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채만식의 생애
Ⅲ. 채만식의 평가
Ⅳ. 채만식의 문학세계
1. 1880~1910년대에 이르는 이른바 개항기
2. 1910~1920년대 말엽까지 일제 군국주의 상황
3. 1930년대 위기의 시대
4. 1945년 해방을 전후한 각 5년간의 시기
Ⅴ. 채만식의 풍자소설
Ⅵ. 채만식의 소설 치숙 작품분석
1. 줄거리
2. 감상
3. 특징
4. ‘나’를 통해 비판하고자 한 것
5. 독백체, 경어체를 사용한 효과
6. 인물
Ⅶ. 채만식의 소설 명일 작품분석
1. 발생적 측면
2. 전략의 확산이 지배계급에 대한 모방을 통해 이루어지기 때문
Ⅷ. 채만식의 소설 태평천하 작품분석
Ⅸ. 결론
참고문헌
Ⅱ. 채만식의 생애
Ⅲ. 채만식의 평가
Ⅳ. 채만식의 문학세계
1. 1880~1910년대에 이르는 이른바 개항기
2. 1910~1920년대 말엽까지 일제 군국주의 상황
3. 1930년대 위기의 시대
4. 1945년 해방을 전후한 각 5년간의 시기
Ⅴ. 채만식의 풍자소설
Ⅵ. 채만식의 소설 치숙 작품분석
1. 줄거리
2. 감상
3. 특징
4. ‘나’를 통해 비판하고자 한 것
5. 독백체, 경어체를 사용한 효과
6. 인물
Ⅶ. 채만식의 소설 명일 작품분석
1. 발생적 측면
2. 전략의 확산이 지배계급에 대한 모방을 통해 이루어지기 때문
Ⅷ. 채만식의 소설 태평천하 작품분석
Ⅸ.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역할이 전적으로 조부한테만 집중되어 있는 점이 특징이다. 말하자면, 이 소설에서 표면에 드러난 인물은 조부 윤두섭뿐이다. 손자 종학은 일본에서 공부하는 것으로만 되어 있을 뿐 철저히 가려져 있는 인물이다. 더구나 조부 윤두섭은 시대의 변화를 감지할 줄 모르는 인물이요, 민족의 위기를 외면하고 자신의 이기심만을 채우는 퇴행적 인물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가 주목할 점은 「태평천하」의 일가가 이런 부정적 인물에 의한 가부장적 권위로만 지배되고 있다는 점이다. 윤두섭의 개인주의와 시대적 착각은 처음부터 작가가 알고 독자가 아는 것이지 윤두섭 자신은 모르는 법이다. 자신의 잘못을 그가 알면 그는 그 잘못을 고치거나 처음부터 그런 잘못을 저지르지 않을 것이다. 잘못이 잘못인 줄을 모르고 옳은 일처럼 자행될 때 그것은 상대방에게 웃기는 일이 된다. 작가는 멍청한 상태로 고스란히 행동하게 할 뿐이다. 독자는 이것을 모르면 안 된다. 이것이 여기서 나타나는 풍자이다.
「태평천하」는 그것이 말하고자 하는 내용보다 그것을 말하려는 작가의 태도가 더 강조된 소설이다. 주인공 윤두섭이 구한말 자기 조상의 시대를 ‘저주받은 시대’로 보고 자신의 일제 시대를 ‘태평천하’로 여기는 것도 작가의 입장에서 보면 잘못을 잘못이라고 지적하지 않고 그 잘못을 사실대로 보여줌으로써 옳은 것을 깨닫게 하려는 작가의 태도가 엿보인다.
그런 쳐죽일 놈이, 깍아 죽여두 아깝쟎을 놈이! 그 놈이 경찰서장 하라닝게루 생판 사회주의 허다가 뎁다 경찰서에 잡혀? 오―아 육시를 할 놈이, 그놈이 그게 어디 당한 것이라구 지가 사회주의를 히여? 부자놈의 자식이 무엇이 대껴서 부랑패에 들어?
