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험 방법
1) 장비 셋업
2) A.
3) B
4) C
2. 실험 결과
A. 관의 공명 진동수 측정 실험
B. 관 속 소리의 정상파 패턴 측정 실험
1. 열린 관
2. 닫힌 관
C. 관의 길이와 공명 진동수의 관계 실험
관 속의 파동 실험 토의 내용
1) 장비 셋업
2) A.
3) B
4) C
2. 실험 결과
A. 관의 공명 진동수 측정 실험
B. 관 속 소리의 정상파 패턴 측정 실험
1. 열린 관
2. 닫힌 관
C. 관의 길이와 공명 진동수의 관계 실험
관 속의 파동 실험 토의 내용
본문내용
기본공명진동수를 제대로 측정하지 않은 것이 그 원인이 될 수도 있다. 데이터로부터 기본진동수를 추정한 후, 그 값에 대하여 [표 1]의 진동수들의 비율을 구하여 표로 작성하여 첨부하라.
[표 2]의 값으로 봤을 때에는 거의 소수점 차이로 자연수 수열이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열린 관
막힌 관
기본 진동수 (Hz)
비율
기본 진동수 (Hz)
비율
190.0
1.021
95.3
0.944
381.0
0.971
285.8
1.050
571.6
0.980
476.4
1.029
762.2
0.997
666.9
1.035
질문 2. [표 4]와 [표 6]의 소리 속도는 알려져 있는 소리의 속도와 일치하는가?
알고 있는 소리의 속도는 약 343m/s로 알려져 있다. 열린 관 실험에서는 얼추 맞지만, 닫힌 관 실험에서는 오차가 좀 있는 것으로 나왔다.
관 속의 파동 실험 토의 내용
이번 관 속의 파동 실험에서 저희 조는 상당한 어려움을 먹었습니다. 파동이란 단원 자체를 많이 접해보지 못했고, 내용 또한 어려웠기 때문입니다. 물론 지금은 이 실험에 대한 내용만큼은 정확히 깨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번 실험에서는 관이 열렸을 때와 닫혔을 때 관 안의 정상파 패턴이 어떻게 되나 알아보는 것이었습니다. 사실 소리란 것이 스피커에서 나오는 소리만 들린다면 정확한 실험이 되겠지만, 수업이란 특성상 정확하지 않았습니다. 저희 조에서 구한 소리의 속도는 약 300m/s정도였는데 실제로 알려진 속도는 약 343m/s입니다. 이렇게 오차가 큰 이유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우선 소리는 온도와 습도에 크게 좌우됩니다. 약 343m/s란 속도는 0°C일 때가 기준으로 합니다. 하지만 강의실의 온도와 습도는 약 343m/s란 속도가 나오게 되는 기준치와는 많이 달랐을 것입니다. 두 번째로는 소음입니다. 스피커에서 나오는 소리 말고도 주변의 대화소리, 숨소리 등 작은 소리 하나하나가 실험에 영향을 미쳤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입니다. 이 외에도 다른 오차가 있겠지만, 두 가지정도 밖에는 생각할 수가 없었습니다.
이번 실험을 통해서 정상파와 소리에 대해서 많은 것을 배울 수 있었고, 파동이라는 영역에도 한걸음 다가갔다는 것을 느꼈습니다. 더욱더 정확한 실험을 하여서 과학이론이라는 수치에 정확히 다가가고 싶지만, 여건 상 그러지 못하였음을 안타까워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최대한 정확한 실험을 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다짐해보는 실험이었습니다.
[표 2]의 값으로 봤을 때에는 거의 소수점 차이로 자연수 수열이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열린 관
막힌 관
기본 진동수 (Hz)
비율
기본 진동수 (Hz)
비율
190.0
1.021
95.3
0.944
381.0
0.971
285.8
1.050
571.6
0.980
476.4
1.029
762.2
0.997
666.9
1.035
질문 2. [표 4]와 [표 6]의 소리 속도는 알려져 있는 소리의 속도와 일치하는가?
알고 있는 소리의 속도는 약 343m/s로 알려져 있다. 열린 관 실험에서는 얼추 맞지만, 닫힌 관 실험에서는 오차가 좀 있는 것으로 나왔다.
관 속의 파동 실험 토의 내용
이번 관 속의 파동 실험에서 저희 조는 상당한 어려움을 먹었습니다. 파동이란 단원 자체를 많이 접해보지 못했고, 내용 또한 어려웠기 때문입니다. 물론 지금은 이 실험에 대한 내용만큼은 정확히 깨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번 실험에서는 관이 열렸을 때와 닫혔을 때 관 안의 정상파 패턴이 어떻게 되나 알아보는 것이었습니다. 사실 소리란 것이 스피커에서 나오는 소리만 들린다면 정확한 실험이 되겠지만, 수업이란 특성상 정확하지 않았습니다. 저희 조에서 구한 소리의 속도는 약 300m/s정도였는데 실제로 알려진 속도는 약 343m/s입니다. 이렇게 오차가 큰 이유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우선 소리는 온도와 습도에 크게 좌우됩니다. 약 343m/s란 속도는 0°C일 때가 기준으로 합니다. 하지만 강의실의 온도와 습도는 약 343m/s란 속도가 나오게 되는 기준치와는 많이 달랐을 것입니다. 두 번째로는 소음입니다. 스피커에서 나오는 소리 말고도 주변의 대화소리, 숨소리 등 작은 소리 하나하나가 실험에 영향을 미쳤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입니다. 이 외에도 다른 오차가 있겠지만, 두 가지정도 밖에는 생각할 수가 없었습니다.
이번 실험을 통해서 정상파와 소리에 대해서 많은 것을 배울 수 있었고, 파동이라는 영역에도 한걸음 다가갔다는 것을 느꼈습니다. 더욱더 정확한 실험을 하여서 과학이론이라는 수치에 정확히 다가가고 싶지만, 여건 상 그러지 못하였음을 안타까워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최대한 정확한 실험을 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다짐해보는 실험이었습니다.
키워드
추천자료
관마찰 실험
관마찰계수 측정실험
[X선회절실험][엑스선회절실험]X선(엑스선)회절실험 소개, X선(엑스선)회절실험 이론, X선(엑...
[기계공학] 관마찰 실험 report
토질역학실험 결과보고서 - #4.비중계(Hydrometer) 실험
[단위조작실험] 관 마찰계수
[실험] 관의 공명 - 음파란 무엇인지 이해하고, 스피커를 이용하여 우리가 알고 있는 주파수...
관로 마찰 실험 - 수두를 이용하여서 실제 유량과 이론 유량을 측정하여 보정계수를 구하고 ...
관마찰 실험
일반물리학 실험 - 관의 공명
실험보고서 - 레이놀즈 수(물의 레이놀즈 수를 구하고 그 레이놀즈 수로 층류, 난류, 천이 영...
[일반물리학실험] 탄도 궤도 실험 - 실험목적, 기초원리, 소요도구, 실험방법 및 결과, 분석,...
기주공명실험 결과레포트 - 실험1 Resonant Frequencies of a Tube, 실험2 Tube Length and R...
[유체 관마찰 - 유체 역학 및 실험] 관마찰 측정 실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