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개요
Ⅱ. 단오의 유래와 의미
Ⅲ. 단오의 의의
Ⅳ. 단오의 세시풍속
Ⅴ. 단오와 강릉단오제
Ⅵ. 단오와 단오음식
Ⅶ. 단오와 단오풍정
1. 단오풍정 해석
2. 단오풍정 평가
Ⅷ. 단오와 물맞이
참고문헌
Ⅱ. 단오의 유래와 의미
Ⅲ. 단오의 의의
Ⅳ. 단오의 세시풍속
Ⅴ. 단오와 강릉단오제
Ⅵ. 단오와 단오음식
Ⅶ. 단오와 단오풍정
1. 단오풍정 해석
2. 단오풍정 평가
Ⅷ. 단오와 물맞이
참고문헌
본문내용
들과 같이 일부 계층에만 유행되었던 것은 아닌 듯싶다
2. 단오풍정 평가
이 작품은 신윤복 특유의 색감인 참신한 칼라와 돋보이는 소재선정으로 지금 현대인들에게도 큰 감탄을 자아내고 있다.
한량과 기녀들을 중심으로 한 그 시대의 기녀들의 생활과 그 시대에서 기녀들이 양반에게 미치는 정신적 지주와 같은 역할 등에 대한 것을 아주 과감히 표현하여 보수적인 조선 시대에 낯선 선정적인 그림을 남겼다.
특히 신윤복의 작품은 신윤복이 김홍도와 가장 크게 차이 나는 그 시대를 비판할 수 있는 소재의의 선정이나 그 양반들의 풍기 문란한 삶의 포착과 물질을 표현하는 은은한 선과 실물과도 흡사 비슷한 정확하고 섬세한 표현 방법과 그 구성 방법, 인물의 표정과 행동의 사실적인 표현 방법과 진짜 비단을 나타내는 듯한 감미로운 채색법 등에서 김홍도와 비슷한 듯하지만 많은 차이를 나타낸다.
그리고 신윤복의 이 작품은 손님을 맞이하기 전 기녀들의 목욕재개의 아름다운 정취와 분위기를 진짜 같은 나무와 웅장하면서도 푸르른 나무들로 가득할 것은 산과 너무 푸르러 물고기가 살 것 같은 강등을 아름다운 곡선과 채색을 즐겨 사용하여 매우 세련된 감각과 분위기를 지니고 있다.
또한 신윤복은 우리가 보통 알고 있던 조선 시대의 양반의 삶과는 조금 다른 문란하면서도 폐퇴적인 삶의 모습을 사실적으로 잘 표현해내어 역사적인 근거로써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그것이 내가 신윤복의 작품들을 선호하는 이유 중의 하나이다.
그리고 이 작품을 원한 주문자 또한 그 시대를 비판하고 풍자하기 위해서 이러한 그림을 주문한 것 같고, 혹 신윤복에게 주문한 것과 달랐을 지라도 이 작품을 보고 많은 것을 깨달았을 것 같다.
Ⅷ. 단오와 물맞이
단오절에 부인들이 \'물맞이\'를 하는 고장이 있다. 그 중에서도 유명한 곳은 \'전라북도의 덕진이라는 곳\'을 비롯하여 대개 못이나 폭포가 있는 곳에서 많이 하고 있다.
단옷날이면 물맞이를 하러 오는 부인들 로 그 근처는 온통 장터처럼 되어 버린다. 이 물맞이는 글자 그대로 물을 맞는 것으로, 물맞이를 하면 피 부병이 생기지 않고, 허리 아픈 데에도 좋다고 하며, 또 골수병도 없어진다고 한다. 그래서 단옷날이면 먼 지방에서도 찾아든다.
물맞이와는 달리 \'모래뜸질\', \'모래찜\'이라는 것도 있는데, 이것은 강가의 모래를 파헤치고 들어가, 모래를 몸에 끼얹거나 덮어서 뜸질을 하는 것이다. 이것도 병을 고치는 데 효과가 있다고 한다. 이 모래뜸질로 유명한 곳은 전라북도 줄포와 익산 등이다. 물맞이로 유명한 곳으로는 서 울의 정릉, 전라남도 광주의 무등산 물통폭포, 제주 한라산의 성판봉 폭포 등을 꼽았었다.
참고문헌
ⅰ. 강기리(2004), 조선시대 단오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ⅱ. 김선풍, 김경남(1998), 강릉단오제연구, 보고사
ⅲ. 김용환(1990), 한국의 풍속화, 민문사
ⅳ. 이광렬(2005), 우리나라 세시풍속, 청연
ⅴ. 이창식(2007), 단오문화유산과 문학콘텐츠, 강원도민속학회/강원도민속학회지
ⅵ. 장정룡(2002), 아시아의 단오민속, 국학자료원
2. 단오풍정 평가
이 작품은 신윤복 특유의 색감인 참신한 칼라와 돋보이는 소재선정으로 지금 현대인들에게도 큰 감탄을 자아내고 있다.