표면적인 문맥으로만 보면 윤두섭은 사회주의를 저주하고 있다. 그가 저주하는 것이기 때문에 또한 사회주의는 나쁜 것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그것을 말하는 작가의 태도는 그 반대다. 그 태도에 따라 우리는 지금까지 윤두섭의 생각도 잘못된 것이고, 그의 행동도 잘못된 것이었음을 확인해 왔기 때문이다. 그것이 바로 작가와 독자와의 약속이며, 또한 「태평천하」가 의도한 작가의 태도인 것이다. 잘못 판단하는 사람에 의해서 저주받는 사회주의는 거꾸로 작가가 옹호하는 새 시대의 이상인 것을 우리는 알 수 있다.
Ⅸ. 결론
「太平天下」는 일반적으로 風俗文學으로서의 그의 대표적 장편 소설로 높이 평가되고 있다. 당시 1930년 후기의 掌篇小說은 이른바 世態小說과 통상적 의미의 통속소설로 대별할 수 있었던 터에 풍자문학은 문단위기의 한 打開策으로서 환영 받기도 한다.
채만식의 경우, 諷刺小說이란 그 자체의 리얼리즘의 한 적극적인방법으로서 현실에 대한 비판정신의 間接話法이라는 측면에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채만식 문학에 대한 평가에 있어 따르는 문재는 문학사적인 評價을 내리기가 어렵다는 사실이다. 그것은 그의 84편이나 되는 많은 작품 중 굳이 諷刺性이 짙은 몇몇 작품에 한해서만 論及되는 등 그 동안 적잖이 疎外되었다가 70년대에 들어와서야 문학과 현실의 等價관계에서 또는 文藝社會學에의 관심에서 갑자기 再評價하기에 이른 데서도 볼 수 있다.
어차피 채만식의 諷刺文學이 社會와의 대응관계에서 살펴볼 때 작가의 自傳的인 환경요인과 더불어 富에 따르는 부조리에 대한 경제적 감각이 유달리 첨예했던 점을 하나의 素材源으로 분석될 수 있다. 그런 점에서 「太平天下」에 나타난 구체적인 시대의 굴절상을 따지되 拜金 · 利己 · 享樂의 비뚤어진 풍조가 맹목적인 富에의 욕구와 더불어 추악한 형태로 여실히 드러나 있음을 보게 된다.
諷刺란 이러한 현실 자체의 결함에 대한 야유와 복수로서 간접표현이 불가피한 시대에 대한 불가피한 間接話法이었다.
그러나 世態의 描寫나 그것의 풍자 역시 리얼리즘의 방법임에도 틀림이 없고, 다만 심판자답게 현실을 단죄하려는 공격성에 있음이 다르다.
채만식이 처음에는 知識人의 자기분열을 W.루이스 流의 자기풍자, 즉 知性의 힘으로 고민하는 지식인의 자아를 비판함으로써 극복하려 했다. 그 대표적 작품이 「레디메이드 人生」,「明日」이다. 그러나 채만식은 知性의 힘만으로 자신과 같은 계층인 실업지식인 주인공과 거리를 유지하는데 실패한다. 여기에서 나타난 새로운 形式이 「天下太平春」이다. 이 소설에서는 판소리의 이야기꾼을 생각나게 하는 나레이터가 작품의 전면에 드러나 이야기를 진행해 나감으로써 채만식은 전적으로 자신의 의사를 표출하지 않아도 소설이 성립하게 된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나레이터는 명확한 가치관을 제시해야 함으로 역기 어려움을 느낀 채만식은 마침내 대화의 기법을 작품에 도입한다. 이 방법은 대립되는 계층의 작중인물들이 서로의 가치관을 내세움으로써 빚어지는 말싸움을 직접화법으로 그대로 써서 채만식의 윤리관이 작품 전면에 드러나는 것을 최대한으로 막고 가치판단을 독자에게 미루는데 도움이 된다. 여기에서는 채만식의 성공작인 「痴叔」과 「少妄」이 쓰여 진다.
① 실제 작가와 가장 가까운 함축된 작가(Implied uthor)의 견해가 작품 전면에 드러나는 경우; 「레디메이드 人生」, 「明月」
② 실제작가와 좀 떨어진, 관찰자로서의 나레이터가 전면에 등장하여 가치 판단을 한 경우; 「天下太平春」
③ 등장인물 중 한명이 나레이터가 되어 가치판단을 하는 경우; 「痴叔」,「少妄」
①에 해당하는 함축적 작자는 지식인의 언어구조를 가지고 있고 ③의 등장인물로서의 나레이터는 생활인의 언어구조를 가지고 있다. 자신의 전망 부재에 한계를 느낀 작가가 생활인의 언어 및 대화과정에서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려 했다는 데서 풍자소설의 의의를 찾을 수 있으리라 본다.
