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개요
Ⅱ. 17대 총선(415총선, 국회의원선거)의 의미
Ⅲ. 17대 총선(415총선, 국회의원선거)의 과정
Ⅳ. 17대 총선(415총선, 국회의원선거)의 정세
Ⅴ. 17대 총선(415총선, 국회의원선거)의 결과
1. 여대야소
2. 3김시대 청산
3. 여서야동(與西野東)
4. 국회의원 세대교체
5. 민주당과 자민련의 몰락
6. 민주노동당의 입성
7. 전대협 1기, 2기, 3기 의장 당선
8. 여성의원 사상 최대 입성
참고문헌
Ⅱ. 17대 총선(415총선, 국회의원선거)의 의미
Ⅲ. 17대 총선(415총선, 국회의원선거)의 과정
Ⅳ. 17대 총선(415총선, 국회의원선거)의 정세
Ⅴ. 17대 총선(415총선, 국회의원선거)의 결과
1. 여대야소
2. 3김시대 청산
3. 여서야동(與西野東)
4. 국회의원 세대교체
5. 민주당과 자민련의 몰락
6. 민주노동당의 입성
7. 전대협 1기, 2기, 3기 의장 당선
8. 여성의원 사상 최대 입성
참고문헌
본문내용
진행됐다.
또 16대 국회의원 273명 가운데 이번 총선에서 생환(生還)한 의원은 27.3%인 76명에 불과했다. 이는 26명이 늘어나 의원정수가 299명이 된 17대 국회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25%에 그친다는 얘기여서, 새 국회에는 4분의 3의 의석이 사실상 신진기예(新進技藝))로 수혈된다는 의미이다.
이처럼 과거의 정치 패러다임이 지배하던 국회는 이번 총선의 급속한 세대교체와 광범위한 물갈이로 인해 새 판이 짜여진 셈이고, 따라서 새 국회는 유권자들의 이런 선택에 부응할 과제를 안고 출발선에 서게 됐다.
5. 민주당과 자민련의 몰락
호남의 맹주가 바뀐 이유는 호남의 유권자들이 반(反) 한나라당 정서 속에서 민주당을 외면한 채 확실하게 열린우리당을 밀어준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또한 대전에서는 최소투표도시가 된 것은 자민련의 인물난 부재에서 파생한 결과이기도 하다.
민주당 추미애(秋美愛) 선대위원장은 `삼보일배\'와 김대중(金大中) 전 대통령에 대한 끝없는 애정표시로 지역정서를 자극하며 전통적 지지층의 재결집을 시도했지만, 돌아선 민심을 되돌리는 데는 역부족이었다. 자민련이 완전한 퇴조세에도 불구하고, 오직 충남에서도 지역구 4석만 건지고 김종필 대표의 9선도 막을 내렸다.
6. 민주노동당의 입성
이와 함께 이번 총선의 중요한 특징은 진보정당인 민주노동당의 첫 원내진출과 개혁을 표방한 열린우리당의 대약진으로 원내 이념의 지도가 보-혁구도로 재편됐다는데 있다. 민노당은 44년 만에 진보세력의 원내진출이라는 숙원을 풀었고, 앞으로 이라크 파병 등 외교분야 뿐만 아니라 분배중심의 경제정책 추진 등 정국 주요 현안에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할 것으로 보인다.
7. 전대협 1기, 2기, 3기 의장 당선
15일 당선된 열린우리당 신인 중에는 친노(親盧)그룹 외에도 학생 노동 운동권 출신 인사들과 변호사, 언론인 재벌기업CEO 출신 등 다양한 전문가 그룹들이 포함되어 있다.
그 중에서 가장 눈에 띄는 그룹은 전대협 1기 의장 이인영(고려대)씨, 전대협 2기 의장 오영식(고려대) 전 의원, 전대협 3기 의장 임종석(한양대) 의원 등 전대협 1~3기 의장 모두 열린우리당 간판으로 서울에서 당선되었다.
이들 외에 전대협 간부출신인 송영길, 이기우, 김태년, 최재성, 백원우, 복기왕이 대거 진출했다. 이들은 현 김영춘의원, 임종석의원 등에 합류함으로써 당내에서 영향력이 큰 계파를 형성하게 되었다. 개혁당 세력에는 창당 멤버인 김원웅, 유시민 의원 외에도 김태년 전중앙집행위원장 등 개혁당 세력도 당선 대열에 합류해 열린우리당 내 진보서향 그룹의 세력은 더 막강해졌다고 할 수 있다.
8. 여성의원 사상 최대 입성
17대 총선을 계기로 여의도 정가에서는 여성정치인 시대가 문을 활짝 열었다. 전체의원 정수 299명 가운데 40여명의 당선자를 내 10% 이상이 여성의원들로 채워지게 되었다. 여성비율이 16대 총선에 비해 괄목할 만한 발전을 이룬 셈이다. 또한 미모에 유려한 입담으로 주목을 받는 열린우리당, 한나라당, 민주당 3당의 여성 대변인들은 모두 비례대표제로 금배지를 달게 되었다.
