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사도구와 PLS검사(취학전 아동의수용-표현 언어검사), 검사도구와 TOLD-P검사(초기언어발달검사), 검사도구와 기능적 언어행동검사, 검사도구와 사회성숙도검사, 검사도구와 상징놀이검사, 추체세포순응검사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검사도구와 PLS검사(취학전 아동의수용-표현 언어검사), 검사도구와 TOLD-P검사(초기언어발달검사), 검사도구와 기능적 언어행동검사, 검사도구와 사회성숙도검사, 검사도구와 상징놀이검사, 추체세포순응검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검사도구와 PLS검사(취학전 아동의수용-표현 언어검사)
1. 검사목적
2. 검사특징
3. 검사시 준비물
4. 검사시 고려점
5. 채점방법
6. 내용별 검사방법

Ⅱ. 검사도구와 TOLD-P검사(초기언어발달검사)
1. 검사개요
1) 목적
2) 내용
2. 검사방법
1) 검사대상
2) 검사실시

Ⅲ. 검사도구와 기능적 언어행동검사
1. 검사개요
1) 대상
2) 검사목적
3) 구성
2. 검사내용 및 방법
1) 의사소통적 기능/ 의도
2) 대화를 이끄는 능력
3. 검사시 유의 사항
4. 검사의 제한점

Ⅳ. 검사도구와 사회성숙도검사
1. 검사의 목적
2. 검사의 대상
3. 검사의 구성
1) 자조(SH-self help)
2) 이동(L-locomotion)
3) 작업(O-occupation)
4) 의사소통(C-communication)
5) 자기관리(SD-self direction)
6) 사회화(S-socialization)
4. 검사의 실시방법 및 유의점
5. 검사결과의 채점
6. 검사의 장․단점
1) 장점
2) 단점

Ⅴ. 검사도구와 상징놀이검사
1. 정의
2. 의의
3. 구성 요소
1) 역할의 가작화
2) 사물의 가작화
3) 행위 대상의 변화
4. 상징놀이의 발달기관과 언어발달의 관계 비교
1) 전 상징적 행동(Presymbolic scheme, 11-13개월)
2) 자동적 상징행동(Autosymbolic scheme, 13-16개월)
3) 단순상징행동(Single scheme, 16-20개월)
4) 조합적 상징행동(Limerar combinational scheme, 18-24개월)
5) 체계적 상징행동
5. 상징놀이를 통한 언어지도
1) 구성
2) 훈련방법
3) 의의

