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의식환자간호(중환자실),기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무의식환자간호(중환자실),기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무의식 환자 간호

2.Ventilator의 종류와 Ventilator가 필요한 환자 간호
1)Ventilator의 종류
2)Ventilator가 필요한 환자간호
1) 신체적 간호
(2)자세 및 운동
(3)동맥혈 가스분석
2)정서적 간호

3. C-line, 중심정맥압, 동맥혈 가스분압 분석
1) C-line(Central Venous line, 중심정맥관)
(1) 중심 정맥관의 정의
(3) 중심정맥관 주사줄 및 주사캡 관리
(4)중심정맥관 헤파린 관류 방법
(5)중심정맥관 제거 방법
(6)중심정맥관 합병증
(7)중심정맥관 삽입부위 소독방법
2) 중심정맥압
(1)목적
(2)방법
(3)정상치
(4)임상적 의의
※Monitor에 연결하여 측정하는 방법
∗CVP측정시 유의점
3) 동맥혈 가스분압 분석
(1)정의 및 목적
(2)방법(요골동맥중심)
(3) 정상치
(4) 임상적 의의

※참고※ (Allen test)

본문내용

전박와로 삽입하는데 카테터의 길이는 24인치이고 넓이는 14~16 게이지이다.
카테터를 쇄골하정맥, 내외경정맥, 팔오금정맥을 통해 우심방으로 삽입한다.
카테터는 3way stopcock을 연결하여 정맥 수액선과 계측기에 연결시킨다.
계측기의 0지점을 중앙액와선 상에 두게 하여 심장의 우심방높이에 맞춘다. 대상 자의 움직임에 따라 0점을 맞춰야 한다.
(3)정상치
-5~11cmH2O이다
(4)임상적 의의
CVP
높은 경우 : cardiac insutticiency, CHF, pul, Edema, Rt Heart failure, 체액의 과잉 부담, 심장압전, 상대정맥 증후군, 마취, 기침, 양압환기, 긴장성 기흉, 기도폐색, cather가 혈액응고 덩어리로 막혔거나 꼬였을때
낮은 경우 : 순환혈류량의 감소, Rt ventricullar empty
※Monitor에 연결하여 측정하는 방법
(준비물품)
Transducer Holder, IV Stand pole, pressure bag
pressure monitoring kit
N/S (1000cc)1 pack, Heparine 1000u,, 1% Lidocain 3cc
Arm board, plaster
vinca needle-성인22G.18G, 소아:24G.22G
Dressing set
(방법)
Tranduce의 line과 CVP catether를 3-way를 통하여 연결
Calibration을 시도함
CVP cath를 통하여 주입되고 있는 수액의 3-way를 막는다.
CVP cath와 tranducer의 방향이 연결되게 한후 monitor에 나오는 wavetorm을 보고 수치를 읽습니다. 단, 여기서의 수치단위는 “mmHg"임을 유의 합니다.
(1mmHg=1.36cmH2O)
A.압력계와 정맥관을 연결합니다.
B.압력계의 용액을 채우기 위해 3-way stopcock을 돌립니다.
C.정맥관쪽의 stopcock을 잠그고 압력계안의 용액이 대상자의 정맥내로 흐르게 합니다.
D.수액이 대상자에게 흐르도록 stopcock을 엽니다.
E.카테터 끝이 상대정맥내 우심방과 접한 부위에 놓이게 조절합니다.
D.압력계와 “0”점이 액와중앙선에 있나 확인후(우심방 위치) 측정합니다.
CVP측정시 유의점
3way조작에 유의한다.
air가 들어가지 않도록 한다
mamometer위치를 확인하고 CVP측정
side effect 예방과 증상을 관찰합니다.
-혈흉, 기흉, 말초혈관의 손상, 부정맥, 정맥내의 과도한 수분유입, 패혈증, catheter 끝의 응고 또는 전색
3) 동맥혈 가스분압 분석
(1)정의 및 목적
