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Sigmund Freud는 누구인가
2. 주요개념에 대해 알아보자
3. Sigmund Freud의 심리성적(Psychosexual) 발단단계
4. Sigmund Freud 이론이 비판받는 점
5. Sigmund Freud 공헌점
-부록
2. 주요개념에 대해 알아보자
3. Sigmund Freud의 심리성적(Psychosexual) 발단단계
4. Sigmund Freud 이론이 비판받는 점
5. Sigmund Freud 공헌점
-부록
본문내용
콤플렉스는 때와 장소를 가리지 않고 보편적으로 존재하는 생물학적인 것이라고 생각하였다.
그러나 1929년 말리노프스키의 문화인류학상(文化人類學上)의 발견으로 이 콤플렉스는 보편적인 것도 아니며 생리학적인 것도 아니라는 사실이 판명되었다.
- Elektra complex : 딸이 아버지에게 애정을 품고 어머니를 경쟁자로 인식하여 반감을 갖는 경향을 가리키는 정신분석학 용어
정신분석학에서 오이디푸스콤플렉스와 대비되는 개념이다. 프로이트가 이론을 세우고 융이 이름을 붙였다. 프로이트에 따르면 3~5세의 남근기(男根期)에 여자아이들은 자신에게는 남동생이나 아버지가 갖고 있는 성기(penis)가 없다는 사실을 알고 남성을 부러워 하는 한편 자신에게 남성 성기를 주지 않은 어머니를 원망한다고 한다. 프로이트는 이와 같은 음경선망(penis envy)이 여자아이로 하여금 엘렉트라콤플렉스를 갖게 하는 적극적인 원인으로 보았다. 이러한 욕구는 어머니의 여성적 가치를 자기와 동일시하고 초자아(超自我)가 형성되면서 사라진다. 오이디푸스콤플렉스와 대비되지만 그만큼 중요시되지는 않는데, 이는 최악의 상황이라도 어머니가 딸을 거세(去勢)할 수는 없으므로 남자아이들만큼 거세콤플렉스를 느끼지 않는다고 보기 때문이다. 이런 관점에서 프로이트는 여성의 초자아가 남성보다 약하다고 믿었다. 명칭은 그리스신화에서 아가멤논의 딸 엘렉트라가 보여 준 아버지에 대한 집념과 어머니에 대한 증오에서 유래하였다.
-Elektra complex의 허점
아버지의 남근을 본 여아가 모두 그것을 선망하게 된다는 것이 아니라 그 반대의 느낌 역시 불러일으킬 수도 있는 가능성을 말하고 싶은 것이다. ‘선망’과 ‘혐오’라는 대립적인 감정이 바로 그것이다. 나에게 없는 어떠한 것, 어쩌면 불필요해 보이는 (아직 여성과 남성 생식기의 기능에 대해 인식하기 전 단계라는 점을 고려해 보았을 때) 그것을 가지고 싶어할 수도 있지만 반대로 혐오감을 느낄 수도 있지 않느냐는 것이다.
출처. 네이버 블로그 http://blog.naver.com/asicjc/100004946502
[Child Care Clinic]“누가 우리 아이 좀 말려줘요~”
레이디경향 2008년 1.2.3월호
<손가락을 심하게 빨아요>
Q 27개월 된 딸인아이가 아직도 손을 심하게 빨아요. 엄지손가락 부분은 화상 입은 것처럼 빨갛게 변했구요. 지금 아이를 시댁에 맡겨놓고 주말에 만나는데 조부모님과 있을 때는 잘 때뿐 아니라 낮에도 자주 손을 빤다고 하더라고요. 어떻게 고칠 수 있을까요? (크리스티나·인터넷 상담 사연)
A 아이에게 손가락을 빠는 행동은 매우 중요한 여러 가지 의미가 있습니다. 아이에게는 일종의 놀이이면서 마음을 편안하게 만들어주는 안정제 역할을 하지요. 따라서 아이가 손가락을 빠는 행동 대신에 다른 행동을 통해 심리적인 충족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가령 아이가 손가락을 빨 때 재미있는 장난감을 들고 와서 엄마가 아이와 함께 놀아주는 것이 좋습니다. 잘 때 아이가 손가락을 빤다면 엄마가 아이의 손가락을 살짝 잡고 쓰다듬으며 동화책을 읽어준다면 아이는 편안한 마음으로 잠들 수 있을 것입니다. 할머니 댁에 있을 때 손가락 빠는 행동이 증가한다는 것은 아이가 엄마를 그리워하는 마음이 많다고 할 수 있습니다. 보다 엄밀하게 말하자면 엄마의 사랑과 관심을 갈구하는 거지요. 따라서 엄마와 아이 간에 애착을 증진시키기 위해서 아이와 조금 더 많은 시간 놀아준다면, 손가락을 빠는 행동을 줄일 수 있습니다.
