활과정
3. 정서와 생리작용
1) 정서와 생리작용
2) 정서와 학습
3) 정서장애아에 대한 배려
Ⅶ. 정서와 음악
참고문헌
본문내용
있어서는 어떤 욕구불만이나 심한 갈등상태에 있기 때문에 정서의 긴장상태가 지속되며 이로 말미암아 신경등적 반응이나 부적당한 정서반응을 일으키는 행동도 나타난다.
Ⅶ. 정서와 음악
음악에 대한 정서적 반응의 다양성은 대단하다. 모든 유형들은 자율신경시스템의 생리적 반응들을 동반한다. Hector berlioz의 음악 감상 과정상에 나타나는 신체적 반응에 대한 설명은 Schoen(1940)이 보고한 것처럼 혈액순환 증가, 맥박의 빨라짐, 근육 긴장 떨림 발과 손의 마비(둔화), 청력과 시력 조정 신경의 부분적 마비 등을 포함했다. 특정한 생리적 속도에서의 변화는 정서적 반응에 수반된다는 것은 객관적으로 입증된 사실이다. 이러한 변화 자체가 정서적 행위냐 하는 문제는 해석에 달려 있다. 행동주의자는 그러한 변화들이 관철될 수 있기 때문에(측정도구를 통해) 정서적 행위라고 주장할 것이다. 그러나 또 다른 관점은 이것은 단지 정서적 반응의 생리적 상관형상일 뿐이라고 볼 것이다. 왜냐하면, 느낌이란 것은 명백하게 생리적인 것이기보다는 심리적인 것이기 때문이다.
일반적 정서적 행동은 기분 또는 특성반응이다. 서구 문화에 있어서 특정한 음악적 소리 패턴들은 여러 가지 상이한 심리적 기분상태를 반영해주게 된다. 특정한 음악은 위로감을 주거나 이완시켜주고, 어떤 음악은 좌절감이나 흥분을 유발시킨다. 음악이 특징지을 수 있는 기분의 범위는 인간이 느낄 수 있는 기분의 범위만큼이나 크다. 음악이 기분 반응을 이끌어 낼 수 있다는 것은 의심할 여지가 없다. 더구나, 주어진 문화적 맥락 속에서 많은 사람들은 특정한 유형에 의해 야기된 기분이나 그러한 음악의 실례들에 관하여 동의하고 있다. 기분반응의 근저에 있는 변수들은 다양한 반면, 음악이 어떠한 기분반응을
이끌어 내든 그것은 그 음악 자체가 지닌 고유한 특색이나 분위기에 대한 반응 훨씬 그 이상이라는 점이 강조되어져야 한다. 음악에 대한 기분 반응은 사실상 음악에 대한 모든 반응에서와 마찬가지로, 기본적으로 음악에 대한 개인의 선행 경험에 의해서 결정된다. 학습은 모든 음악적 행위, 정서적 또는 여타의 행위의 토대를 형성하는 것이다.
음악에 대한 정서적 반응은 또한 그 음악에 대한 개인의 연상에 의해 영향 받을 수 있다. 청소년기 때 들었던 음악을 들으면, 그 음악에 연상되는 당시의 느낌을 다시 불러일으키게 되는 수가 있다. 자신들에게 특별했던 어떤 상황들을 떠올리며 음악으로 연상되는 경험들로 강한 감정을 불러일으키는 음악의 힘은 사람들에게 인생의 중요한 많은 사건들을 다시 경험하게 해주는 메커니즘을 제공한다.
참고문헌
박지영(2003), 인격교육에서의 정서의 의미고찰, 연세대학교
신은경(2003), 초등학교 아동들의 정서와 음악 선호, 한양대학교
안경수(2011), 정서교육에 대한 정당화, 한국교육철학회
유정배(2006), 신앙성장에 있어서 정서의 중요성,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
최강순(1981), 정서생활 훈련의 강화, 강원도교육청
함준석(2012), 정서이론 기반의 인공정서 설계와 구현, 숭실대학교
Ⅶ. 정서와 음악
음악에 대한 정서적 반응의 다양성은 대단하다. 모든 유형들은 자율신경시스템의 생리적 반응들을 동반한다. Hector berlioz의 음악 감상 과정상에 나타나는 신체적 반응에 대한 설명은 Schoen(1940)이 보고한 것처럼 혈액순환 증가, 맥박의 빨라짐, 근육 긴장 떨림 발과 손의 마비(둔화), 청력과 시력 조정 신경의 부분적 마비 등을 포함했다. 특정한 생리적 속도에서의 변화는 정서적 반응에 수반된다는 것은 객관적으로 입증된 사실이다. 이러한 변화 자체가 정서적 행위냐 하는 문제는 해석에 달려 있다. 행동주의자는 그러한 변화들이 관철될 수 있기 때문에(측정도구를 통해) 정서적 행위라고 주장할 것이다. 그러나 또 다른 관점은 이것은 단지 정서적 반응의 생리적 상관형상일 뿐이라고 볼 것이다. 왜냐하면, 느낌이란 것은 명백하게 생리적인 것이기보다는 심리적인 것이기 때문이다.