-ABGA는 폐의 가스교환 능력을 알아보는 가장주된 방법이며, 중환자를 평가하고 관리하는데 가장 l본적으로 이용하는 검사이다. 인공호흡기로 호흡하는 대상자와 COPD등 폐질혼을 가지고 있는 대사자의 호흡기능을 평가한다. 인체의 산-염기 평형상태를 알수있다.
-보통 요골, 상완, 대퇴동맥에서 채혈. 요골동맥을 가장 많이 이용.
(2)방법(요골동맥중심)
①요골동맥에 요관을 삽입하여 유치해두고 채혈하기 위한 입구는 heparin을 희석시 킨 용액에 연결한다.
②채혈한 혈액은 응고되지 않게 뽑아야 하므로 heparin 0.5cc로 주사기를 한번 통 과 시킨 후 채혈한다.
③동맥혈 채취시 각도는 90°로 한다.
④채혈검사물에 공기가 섞이면 가스분석 결과가 틀리게 나오므로 채혈 후 바늘끝을 고무마개를 하여 공기를 차단시킨다.
⑤검사물은 채혈 즉시 얼음상자안에 넣어 검사실에 보내야한다.
(요골:5분, 대퇴:10분)
⑥천자부위에 드레싱을 하고 5~10분간 압박하여 천자부위에서 출혈이 되지 않게 한다.
⑦요골동맥 채혈시 Allen test를 시행한다.
(3) 정상치
①P.H-정상 : 7.35~7.45
산혈증 : 7.35
알칼리증 : 7.45
②PaO2-정상 : 80~120mmHg 산소공급결정
③PaCO2-정상 : 35~45mmHg
호흡성 산증 : 45mmHg
호흡성 알칼리증 : 35mmHg
④HCO3-정상 : 22mEq/L
대사성 산증 : 22mEq/L
대사성 알칼리증 : 26mEq/L
⑤SaO2-정상 : 95~100%
(4) 임상적 의의
①PaO2(80~100mmHg)
-80mmHg이하면 저산소혈증
(치료 및 간호중재)
:저산소혈증은 산소로 치료한다
②PaCO2(35~45mmHg)
:과소환기 (과탄산증)
과대환기(저탄산증)
(치료 및 간호중재)
PaCO2가 점점 올라가고 대상자가 피곤해하면 인공기도를 설치하여 호흡을 도와준다. PaCO2가 정상보다 낮으면 과환기의 원인을 해소시켜 준다 (예:불안,통증,공포)
③PH(7.35~7.45)
7.45이상이면 알칼로시스이고, 7.35이하이면 acidosis이다. 호흡성 산독증은 PaCO2가 증가하고 PH는 감소한다. 호흡성 알칼로시스는 PaCO2가 감소하고 PH 가 증가한다.
④HCO3(22~26mEq/L)
HCO3 - 대사성 산독증(예:당뇨성 케톤증)
HCO3 - 대사성 알칼로시스
(치료 및 간호중재)
:PH, HCO3, 염기의 과잉부족을 중재한다. 대사성 산독증은 중탄산 나트륨 (NaHCO3)을 투여하여 교정하고 대사성 알칼로시스는 비정상 전해질을 교정해 주 고 ammomium chloride(NH4Cl)나 희석된 HCl을 투여하여 치료한다.
⑤SaO2 (95~100%)
50mmHg : 산소포화도는 급하게 떨어진다.
(치료 및 간호중재)
:온도. PH, PCO2 혈액의효소와 화학물질에 영향을 받는다. 산소포화도 개선을 위해 이들 요소를 변화 시킨다.
※참고※ (Allen test)
①대상자에게 주먹을 꼭 쥐게한다.
②시술자가 양손의 집게손가락과 장지를 사용하여 요골동맥과 척골동맥을 촉진한 다.
③대상자에게 주먹을 약간 피게하는 동안 양쪽동맥을 압박하여 혈액의 흐름을 차단 시킨다. 대상자에게 4~5번 주먹을 쥐었다 폈다를 반복하게 한다.
④손바닥이 위로 가도록 한다-손바닥이 희게 보인다.
⑤척골쪽의 압박을 풀어 주면서 손바닥, 손가락, 어지 손가락을 살핀다. 손과 손가 락은 10~15초 이내에 충혈되어야 한다. 척골 동맥의 측부순환이 충분함을 의미 한다. (Allen test가 양성일때 ABGA시행)
  • 가격1,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0.04.19
  • 저작시기2006.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0080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