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관세의 개념
II.관세의 종류
III.관세의 효과
[참고1] 세이프가드(safeguards)
[참고2] 세이프가드 사례 : 한/중 마늘분쟁
II.관세의 종류
III.관세의 효과
[참고1] 세이프가드(safeguards)
[참고2] 세이프가드 사례 : 한/중 마늘분쟁
본문내용
관세의 개념과 관세의 종류
I. 관세의 개념
1) 관세(customs, customs duties, tariff)
- 한 나라의 관세선을 통과하는 물품에 대해서 부과되는 조세
- 무역을 제한하는 가장 중요한 수단
- 고대에 도로, 교량, 항만시설 등의 사용수수료 등을 관습적으로
지불(customary payment) 한 것에서 유래
▶ Customs, Tariff의 비교
- 일반적으로 관세라고 하면 혹은 로 혼용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엄밀히 말해서하면 좀더 넓은 의미를 지니고,
하면 관세율에 관한 협의로 해석됨
2) 조세법률주의에 입각하여 관세도 법률에 의해 부과
[헌법 제95조] “조세의 종목과 세율은 법률로써 정한다”규정
▪ 관세도 일종의 조세이므로 법률에 의하지 않고는 부과할 수 없음
▪ 다만 비준 공포된 조약은 법률과 동일한 효력을 가지므로 조약에
의하여 관세를 부과 또는 면제가능
II. 관세의 종류
1. 과세의 기회에 의한 분류
1) 수입세 : 경제적 가치가 있는 모든 유체물을 수입할 때 부과되는 관세
2) 수출세 : 국내 상품이 외국으로 수출될 때 부과되는 관세로, 대부분의 국가에서는 수출세를 부과하지 않고 있음
- 독점 생산품 또는 국가 재정수입에 큰 자원이 될 수 있는 물품 등에 부과
(ex) 사우디의 원유, 브라질의 커피, 스리랑카의 홍차 등에 수출세 부과
2. 과세의 목적에 의한 분류
1) 재정관세
- 과세의 주목적이 국고수입의 확보: 세입관세
2) 보호관세
- 자국의 특정 산업을 보호할 목적으로 부과하는 관세
I. 관세의 개념
1) 관세(customs, customs duties, tariff)
- 한 나라의 관세선을 통과하는 물품에 대해서 부과되는 조세
- 무역을 제한하는 가장 중요한 수단
- 고대에 도로, 교량, 항만시설 등의 사용수수료 등을 관습적으로
지불(customary payment) 한 것에서 유래
▶ Customs, Tariff의 비교
- 일반적으로 관세라고 하면
있으나, 엄밀히 말해서
2) 조세법률주의에 입각하여 관세도 법률에 의해 부과
[헌법 제95조] “조세의 종목과 세율은 법률로써 정한다”규정
▪ 관세도 일종의 조세이므로 법률에 의하지 않고는 부과할 수 없음
▪ 다만 비준 공포된 조약은 법률과 동일한 효력을 가지므로 조약에
의하여 관세를 부과 또는 면제가능
II. 관세의 종류
1. 과세의 기회에 의한 분류
1) 수입세 : 경제적 가치가 있는 모든 유체물을 수입할 때 부과되는 관세
2) 수출세 : 국내 상품이 외국으로 수출될 때 부과되는 관세로, 대부분의 국가에서는 수출세를 부과하지 않고 있음
- 독점 생산품 또는 국가 재정수입에 큰 자원이 될 수 있는 물품 등에 부과
(ex) 사우디의 원유, 브라질의 커피, 스리랑카의 홍차 등에 수출세 부과
2. 과세의 목적에 의한 분류
1) 재정관세
- 과세의 주목적이 국고수입의 확보: 세입관세
2) 보호관세
- 자국의 특정 산업을 보호할 목적으로 부과하는 관세
추천자료
법인세 과세표준과 세액계산
쌀시장 개방에따른 우리의 대응방안
일본경제의 현황 및 통상 정책 분석
[발제문] 한미FTA에 대한 찬/반 토론
산업에대한 피해구제제도,반덤팡
WTO 보조금 협정상 간접 보조금의 법적 의미 및 구체적 적용 범위에 관한 고찰(A+레포트)★★★★★
우리나라 농산물 수출입의 실태와 문제점 및 개선방안
자유무역협정(FTA)의 체결추세와 한.미FTA-(체결되기까지의 과정을 중심으로)
우리나라 중앙예산기구의 변천과 유형
[경제자유구역]경제자유구역(FEZ)의 정의와 법률 제정목적, 경제자유구역(FEZ) 계획의 전개와...
러시아 산업화와 혁명
[조세정책][조세정책 개요][조세정책 환경][조세정책 실태][조세정책 개선방향][조세정책 과...
한ㆍEU FTA(Free Trade Agreement 자유무역협정)와 원산지결정기준과 원산지 절차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