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수교육 실태조사서에서 살펴본 우리나라 특수교육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국․공립학교와 사립학교의 비율
2. 전환교육의 문제점
3. 보조원 수의 부족

본문내용

배치되어 있다. 물론 특수교육보조원을 필요로 하지 않을 정도의 학생들로 구성된 학교, 학급이 있기도 하지만 그런 학급은 그렇지 않은 학급에 비해서 적지 않나 생각한다. 특수학교는 보통 중도장애 이상을 가진 아동들이 있는 곳인데 또 그런 아동들은 보조원들의 도움이 필요하고 보조원들의 도움으로 인해서 훨씬 더 잘 학습을 할 수 있는 아동들인데 그런 학급 10개 중 1,2명의 특수교육보조원이 배치되는 것은 좋지 않은 상황이라고 생각한다.
특수교육보조원의 연봉은 특수교사에 비해 매우 적은 1100~1200정도이고 1년 계약직이라서 특수교사라는 직업에 비해서는 인기(?)가 적다. 물론 정말 장애아동들을 도우는데 뜻이 있고 그런데서 보람을 찾아 삶을 살아가는 분들에겐 아주 좋은 직업이지만 현실적으로 직업이란게 돈을 무시할 수 없기 때문에 이런 부족한 특수교육보조원의 수를 증대시키기 위해서 연봉을 늘리는 것이 가장 현실적이고 확률이 높은 방법이 아닐까 생각한다.
보조원 수
학교, 학급 수
학급, 학교당 보조원 수
특수학교
2940 명
22963 개
약 0.13명
특수학급
7033 명
35340 개
약 0.2명
일반학교
1064 명
7637 개
약 0.14명
  • 가격1,8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10.08.16
  • 저작시기201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5994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