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화엄경과 이체자
Ⅲ. 화엄경과 통가자
1. 훈(2442.2.1)
2. 화(1162.2.1)
3. 사(1546.1.3)
Ⅳ. 화엄경과 삼-을 표기하기 위한 자형
Ⅴ. 화엄경과 의미기능
1. 되게 하다
2. 위하다
1) 爲三
2) 위삼
Ⅵ. 결론
참고문헌
Ⅱ. 화엄경과 이체자
Ⅲ. 화엄경과 통가자
1. 훈(2442.2.1)
2. 화(1162.2.1)
3. 사(1546.1.3)
Ⅳ. 화엄경과 삼-을 표기하기 위한 자형
Ⅴ. 화엄경과 의미기능
1. 되게 하다
2. 위하다
1) 爲三
2) 위삼
Ⅵ. 결론
참고문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