참고문헌
김민익, 한국신문의 제17대 총선보도 특성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2005
신두철, 제17대 총선에서 선거법의 영향력 분석, 한국민주시민교육학회, 2004
안철현, 17대 총선에서의 지역주의와 정당정책, 한국지역사회연구소, 2004
안중근, 유권자의 이념 성향과 정당투표 : 17대와 18대 국회의원 선거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2011
언론개혁시민연대, 17대 총선과 언론보도 : 토론회, 2004
참여연대 사회복지위원회, 17대 총선의 각 정당별 사회복지 공약평가, 참여연대, 2004
또 16대 국회의원 273명 가운데 이번 총선에서 생환(生還)한 의원은 27.3%인 76명에 불과했다. 이는 26명이 늘어나 의원정수가 299명이 된 17대 국회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25%에 그친다는 얘기여서, 새 국회에는 4분의 3의 의석이 사실상 신진기예(新進技藝))로 수혈된다는 의미이다.
이처럼 과거의 정치 패러다임이 지배하던 국회는 이번 총선의 급속한 세대교체와 광범위한 물갈이로 인해 새 판이 짜여진 셈이고, 따라서 새 국회는 유권자들의 이런 선택에 부응할 과제를 안고 출발선에 서게 됐다.
5. 민주당과 자민련의 몰락
호남의 맹주가 바뀐 이유는 호남의 유권자들이 반(反) 한나라당 정서 속에서 민주당을 외면한 채 확실하게 열린우리당을 밀어준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또한 대전에서는 최소투표도시가 된 것은 자민련의 인물난 부재에서 파생한 결과이기도 하다.
민주당 추미애(秋美愛) 선대위원장은 `삼보일배\'와 김대중(金大中) 전 대통령에 대한 끝없는 애정표시로 지역정서를 자극하며 전통적 지지층의 재결집을 시도했지만, 돌아선 민심을 되돌리는 데는 역부족이었다. 자민련이 완전한 퇴조세에도 불구하고, 오직 충남에서도 지역구 4석만 건지고 김종필 대표의 9선도 막을 내렸다.
6. 민주노동당의 입성
이와 함께 이번 총선의 중요한 특징은 진보정당인 민주노동당의 첫 원내진출과 개혁을 표방한 열린우리당의 대약진으로 원내 이념의 지도가 보-혁구도로 재편됐다는데 있다. 민노당은 44년 만에 진보세력의 원내진출이라는 숙원을 풀었고, 앞으로 이라크 파병 등 외교분야 뿐만 아니라 분배중심의 경제정책 추진 등 정국 주요 현안에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할 것으로 보인다.
7. 전대협 1기, 2기, 3기 의장 당선
15일 당선된 열린우리당 신인 중에는 친노(親盧)그룹 외에도 학생 노동 운동권 출신 인사들과 변호사, 언론인 재벌기업CEO 출신 등 다양한 전문가 그룹들이 포함되어 있다.
그 중에서 가장 눈에 띄는 그룹은 전대협 1기 의장 이인영(고려대)씨, 전대협 2기 의장 오영식(고려대) 전 의원, 전대협 3기 의장 임종석(한양대) 의원 등 전대협 1~3기 의장 모두 열린우리당 간판으로 서울에서 당선되었다.
이들 외에 전대협 간부출신인 송영길, 이기우, 김태년, 최재성, 백원우, 복기왕이 대거 진출했다. 이들은 현 김영춘의원, 임종석의원 등에 합류함으로써 당내에서 영향력이 큰 계파를 형성하게 되었다. 개혁당 세력에는 창당 멤버인 김원웅, 유시민 의원 외에도 김태년 전중앙집행위원장 등 개혁당 세력도 당선 대열에 합류해 열린우리당 내 진보서향 그룹의 세력은 더 막강해졌다고 할 수 있다.
8. 여성의원 사상 최대 입성
17대 총선을 계기로 여의도 정가에서는 여성정치인 시대가 문을 활짝 열었다. 전체의원 정수 299명 가운데 40여명의 당선자를 내 10% 이상이 여성의원들로 채워지게 되었다. 여성비율이 16대 총선에 비해 괄목할 만한 발전을 이룬 셈이다. 또한 미모에 유려한 입담으로 주목을 받는 열린우리당, 한나라당, 민주당 3당의 여성 대변인들은 모두 비례대표제로 금배지를 달게 되었다.
참고문헌
김민익, 한국신문의 제17대 총선보도 특성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2005
신두철, 제17대 총선에서 선거법의 영향력 분석, 한국민주시민교육학회, 2004
안철현, 17대 총선에서의 지역주의와 정당정책, 한국지역사회연구소, 2004
안중근, 유권자의 이념 성향과 정당투표 : 17대와 18대 국회의원 선거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2011
언론개혁시민연대, 17대 총선과 언론보도 : 토론회, 2004
참여연대 사회복지위원회, 17대 총선의 각 정당별 사회복지 공약평가, 참여연대, 2004
추천자료
우리나라에 올바른 선거문화를 정착하는 데 저해하는 요소
인터넷과 선거/사이버정치
미군정 하에서의 선거
재보궐 선거의 의미와 특징, 전략
한국 정치의 특성과 비판(한국의 선거제도)
캐나다의 정당과 선거제도
공공선택 메커니즘으로서 선거제도의 의미와 한계 및 개선방안
미디어 정치와 선거
[이슈] 통합진보당 부정선거 사태
<사회과 교수-학습 지도안> 우리나라의 선거(계획안, 본시 교수-학습 지도안, 별첨 1,2,3))
[5분 스피치, 투표와 계층 갈등] 선거 투표에 나타난 사회 계층간 갈등, 투표율 분석 및 문제...
최근 독일의 선거와 EU 내에서의 독일의 리더쉽
외국인 노동자의 선거권!.ppt
대통령탄핵에 관하여 [불법선거운동]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