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몸에 배어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컴퓨터를 통한 실천학습, 정보를 갖고 놀이하며, 인터넷이 골목대장이 될 수 있도록 우리는 많은 기회를 주어야한다.
이러한 디지털 세계에 대한 Nicholas Negroponte의 낙관주의는 현대에 살고 있는 인류의 끝없는 욕구를 뒷받침해 줄 수 있을 것이다. 우선, 비트 만능 이론이나 그 밖에 기술적인 면에 관해서는 어떠한 부정도 할 수 없는 사실이며 그 가능성 또한 점차 분명해 지고 있다. 그러나 디지털에 대한 이러한 낙관주의가 앞으로 인간적인 기술관을 통해 긍정적 변화를 가져 올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확실한 근거가 없다. 현대사회의 인간은 디지털 문명 속에서 인간 본질에 대한 큰 변화를 겪고 있다. 모든 커뮤니케이션이 점차 전자적인 결합으로 구성되면서 인간은 점차 스스로의 정체성을 현실세계가 아닌 컴퓨터 속에서 찾으려고 한다. '아바타’가 그 대표적인 예이다. 가상세계에서의 자신의 분신인 아바타를 위해서 사람들은 사이버머니를 모아 자신을 꾸미고 만들어 나간다. 이러한 가상현실은 점점 현실의 시공간적인 제약성을 극복하고 있으며, 이러한 매력에 인간은 이전의 경험을 토대로 한 현실에 대한 감각과 사고능력을 상실하고 있다. 또한 이렇게 거대한 전자적 커뮤니케이션 속에서 인간은 오히려 현실 세계속의 의미 있는 만남을 갖지 못한 채 가상세계에만 안주하려는 삶으로부터 고립된 인간 소외를 드러낼 뿐이다. 결국, 이러한 기술이 단순히 자연만을 변형시키는 것이 아니라 인간의 정체성을 변형시키면서 인간의 실존을 위협하는 수준에 이르게 되었다. 오늘날처럼 가상세계와 실제세계의 구분이 애매해지는 상황 속에서 인간은 스스로의 존재의 의미를 쉽게 상실해 버릴 수 있고, 또한 기술의 빠른 발전은 전개과정 속에서 인간도 하나의 기술로서 전락시킬 수도 있다. 본질이 변형되고 왜곡 될 때 위기는 반드시 오는 법이다. 비트가 인간과 사물의 아톰보다 기술적으로 월등해 질 수는 있으나, 결코 본질적으로 우선순위가 되서는 안 될 것이다.
9년 전, 디지털 보다는 아날로그 시대에 가까운 그 시기에 디지털세계에 대한 저자의 생각은 나에게 큰 충격을 주었다. 난 디지털 시대는 아직 시작 단계에 불과하고, 그 가능성은 거의 무한대라고 생각한다. 그렇기에 컴퓨터와 네트워크는 20세기가 물려준 인류 최대의 유산일 것이라 생각한다. 이러한 디지털의 발전 방향에 있어서 저자의 생각과 미래에 대한 방향 제시는 우리에게 앞으로의 미래 세계의 접근에 있어 좀더 낙관적이고 희망적인 믿음을 가지게 한다. 그러나 이러한 디지털 문화에 중독 되어 있는 우리는 디지털이 앞으로의 미래를 위한 도구가 아니라 이데올로기처럼 우리를 지배할 수 있다는 위기를 간과할 지도 모른다. 이러한 새로운 디지털 기술이 인류의 일상생활 으로 파고드는 과정에서 인간은 이러한 디지털 시대를 긍정적인 시대로 열어가고 디지털과 인간 모두의 본질을 올바로 이해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참고문헌
- Nicholas Negroponte [디지털이다], 백욱인 옮김, 박영률 출판사, 1995