참고문헌
1. 배지연(2010), 채만식 문학연구 : 문학장에서의 궤적을 중심으로, 경북대학교
2. 백미옥(2006), 소설 감상 학습 방법 연구 : 채만식의 치숙을 중심으로, 경성대학교
3. 이상준(1996), 채만식의 해방직후 소설 연구, 계명대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4. 이도연(2011), 채만식 문학 연구의 반성 : 친일 문제와 관련하여, 순천향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5. 조명기(2003), 채만식의 명일에 나타난 지식인의 현실 대응 양상, 우리말글학회
6. 황국명(1998), 채만식 소설연구, 태학사
「태평천하」는 그것이 말하고자 하는 내용보다 그것을 말하려는 작가의 태도가 더 강조된 소설이다. 주인공 윤두섭이 구한말 자기 조상의 시대를 ‘저주받은 시대’로 보고 자신의 일제 시대를 ‘태평천하’로 여기는 것도 작가의 입장에서 보면 잘못을 잘못이라고 지적하지 않고 그 잘못을 사실대로 보여줌으로써 옳은 것을 깨닫게 하려는 작가의 태도가 엿보인다.
그런 쳐죽일 놈이, 깍아 죽여두 아깝쟎을 놈이! 그 놈이 경찰서장 하라닝게루 생판 사회주의 허다가 뎁다 경찰서에 잡혀? 오―아 육시를 할 놈이, 그놈이 그게 어디 당한 것이라구 지가 사회주의를 히여? 부자놈의 자식이 무엇이 대껴서 부랑패에 들어?
표면적인 문맥으로만 보면 윤두섭은 사회주의를 저주하고 있다. 그가 저주하는 것이기 때문에 또한 사회주의는 나쁜 것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그것을 말하는 작가의 태도는 그 반대다. 그 태도에 따라 우리는 지금까지 윤두섭의 생각도 잘못된 것이고, 그의 행동도 잘못된 것이었음을 확인해 왔기 때문이다. 그것이 바로 작가와 독자와의 약속이며, 또한 「태평천하」가 의도한 작가의 태도인 것이다. 잘못 판단하는 사람에 의해서 저주받는 사회주의는 거꾸로 작가가 옹호하는 새 시대의 이상인 것을 우리는 알 수 있다.
Ⅸ. 결론
「太平天下」는 일반적으로 風俗文學으로서의 그의 대표적 장편 소설로 높이 평가되고 있다. 당시 1930년 후기의 掌篇小說은 이른바 世態小說과 통상적 의미의 통속소설로 대별할 수 있었던 터에 풍자문학은 문단위기의 한 打開策으로서 환영 받기도 한다.
채만식의 경우, 諷刺小說이란 그 자체의 리얼리즘의 한 적극적인방법으로서 현실에 대한 비판정신의 間接話法이라는 측면에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채만식 문학에 대한 평가에 있어 따르는 문재는 문학사적인 評價을 내리기가 어렵다는 사실이다. 그것은 그의 84편이나 되는 많은 작품 중 굳이 諷刺性이 짙은 몇몇 작품에 한해서만 論及되는 등 그 동안 적잖이 疎外되었다가 70년대에 들어와서야 문학과 현실의 等價관계에서 또는 文藝社會學에의 관심에서 갑자기 再評價하기에 이른 데서도 볼 수 있다.
어차피 채만식의 諷刺文學이 社會와의 대응관계에서 살펴볼 때 작가의 自傳的인 환경요인과 더불어 富에 따르는 부조리에 대한 경제적 감각이 유달리 첨예했던 점을 하나의 素材源으로 분석될 수 있다. 그런 점에서 「太平天下」에 나타난 구체적인 시대의 굴절상을 따지되 拜金 · 利己 · 享樂의 비뚤어진 풍조가 맹목적인 富에의 욕구와 더불어 추악한 형태로 여실히 드러나 있음을 보게 된다.
