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 부조화론)과 비예측성
- 데카르트 : 자기와 비교하여 타인의 단점과 불완전성을 보고 자신의 우월성을 느끼는 것이 웃음을 유발한다고 보았다.
- 칸트 : 무엇인가 중대한 것을 기대하고 바짝 긴장해 있을 때 예상 밖의 결과가 나타나 갑자기 긴장이 풀러 우스꽝스럽게 느껴지는 감정의 표현이라고 보았다
- 쇼팬하우어 추상적으로 생각했던 일과 현실 사이의 불일치를 갑자기 파악했을 때 웃음이 유발된다고 설명하면서 웃음 유발의 비예측성을 강조하였다.
(이상근, 2002)
ㅁ. 독립된 구조로서 제시되어 있는 구조 만들기 (set-up) 급소 찌르기 (punch line)에 대해 구조 만들기는 일반적인 텍스트와 별반 차이가 없지만, 급소 찌르기 에서는 일반적인 예측에서 빗나가는 대답을 통해 일반적인 텍스트와 구조가 달라진다고 설명하면서 유머의 비예측성을 설명하였다.
(구현정, 2000)
㉠두 사람의 사냥꾼이 숲 속에서 사냥을 하다가 그 중 한 명이 땅에 쓰러졌다. 그는 숨을 쉬는 처럼 보이지 않았고, 그의 눈꺼풀은 뒤집어졌다. 다른 사냥꾼이 휴대폰으로 구조 센 터에 전화를 걸었다. 그는 상담원을 붙들고 “내 친구가 죽었어. 나는 어떻게 해야돼요”라고 흥분하며 말했다. 상담원은 차분한 목소리로 말했다. “자, 침착하세요, 내가 도와드릴게요. 먼저 그가 죽었는지 확인해야 돼요.”
㉡잠시 침묵이 흘렀고, 총성이 들렸다. 그리고 그 남자가 전화로 말했다.
“ 됐어요, 이젠 어떻게 하지요?”
☞ 수용자의 예측을 빗나가게 하기 위해 <구조 만들기>와 <급소 찌르기> 라는 유머텍스트 만의 유형이 웃음 유발에 기여하고 있는 것이다.
- ㉠ <구조 만들기> 단계
사냥꾼이 다른 사냥꾼의 죽음을 확인하는 결말을 예상
- ㉡ <구조 만들기> 단계
ⓐ침묵이 흐르는 시간 (누구나 죽음을 확인하는 과정 예측)
-> 가능한 한 너무 당연한 상황으로 이야기를 이끌어 감
- ㉡ <급소 찌르기> 단계 - 상상할 수도 없는 언행이 일어나는 것, 문제가 해결되는 과정
ⓑ 총성의 울림 (실로 상상할 수 없는 말이나 행동)
ⓒ “됐어요. 이젠 어떻게 하지요?” (상상 밖의 결과로서 문제가 해결되거나 끝난다
-> ⓑ에서 너무도 예측 못한 상황에서 황당하던 것이 ⓒ에 이르러서는 오히려 너무나 당연한 내용으로 공감한다. 그리고 감탄하여 순간 웃음이 폭발한다.
유머는,
수용자를 너무 당연한 방향으로 예측 유도 -> 예측과 전혀 다른 언행이 벌어져 수용자를 황당하게 만듦(비예측성) -> 황당하던 것을 (전혀 다른 시각에서의) 정확한 타당성을 제시함으로써 공감 유도 => 그 순간 웃음 폭발
ㅂ. 유머의 비예측성을 예측하지 못한 경우는 화자가 결말에 대해 특별한 단서를 제공하지 않아서 수용자가 예측할 것을 찾지 못하고 방심한 경우를 말한다. 또한 예측하기 어려운 경우란 생산자가 질문이나 화제 제시를 통해 예측을 유도하기는 하지만 질문이나 화제 제시와 그 결말 사이에 나타나는 의의의 불연속성 때문에 쉽게 추축하기 어려운 경우를 말한다. 다음으로 잘못 예측한 경우로 비예측성을 나누었는데, 잘못 예측한 경우란 수용자가 결말을 어느 정도 예측했지만 결국 잘못 예측한 경우를 말한다. 화자가 말한 단서에 의해서 수용자(화자)는 결말을 예측하게 되는데 그 예측이 빗나갔을 경우에 비예측성이 나타난다.
(한성일, 2002)
참고 자료
이석규, 『언어의 예술』 글누림 출판사, 2007
류종영, 『웃음의 미학』 유로서적, 2006
조현지, “유머유형의 선호와 활용에 관한 연구 :성별·연령별 차이를 중심으로” 서강대 언론대학원, 2005
http://cafe.naver.com/myservice/1719 강의 자료 “유머와 창의성”
- 데카르트 : 자기와 비교하여 타인의 단점과 불완전성을 보고 자신의 우월성을 느끼는 것이 웃음을 유발한다고 보았다.
