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의식에 대한 신경과학적 접근과 문제점
2. 의식의 비물질성
3. 물질과 의식의 관계에 대한 문제점
4. 의식의 근원과 존재의 주관
2. 의식의 비물질성
3. 물질과 의식의 관계에 대한 문제점
4. 의식의 근원과 존재의 주관
본문내용
물질과 작용하는 물질적(객관적 분석) 요소가 아니며, 분석으로 파악되는 개념의 물질적 성질로 나타나지 않는 존재의 주관적 자아일 뿐이다. 사람의 감정이나 의지 여러 심리적 상태에 대응되는 많은 심리적 용어들이 물질적으로 표현되지 못하고 우리의 의식으로만 파악되어 온 것도 의식이 물질의 주관이지 물질밖으로 자신을 표출하는 요소(물질적 요소)가 아닌 때문이었던 것이다. 내가 판단했고 스스로 결정했다는 것도 사람이 느끼는 하나의 느낌의 무엇이지 물질적 과정으로 해석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결론적으로 의식의 근원은 물질의 주관에 있는 것이며 객관적 관찰로 드러나지 않는다는 점에서 물질 내부로만 나타나는 것이라고 표현할 수 있을 것이다.(여기서 내부개념은 공간적인 것이 아니며, 의식이 물질의 주관으로만 경험되고 객관적으로 나타나지 않는다는 점에서 객관이 가지는 외부개념과 상반되는 개념으로 쓰였다.) 그리고 의식의 주체는(또는 정신적인 것의 주체는) 과학적으로 발견하고 규명한 물리적 실체인 물질 그 자체이며, 물질적 실체 자체가 스스로의 자아를 가졌다고 볼 수 있고, 이 자아의 측면인 존재의 주관이 바로 물질적으로 발견할 수 없었던 정신적인 것의 근원이었던 셈이다.
결론적으로 의식의 근원은 물질의 주관에 있는 것이며 객관적 관찰로 드러나지 않는다는 점에서 물질 내부로만 나타나는 것이라고 표현할 수 있을 것이다.(여기서 내부개념은 공간적인 것이 아니며, 의식이 물질의 주관으로만 경험되고 객관적으로 나타나지 않는다는 점에서 객관이 가지는 외부개념과 상반되는 개념으로 쓰였다.) 그리고 의식의 주체는(또는 정신적인 것의 주체는) 과학적으로 발견하고 규명한 물리적 실체인 물질 그 자체이며, 물질적 실체 자체가 스스로의 자아를 가졌다고 볼 수 있고, 이 자아의 측면인 존재의 주관이 바로 물질적으로 발견할 수 없었던 정신적인 것의 근원이었던 셈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