출처. http://lady.khan.co.kr/khlady.html?mode=view&code=10&artid=10742&pt=nv
그러나 1929년 말리노프스키의 문화인류학상(文化人類學上)의 발견으로 이 콤플렉스는 보편적인 것도 아니며 생리학적인 것도 아니라는 사실이 판명되었다.
- Elektra complex : 딸이 아버지에게 애정을 품고 어머니를 경쟁자로 인식하여 반감을 갖는 경향을 가리키는 정신분석학 용어
정신분석학에서 오이디푸스콤플렉스와 대비되는 개념이다. 프로이트가 이론을 세우고 융이 이름을 붙였다. 프로이트에 따르면 3~5세의 남근기(男根期)에 여자아이들은 자신에게는 남동생이나 아버지가 갖고 있는 성기(penis)가 없다는 사실을 알고 남성을 부러워 하는 한편 자신에게 남성 성기를 주지 않은 어머니를 원망한다고 한다. 프로이트는 이와 같은 음경선망(penis envy)이 여자아이로 하여금 엘렉트라콤플렉스를 갖게 하는 적극적인 원인으로 보았다. 이러한 욕구는 어머니의 여성적 가치를 자기와 동일시하고 초자아(超自我)가 형성되면서 사라진다. 오이디푸스콤플렉스와 대비되지만 그만큼 중요시되지는 않는데, 이는 최악의 상황이라도 어머니가 딸을 거세(去勢)할 수는 없으므로 남자아이들만큼 거세콤플렉스를 느끼지 않는다고 보기 때문이다. 이런 관점에서 프로이트는 여성의 초자아가 남성보다 약하다고 믿었다. 명칭은 그리스신화에서 아가멤논의 딸 엘렉트라가 보여 준 아버지에 대한 집념과 어머니에 대한 증오에서 유래하였다.
-Elektra complex의 허점
아버지의 남근을 본 여아가 모두 그것을 선망하게 된다는 것이 아니라 그 반대의 느낌 역시 불러일으킬 수도 있는 가능성을 말하고 싶은 것이다. ‘선망’과 ‘혐오’라는 대립적인 감정이 바로 그것이다. 나에게 없는 어떠한 것, 어쩌면 불필요해 보이는 (아직 여성과 남성 생식기의 기능에 대해 인식하기 전 단계라는 점을 고려해 보았을 때) 그것을 가지고 싶어할 수도 있지만 반대로 혐오감을 느낄 수도 있지 않느냐는 것이다.
출처. 네이버 블로그 http://blog.naver.com/asicjc/100004946502
[Child Care Clinic]“누가 우리 아이 좀 말려줘요~”
레이디경향 2008년 1.2.3월호
<손가락을 심하게 빨아요>
Q 27개월 된 딸인아이가 아직도 손을 심하게 빨아요. 엄지손가락 부분은 화상 입은 것처럼 빨갛게 변했구요. 지금 아이를 시댁에 맡겨놓고 주말에 만나는데 조부모님과 있을 때는 잘 때뿐 아니라 낮에도 자주 손을 빤다고 하더라고요. 어떻게 고칠 수 있을까요? (크리스티나·인터넷 상담 사연)
A 아이에게 손가락을 빠는 행동은 매우 중요한 여러 가지 의미가 있습니다. 아이에게는 일종의 놀이이면서 마음을 편안하게 만들어주는 안정제 역할을 하지요. 따라서 아이가 손가락을 빠는 행동 대신에 다른 행동을 통해 심리적인 충족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가령 아이가 손가락을 빨 때 재미있는 장난감을 들고 와서 엄마가 아이와 함께 놀아주는 것이 좋습니다. 잘 때 아이가 손가락을 빤다면 엄마가 아이의 손가락을 살짝 잡고 쓰다듬으며 동화책을 읽어준다면 아이는 편안한 마음으로 잠들 수 있을 것입니다. 할머니 댁에 있을 때 손가락 빠는 행동이 증가한다는 것은 아이가 엄마를 그리워하는 마음이 많다고 할 수 있습니다. 보다 엄밀하게 말하자면 엄마의 사랑과 관심을 갈구하는 거지요. 따라서 엄마와 아이 간에 애착을 증진시키기 위해서 아이와 조금 더 많은 시간 놀아준다면, 손가락을 빠는 행동을 줄일 수 있습니다.
출처. http://lady.khan.co.kr/khlady.html?mode=view&code=10&artid=10742&pt=nv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