한량과 기녀들을 중심으로 한 그 시대의 기녀들의 생활과 그 시대에서 기녀들이 양반에게 미치는 정신적 지주와 같은 역할 등에 대한 것을 아주 과감히 표현하여 보수적인 조선 시대에 낯선 선정적인 그림을 남겼다.
특히 신윤복의 작품은 신윤복이 김홍도와 가장 크게 차이 나는 그 시대를 비판할 수 있는 소재의의 선정이나 그 양반들의 풍기 문란한 삶의 포착과 물질을 표현하는 은은한 선과 실물과도 흡사 비슷한 정확하고 섬세한 표현 방법과 그 구성 방법, 인물의 표정과 행동의 사실적인 표현 방법과 진짜 비단을 나타내는 듯한 감미로운 채색법 등에서 김홍도와 비슷한 듯하지만 많은 차이를 나타낸다.
그리고 신윤복의 이 작품은 손님을 맞이하기 전 기녀들의 목욕재개의 아름다운 정취와 분위기를 진짜 같은 나무와 웅장하면서도 푸르른 나무들로 가득할 것은 산과 너무 푸르러 물고기가 살 것 같은 강등을 아름다운 곡선과 채색을 즐겨 사용하여 매우 세련된 감각과 분위기를 지니고 있다.
또한 신윤복은 우리가 보통 알고 있던 조선 시대의 양반의 삶과는 조금 다른 문란하면서도 폐퇴적인 삶의 모습을 사실적으로 잘 표현해내어 역사적인 근거로써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그것이 내가 신윤복의 작품들을 선호하는 이유 중의 하나이다.
그리고 이 작품을 원한 주문자 또한 그 시대를 비판하고 풍자하기 위해서 이러한 그림을 주문한 것 같고, 혹 신윤복에게 주문한 것과 달랐을 지라도 이 작품을 보고 많은 것을 깨달았을 것 같다.
Ⅷ. 단오와 물맞이
단오절에 부인들이 \'물맞이\'를 하는 고장이 있다. 그 중에서도 유명한 곳은 \'전라북도의 덕진이라는 곳\'을 비롯하여 대개 못이나 폭포가 있는 곳에서 많이 하고 있다.
단옷날이면 물맞이를 하러 오는 부인들 로 그 근처는 온통 장터처럼 되어 버린다. 이 물맞이는 글자 그대로 물을 맞는 것으로, 물맞이를 하면 피 부병이 생기지 않고, 허리 아픈 데에도 좋다고 하며, 또 골수병도 없어진다고 한다. 그래서 단옷날이면 먼 지방에서도 찾아든다.
물맞이와는 달리 \'모래뜸질\', \'모래찜\'이라는 것도 있는데, 이것은 강가의 모래를 파헤치고 들어가, 모래를 몸에 끼얹거나 덮어서 뜸질을 하는 것이다. 이것도 병을 고치는 데 효과가 있다고 한다. 이 모래뜸질로 유명한 곳은 전라북도 줄포와 익산 등이다. 물맞이로 유명한 곳으로는 서 울의 정릉, 전라남도 광주의 무등산 물통폭포, 제주 한라산의 성판봉 폭포 등을 꼽았었다.
참고문헌
ⅰ. 강기리(2004), 조선시대 단오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ⅱ. 김선풍, 김경남(1998), 강릉단오제연구, 보고사
ⅲ. 김용환(1990), 한국의 풍속화, 민문사
ⅳ. 이광렬(2005), 우리나라 세시풍속, 청연
ⅴ. 이창식(2007), 단오문화유산과 문학콘텐츠, 강원도민속학회/강원도민속학회지
ⅵ. 장정룡(2002), 아시아의 단오민속, 국학자료원
추천자료
대하를 읽고
우리나라 세시민속놀이의 종류와 해설
조선시대의 여름나기
[남북교육이념][남북경제사회][남북선거제도][남북문학예술][남북명절]남한과 북한의 교육이...
[차례][차례상][설날][설][세시풍속][명절][전통명절][차례의 의미][차례상 차리기][설날의 ...
중국의 반한감정 - 2008 베이징 올림픽으로 본 반한감정
해서탈춤-봉산탈춤을 중심으로
중국문화산책(기말) 굿
[영남대] 현대 한국의 민속
조선과 고려의 법률제도
[놀이][놀이문화]놀이(놀이문화) 역할, 놀이(놀이문화)와 차속놀이, 놀이(놀이문화)와 청소년...
[한국여가의발전사] 우리나라 여가의 역사(한국 여가의 발전과정)
[한국지리여행 공통] 서해안, 남해안, 동해안, 제주도, 울릉도 중 3곳을 선정한 후 선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