이러한 디지털 세계에 대한 Nicholas Negroponte의 낙관주의는 현대에 살고 있는 인류의 끝없는 욕구를 뒷받침해 줄 수 있을 것이다. 우선, 비트 만능 이론이나 그 밖에 기술적인 면에 관해서는 어떠한 부정도 할 수 없는 사실이며 그 가능성 또한 점차 분명해 지고 있다. 그러나 디지털에 대한 이러한 낙관주의가 앞으로 인간적인 기술관을 통해 긍정적 변화를 가져 올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확실한 근거가 없다. 현대사회의 인간은 디지털 문명 속에서 인간 본질에 대한 큰 변화를 겪고 있다. 모든 커뮤니케이션이 점차 전자적인 결합으로 구성되면서 인간은 점차 스스로의 정체성을 현실세계가 아닌 컴퓨터 속에서 찾으려고 한다. '아바타’가 그 대표적인 예이다. 가상세계에서의 자신의 분신인 아바타를 위해서 사람들은 사이버머니를 모아 자신을 꾸미고 만들어 나간다. 이러한 가상현실은 점점 현실의 시공간적인 제약성을 극복하고 있으며, 이러한 매력에 인간은 이전의 경험을 토대로 한 현실에 대한 감각과 사고능력을 상실하고 있다. 또한 이렇게 거대한 전자적 커뮤니케이션 속에서 인간은 오히려 현실 세계속의 의미 있는 만남을 갖지 못한 채 가상세계에만 안주하려는 삶으로부터 고립된 인간 소외를 드러낼 뿐이다. 결국, 이러한 기술이 단순히 자연만을 변형시키는 것이 아니라 인간의 정체성을 변형시키면서 인간의 실존을 위협하는 수준에 이르게 되었다. 오늘날처럼 가상세계와 실제세계의 구분이 애매해지는 상황 속에서 인간은 스스로의 존재의 의미를 쉽게 상실해 버릴 수 있고, 또한 기술의 빠른 발전은 전개과정 속에서 인간도 하나의 기술로서 전락시킬 수도 있다. 본질이 변형되고 왜곡 될 때 위기는 반드시 오는 법이다. 비트가 인간과 사물의 아톰보다 기술적으로 월등해 질 수는 있으나, 결코 본질적으로 우선순위가 되서는 안 될 것이다.
9년 전, 디지털 보다는 아날로그 시대에 가까운 그 시기에 디지털세계에 대한 저자의 생각은 나에게 큰 충격을 주었다. 난 디지털 시대는 아직 시작 단계에 불과하고, 그 가능성은 거의 무한대라고 생각한다. 그렇기에 컴퓨터와 네트워크는 20세기가 물려준 인류 최대의 유산일 것이라 생각한다. 이러한 디지털의 발전 방향에 있어서 저자의 생각과 미래에 대한 방향 제시는 우리에게 앞으로의 미래 세계의 접근에 있어 좀더 낙관적이고 희망적인 믿음을 가지게 한다. 그러나 이러한 디지털 문화에 중독 되어 있는 우리는 디지털이 앞으로의 미래를 위한 도구가 아니라 이데올로기처럼 우리를 지배할 수 있다는 위기를 간과할 지도 모른다. 이러한 새로운 디지털 기술이 인류의 일상생활 으로 파고드는 과정에서 인간은 이러한 디지털 시대를 긍정적인 시대로 열어가고 디지털과 인간 모두의 본질을 올바로 이해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참고문헌
- Nicholas Negroponte [디지털이다], 백욱인 옮김, 박영률 출판사, 1995
추천자료
“포스코, 멈추지 않는 신화”를 읽고 (견해)
“사이버 공간에 또 다른 내가 있다”를 읽고
비트의 도시(윌리엄 미첼)를 읽고
『사이버 문화, 하이퍼텍스트 문학』이론편을 읽고 감상문을 쓰시오.
계부모의 아이들, 양서원, 이소희외(2004)를 읽고 독후감
'21세기 뉴 르네상스 시대의 디자인 혁명' 책을 읽고 요약 정리 레포트
[우수평가자료](독후감)용기를 읽고
[도서감상문]'인문학의 숲에서 경영을 만나다' 를 읽고(A+리포트)
감상문(독후감)《I WAR》를 읽고
이어령의 '로그인, 정보를 잡아라'를 읽고
[독후감, 분석] 삼성전자 40년의 기적의 읽고
[독후감] 『후지쯔 성과주의 리포트』조 시게유키著 를 읽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