- 칸트 : 무엇인가 중대한 것을 기대하고 바짝 긴장해 있을 때 예상 밖의 결과가 나타나 갑자기 긴장이 풀러 우스꽝스럽게 느껴지는 감정의 표현이라고 보았다
- 쇼팬하우어 추상적으로 생각했던 일과 현실 사이의 불일치를 갑자기 파악했을 때 웃음이 유발된다고 설명하면서 웃음 유발의 비예측성을 강조하였다.
(이상근, 2002)
ㅁ. 독립된 구조로서 제시되어 있는 구조 만들기 (set-up) 급소 찌르기 (punch line)에 대해 구조 만들기는 일반적인 텍스트와 별반 차이가 없지만, 급소 찌르기 에서는 일반적인 예측에서 빗나가는 대답을 통해 일반적인 텍스트와 구조가 달라진다고 설명하면서 유머의 비예측성을 설명하였다.
(구현정, 2000)
㉠두 사람의 사냥꾼이 숲 속에서 사냥을 하다가 그 중 한 명이 땅에 쓰러졌다. 그는 숨을 쉬는 처럼 보이지 않았고, 그의 눈꺼풀은 뒤집어졌다. 다른 사냥꾼이 휴대폰으로 구조 센 터에 전화를 걸었다. 그는 상담원을 붙들고 “내 친구가 죽었어. 나는 어떻게 해야돼요”라고 흥분하며 말했다. 상담원은 차분한 목소리로 말했다. “자, 침착하세요, 내가 도와드릴게요. 먼저 그가 죽었는지 확인해야 돼요.”
㉡잠시 침묵이 흘렀고, 총성이 들렸다. 그리고 그 남자가 전화로 말했다.
“ 됐어요, 이젠 어떻게 하지요?”
☞ 수용자의 예측을 빗나가게 하기 위해 <구조 만들기>와 <급소 찌르기> 라는 유머텍스트 만의 유형이 웃음 유발에 기여하고 있는 것이다.
- ㉠ <구조 만들기> 단계
사냥꾼이 다른 사냥꾼의 죽음을 확인하는 결말을 예상
- ㉡ <구조 만들기> 단계
ⓐ침묵이 흐르는 시간 (누구나 죽음을 확인하는 과정 예측)
-> 가능한 한 너무 당연한 상황으로 이야기를 이끌어 감
- ㉡ <급소 찌르기> 단계 - 상상할 수도 없는 언행이 일어나는 것, 문제가 해결되는 과정
ⓑ 총성의 울림 (실로 상상할 수 없는 말이나 행동)
ⓒ “됐어요. 이젠 어떻게 하지요?” (상상 밖의 결과로서 문제가 해결되거나 끝난다
-> ⓑ에서 너무도 예측 못한 상황에서 황당하던 것이 ⓒ에 이르러서는 오히려 너무나 당연한 내용으로 공감한다. 그리고 감탄하여 순간 웃음이 폭발한다.
유머는,
수용자를 너무 당연한 방향으로 예측 유도 -> 예측과 전혀 다른 언행이 벌어져 수용자를 황당하게 만듦(비예측성) -> 황당하던 것을 (전혀 다른 시각에서의) 정확한 타당성을 제시함으로써 공감 유도 => 그 순간 웃음 폭발
ㅂ. 유머의 비예측성을 예측하지 못한 경우는 화자가 결말에 대해 특별한 단서를 제공하지 않아서 수용자가 예측할 것을 찾지 못하고 방심한 경우를 말한다. 또한 예측하기 어려운 경우란 생산자가 질문이나 화제 제시를 통해 예측을 유도하기는 하지만 질문이나 화제 제시와 그 결말 사이에 나타나는 의의의 불연속성 때문에 쉽게 추축하기 어려운 경우를 말한다. 다음으로 잘못 예측한 경우로 비예측성을 나누었는데, 잘못 예측한 경우란 수용자가 결말을 어느 정도 예측했지만 결국 잘못 예측한 경우를 말한다. 화자가 말한 단서에 의해서 수용자(화자)는 결말을 예측하게 되는데 그 예측이 빗나갔을 경우에 비예측성이 나타난다.
(한성일, 2002)
참고 자료
이석규, 『언어의 예술』 글누림 출판사, 2007
류종영, 『웃음의 미학』 유로서적, 2006
조현지, “유머유형의 선호와 활용에 관한 연구 :성별·연령별 차이를 중심으로” 서강대 언론대학원, 2005
http://cafe.naver.com/myservice/1719 강의 자료 “유머와 창의성”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