諷刺란 이러한 현실 자체의 결함에 대한 야유와 복수로서 간접표현이 불가피한 시대에 대한 불가피한 間接話法이었다.
그러나 世態의 描寫나 그것의 풍자 역시 리얼리즘의 방법임에도 틀림이 없고, 다만 심판자답게 현실을 단죄하려는 공격성에 있음이 다르다.
채만식이 처음에는 知識人의 자기분열을 W.루이스 流의 자기풍자, 즉 知性의 힘으로 고민하는 지식인의 자아를 비판함으로써 극복하려 했다. 그 대표적 작품이 「레디메이드 人生」,「明日」이다. 그러나 채만식은 知性의 힘만으로 자신과 같은 계층인 실업지식인 주인공과 거리를 유지하는데 실패한다. 여기에서 나타난 새로운 形式이 「天下太平春」이다. 이 소설에서는 판소리의 이야기꾼을 생각나게 하는 나레이터가 작품의 전면에 드러나 이야기를 진행해 나감으로써 채만식은 전적으로 자신의 의사를 표출하지 않아도 소설이 성립하게 된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나레이터는 명확한 가치관을 제시해야 함으로 역기 어려움을 느낀 채만식은 마침내 대화의 기법을 작품에 도입한다. 이 방법은 대립되는 계층의 작중인물들이 서로의 가치관을 내세움으로써 빚어지는 말싸움을 직접화법으로 그대로 써서 채만식의 윤리관이 작품 전면에 드러나는 것을 최대한으로 막고 가치판단을 독자에게 미루는데 도움이 된다. 여기에서는 채만식의 성공작인 「痴叔」과 「少妄」이 쓰여 진다.
① 실제 작가와 가장 가까운 함축된 작가(Implied uthor)의 견해가 작품 전면에 드러나는 경우; 「레디메이드 人生」, 「明月」
② 실제작가와 좀 떨어진, 관찰자로서의 나레이터가 전면에 등장하여 가치 판단을 한 경우; 「天下太平春」
③ 등장인물 중 한명이 나레이터가 되어 가치판단을 하는 경우; 「痴叔」,「少妄」
①에 해당하는 함축적 작자는 지식인의 언어구조를 가지고 있고 ③의 등장인물로서의 나레이터는 생활인의 언어구조를 가지고 있다. 자신의 전망 부재에 한계를 느낀 작가가 생활인의 언어 및 대화과정에서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려 했다는 데서 풍자소설의 의의를 찾을 수 있으리라 본다.
참고문헌
1. 배지연(2010), 채만식 문학연구 : 문학장에서의 궤적을 중심으로, 경북대학교
2. 백미옥(2006), 소설 감상 학습 방법 연구 : 채만식의 치숙을 중심으로, 경성대학교
3. 이상준(1996), 채만식의 해방직후 소설 연구, 계명대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4. 이도연(2011), 채만식 문학 연구의 반성 : 친일 문제와 관련하여, 순천향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5. 조명기(2003), 채만식의 명일에 나타난 지식인의 현실 대응 양상, 우리말글학회
6. 황국명(1998), 채만식 소설연구, 태학사
추천자료
알프레드되블린소설{왕룬의세번의도약}에서[헌사Zueignung]에대한고찰
소설, 수필, 희곡에 대하여... 문학 비교 설명
소설 테스를 읽고 ( 독후감 및 테스 분석자료 )
현대소설론
인정소설 금병매에 관한 연구
현대소설55편 정리 및 조사
[연암 박지원][연암][박지원][실학파 문학][실학사상][박지원의 소설][박지원의 사상]연암 박...
소설 창작 교육의 방안과 전망
소설의 주제
의인소설과 우화소설의 동물, 식물 이미지에 대한 자신의 생각 - 장끼전을 읽고
[독후감] 의인소설과 우화소설의 동물, 식물 이미지에 대한 자신의 생각 - 장끼전을 읽고
마크 트웨인의 Adventures of Huckleberry Finn을 읽고, 한 가지 주제를 정하여 그 주제에 관...
현대문학사문학의 정신과 기법의 전환문학의 논리와 방법의 전환소설의 양식과 기법의 분화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