Ⅵ. 검사도구와 추체세포순응검사
1. 검사도구의 구성
2. 검사 대상
3. 준비물
4. 검사방법

참고문헌

본문내용

mbolic scheme, 13-16개월)
자는 척, 먹는 척하는 것과 같이 자신의 실제 행동과 관련이 있는 것을 자신의 몸으로 흉내를 내보는 행동이 나타남
언어는 첫 단어를 사용하기 시작하고 명사의 참조적 기능이 나타난다.
3) 단순상징행동(Single scheme, 16-20개월)
자신이 직접 흉내내는 것이 아니라 인형에게 물을 먹이는 것과 같이 다른 대상에게 상징행동을 해 보이고 또 요리를 하는 것과 같이 흉내내는 행동이 자신의 실제 활동이 아닌 다른 사람의 활동에서 가져오는 행동이 포함된다.
한 단어를 말을 하고 한 단어가 문장의 역할을 한다.
4) 조합적 상징행동(Limerar combinational scheme, 18-24개월)
인형에게 먹이고 자기도 먹는 것과 같이 둘 이상이 대상에게 해 보이는 것과 인형에게 물을 먹이고 머리를 빗겨 주는 것과 같이 한 대상에게 두 가지 이상의 행동을 해 보이는 것을 말한다.
언어는 두 단어로 말을 하되 문장의 규칙을 지키지 못하고 말을 한다.
5) 체계적 상징행동
인형에게 컵을 쥐어 주는 것과 같이 무생물을 행동의 주체로 사용하거나 인형에게 먹이기 전에 “먹자”라고 말하는 것과 같이 행동하기 전에 말로써 행동을 계획하는 행동이다. 또 가위를 우유병 대신 사용하는 것과 같이 한 물건을 다른 물건으로 대체하는 행동이 포함된다.
문장론에 맞게 두 세 단어를 조합하여 문장을 만들어 사용한다.
5. 상징놀이를 통한 언어지도
1) 구성
상징놀이를 통한 언어지도는 아동이 접하기 쉬운 환경을 사회극화하여 구조화된 환경으로 제시하고, 그러한 상황에서 이루어지는 언어를 목표문장으로 설정하여, 상황에 맞게 적절한 문장을 표현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2) 훈련방법
목표 문장의 표현을 위한 직접 교수 방법과 놀이를 통한 아동의 동기유발요소를 강화하고, 놀이 형태 이외의 아동이 반응에 자연스럽게 반응할 수 있도록 사회적이고 자연적인 대화를 사용함으로써 자연적 교수 절차를 절충하여 구안한다.
3) 의의
구조화된 놀이는 동기를 유발하는 효과적인 의사소통 환경을 제공하고, 일반 환경에서 갖기 쉬운 돌발적인 상황의 제한성을 최소화하여 효과적인 언어지도를 실시할 수 있다.
Ⅵ. 검사도구와 추체세포순응검사
추체 세포 순응 검사는 Lea Hyvarinen이 개발했고, Precision Vision社에서 보급하는 것을 선택했다.
1. 검사도구의 구성
이 검사도구는 5×5cm 크기의 적색, 청색, 백색 플라스틱 칩 5개로 구성되어 있다. 이 도구의 개발자는 교사가 저시력 학생의 조명의 강도에 따른 시기능을 알아보는데 도움을 줄 목적으로 고안했다. 개발 목적 자체가 교사의 사용을 전제로 하고 있기 때문에 교사들이 사용하기에 편리한 것이 특징으로, 비형식적 검사도구이다. 다만, 검사하는 교사는 매우 낮은 조명 아래에서도 색깔을 구별할 수 있어야 사용할 수 있다.
2. 검사 대상
색깔을 인지할 수 있는 아동이나 학생 또는 성인을 대상으로 사용할 수 있다.
3. 준비물
이 검사를 하는 데에는 다음과 같은 준비물이 필요하다.
- 탁자
- 의자
- 조명의 강도를 조절할 수 있는 조명시설이나 스탠드 라이트
- 탁자를 덮을 수 있는 정도로 큰 어두운 색깔의 천
- 조도계(보다 정확성을 기하기 위해서)
그 밖에 창문에 차광막을 칠 수 있어야 한다.
4. 검사방법
1) 칩은 어두운 색 배경 위에 놓는다. 예를 들어, 어두운 색 테이블 보를 테이블에 씌운 후에 그 후에 15개의 칩을 흩으러 놓는다. 피실험 아동이나 학생이 색깔을 잘 구별하면 칩을 색깔별로 짝을 맞추기를 하게 한다. 교사는 조명을 어둡게 하고 나서 칩을 섞고 칩을 다시 한 번 색깔별로 맞추도록 한다.
2) 피험자가 색깔을 구별할 수 있는 조명 중 가장 낮은 조명이 되도록 조명을 바꾸고 다시 칩을 색깔별로 짝 맞추도록 한다. 피험자에게 다음에는 조명을 아주 어둡게 할 것이라고 얘기한다. 이 때 칩은 짝이 맞춰진 대로 둔다.
3) 교사 자신이 겨우 칩의 색깔을 구별할 수 있을 정도로 조명을 낮게 하고, 눈이 순응할 수 있도록 몇 초 정도 기다린다. 이번에는 아동에게 백색 칩을 고르도록 한다. 어두운 조명에서는 이 색이 가장 잘 보이기 때문에 이것은 쉽게 할 수 있다. 적색과 청색 칩이 남는데, 그 중에서 청색 칩을 고르도록 한다. 만일 피험자가 실수를 하더라도 이것을 언급해서는 안 된다.
조명을 조금씩 밝게 하면서 칩의 색깔별 짝 맞추기를 한다. 아동이 칩의 색깔을 잘 맞추어서 고를 수 있는 정도의 조명의 밝기를 파악한다. 이 상태의 조명의 밝기가 피험자가 일상생활을 하면서 시각적으로 순응하기에 가장 편한 상태이다.
4) 만일 피험자에게 시간을 더 주면 박명(薄明) 정도의 밝기에서도 칩을 색깔별로 짝 맞추기를 할 수 을 수도 있다. 이렇게 어두운 조명 아래에서 검사할 경우에는 피험자에게 15-20분 정도 시간을 주고 순응하게 한다. 이 때 피험자와 대화를 나누어서 라포를 형성하는 것이 좋다. 이 박명은 저녁 때 밖에서 방으로 들어왔을 때 조명을 켜지 않은 상태로, 이렇게 약한 정도에서도 시각적으로 잘 순응하고 있는지를 알아보고 싶을 때에는 이와 같은 밝기에서 앞의 검사를 바로 실시할 수 있다.
야간이나 어두운 곳에서 눈이 순응하는 시간은 밝은 곳에서 순응하는 시간보다 길며 때로 바로 검사할 수 없을 정도로 긴 시간을 요할 수도 있다. 이 어두운 곳에서의 순응은 안질환과 깊은 관련이 있으므로 시험 결과를 안과의사와 상의하는 것이 좋다.
참고문헌
○ 강진경 외 1명(2007), 취학전 단순언어장애아동의 음운인식에 관한 연구,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 김효선(2001), 구개파열 영유아의 초기 언어발달 특성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 문병상(2011), 미래지향적 목표의 검사도구 개발 및 타당화, 한국교육평가학회
○ 이상복 외 4명(2010), 기능적 언어재활 및 문제행동 중재 콘텐츠 개발 및 적용실태 연구, 대구대학교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 형구암 외 2명(2011), 발달장애아동의 심리사회발달을 위한 사회성숙도 검사의 효과검증, 한국발육발달학회
○ 한경진(2009), 영유아의 상징놀이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추천자료

  • 가격7,5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13.07.12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5827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