일반적 정서적 행동은 기분 또는 특성반응이다. 서구 문화에 있어서 특정한 음악적 소리 패턴들은 여러 가지 상이한 심리적 기분상태를 반영해주게 된다. 특정한 음악은 위로감을 주거나 이완시켜주고, 어떤 음악은 좌절감이나 흥분을 유발시킨다. 음악이 특징지을 수 있는 기분의 범위는 인간이 느낄 수 있는 기분의 범위만큼이나 크다. 음악이 기분 반응을 이끌어 낼 수 있다는 것은 의심할 여지가 없다. 더구나, 주어진 문화적 맥락 속에서 많은 사람들은 특정한 유형에 의해 야기된 기분이나 그러한 음악의 실례들에 관하여 동의하고 있다. 기분반응의 근저에 있는 변수들은 다양한 반면, 음악이 어떠한 기분반응을
이끌어 내든 그것은 그 음악 자체가 지닌 고유한 특색이나 분위기에 대한 반응 훨씬 그 이상이라는 점이 강조되어져야 한다. 음악에 대한 기분 반응은 사실상 음악에 대한 모든 반응에서와 마찬가지로, 기본적으로 음악에 대한 개인의 선행 경험에 의해서 결정된다. 학습은 모든 음악적 행위, 정서적 또는 여타의 행위의 토대를 형성하는 것이다.
음악에 대한 정서적 반응은 또한 그 음악에 대한 개인의 연상에 의해 영향 받을 수 있다. 청소년기 때 들었던 음악을 들으면, 그 음악에 연상되는 당시의 느낌을 다시 불러일으키게 되는 수가 있다. 자신들에게 특별했던 어떤 상황들을 떠올리며 음악으로 연상되는 경험들로 강한 감정을 불러일으키는 음악의 힘은 사람들에게 인생의 중요한 많은 사건들을 다시 경험하게 해주는 메커니즘을 제공한다.
참고문헌
박지영(2003), 인격교육에서의 정서의 의미고찰, 연세대학교
신은경(2003), 초등학교 아동들의 정서와 음악 선호, 한양대학교
안경수(2011), 정서교육에 대한 정당화, 한국교육철학회
유정배(2006), 신앙성장에 있어서 정서의 중요성,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
최강순(1981), 정서생활 훈련의 강화, 강원도교육청
함준석(2012), 정서이론 기반의 인공정서 설계와 구현, 숭실대학교
추천자료
[정서장애][정서장애아]정서장애(정서장애아)의 특성과 요인, 정서장애(정서장애아)의 분류와...
정신지체아 언어발달의 특징과 과정, 정신지체아 언어발달의 영향요인, 정신지체아 언어발달...
[장애유아][시각장애유아][정서장애유아][청각장애유아]장애유아의 부모교육, 장애유아의 프...
정신지체아 치료교육과 방법
[사회기술, 공격성]사회기술의 정의, 교수방법, 사회기술의 결함, 사회기술과 공격성, 사회기...
OECD 각국의 아동청소년 정신건강문제 개선을 위한 사회복지정책을 정리하고 우리나라에서 이...
[부모교육] 정신분석이론 학습을 통한 부모 교육 내용의 효율성 기여_ 리비도의 개념과 단계,...
[아동미술교육] 아동미술교육(어린이미술교육)의 의의와 필요성, 아동미술교육(어린이미술교...
한국 전통놀이(민속놀이)의 종류, 생성배경, 한국 전통놀이(민속놀이)의 역할, 본질, 한국 전...
[기독교基督敎교육심리] 정서발달을 위한 효과적 교육 원리의 모색 (효과적인 감성발달을 위...
[아동정신건강론 兒童精神健康論] 아동의 정신건강을 위한 교육환경 - 유아교육기관 환경의 ...
[아동정신건강론 兒童精神健康論] 코칭(Coaching)을 통한 아동정신건강 교육 - 아동 코칭의 ...
각 발달이론(정신분석이론, 학습이론, 인지발달이론, 생태학적 접근 이론)의 특성이 유아를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