흡수율 시험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흡수율 시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시험명: 굵은골재의 밀도 및 흡수량 시험방법

1. 시험목적
2. 사용재료 및 기구
3. 시험방법
4. 주의사항
5. 참고사항
6. 사진
7. 시험결과
8. 시험결과 고찰

◆ 시험명: 잔골재의 밀도 및 흡수량 시험방법

1. 시험 목적
2. 사용재료 및 기구
3. 시료 준비
4. 시험방법
5. 주의사항
6. 참고사항
7. 사진
8. 시험결과
9. 시험결과 고찰

본문내용

조포
화상태라고 한다.
4. 시험방법
(1) 표면건조포화상태의 잔골재 500g의 시료를 바로 플라스크에 넣고 20℃의 물을 용기 용
량의 90%까지 채운 다음, 플라스크를 평평한 면에 굴려 교란시켜 기포를 모두 없앤다.
(2) 플라스크를 항온조에 넣어 23±2℃의 온도로 조정한 후 플라스크 시료, 물의 무게를 측정 하고, 이 무게와 그 밖의 무게를 0.1g까지 기록한다.
(3) 다른 방법으로 플라스크에 채우는데 필요한 물의 양을 0.15㎖ 정도의 뷰렛을 사용하여 측
정해도 좋다. 플라스크, 시료, 물의 총 무게는 다음 식으로 계산한다.
C = 0.9976Vα + 500 + W
여기서, C : 물과 시료를 채운 플라스크 무게(g)
Vα : 플라스크에 넣은 물의 양(㎖)
W : 빈 플라스크의 무게(g)
(4) 플라스크에서 잔골재를 꺼낸 다음 항량이 될 때까지 105±5℃에서 건조시키고, 실온까 지 식힌 후 무게를 단다.
(5) 23±2℃의 물을 플라스크의 검정용기까지 채워 무게를 측정한다.
(6) 20℃에서 메스플라스크를 0.15㎖의 정밀도로 사용하고, 검정했다면 물을 채운 플라스크의 무게는 다음과 같이 계산한다.
B = 0.9976V + W
여기서, B : 물과 시료를 채운 플라스크 무게(g)
V : 플라스크에 용적(㎖)
W : 빈 플라스크의 무게(g)
(7) 잔골재의 밀도 및 흡수량은 다음 식에 따라 계산한다.
절대건조상태의 밀도(g/㎤) =
A
x ρω
B + 500 - c
표면건조포화상태의 밀도(g/㎤) =
500
x ρω
500 + B - C
진밀도 (g/㎤) =
A
x ρω
B + A - C
흡수율(%) =
500 - A
x100
A
여기서, A : 대기 중 노 건조시료의 무게(g)
B : 물을 채운 플라스크의 무게(g)
C : 시료와 물을 검정점까지 채운 플라스크의 무게(g)
ρω : 시험온도에서의 물의 밀도(g/㎤)
(8) 위의 시험은 2회 실시하며, 그 측정값의 차가 밀도시험의 경우에는 그 값의 0.02g/㎥ 이
하, 흡수량 시험의 경우에는 0.05% 이하이어야 한다.
5. 주의사항
(1) 흡수율 및 밀도의 값을 보통의 습윤상태의 골재를 사용하는 콘크리트 배합설계의 기 준으로 이용할 때에는 잔골재를 항량이 될 때까지 건조시킬 필요가 없으며, 골재의 표 면이 시험할 때까지 젖은 상태로 유지되어 있으면 24시간 동안 물속에 담글 필요가 없다.
(2) 원추형 몰드시험은 반드시 약간의 표면수가 있을 때 해야 한다. 만약 최초의 시험에서 원추가 흘러내린다면 이것은 잔골재가 표면건조포화상태의 한도를 넘어서 건조된 것을 의미하므로 이때에는 몇 ㎖의 물을 시료에 다시 가하고 잔골재를 완전히 섞은 다음 약 30분 동안 뚜껑이 있는 용기 속에 넣어 두었다가 다시 시험을 해야 한다.
(3) 시료를 플라스크에 넣기 전에 미리 물을 조금 넣어두면 플라스크가 깨질 염려가 없다.
(4) 건조후의 시료무게와 플라스크에 넣는 물의무게는 0.1g 까지 달아야 한다.
6. 참고사항
(1) 잔골재의 밀도는 2.50g/㎤~2.65g/㎤정도, 흡수량이 1% 정도이다. 흡수량이 3%이상인
골재는 콘크리트용 골재로서 부적합하다.
(2) 골재의 흡수율이 커질수록 양자간의 밀도차가 생기므로 밀도가 표건밀도인지, 절건밀
도인지를 명시해야 한다.
(3) 골재의 밀도에는 표건밀도와 절건밀도 사이에는 흡수율을 파라미터로 하여 다음의 식
이 성립된다.
D
=
D
x
1+A
s
d
100
여기서, Ds : 표건밀도(g/㎤) Dd : 절건밀도(g/㎤) A : 흡수율(%)
7. 사진
1) 잔골재의 물기가 거의 없을 2) 건조시킨 잔골재를 원추형 3) 잔골재의 원추가 처음
때까지 건조 시킨다. 몰드에 넣고 25회 다진 후 으로 흘러내릴 때의 상태
수직으로 빼 올린다. (=표면건조포화상태)
4) 표면건조포화상태의 잔골재 5) 잔골재 500g의 시료를 6) 물을 용기에 넣고 평평한
500g 플라스크에 넣음 면을 굴려서 기포를 없앰
8. 시험결과
잔골재의 밀도 및 흡수량 시험 (KS F 25043)
시 험 일 자
2011년 4월 21일 목요일
시 험 번 호
1
2
3
우리조
플라스크의 용량(㏄)
500
500
500
500
시료의 중량(g)
500
500
500
500
(플라스크)+(물)+(시료)의 중량(g)
983
981
1008.9
1006.8
물의 중량(g)
308
307.3
304.8
304.1

① -④
표면건조 포화상태의 밀도
x 물의 밀도
2.6
2.59
2.6
2.55
허 용 차(g/㎤)
0.02
평 균
2.585
시료의 건조중량(g)
497.6
497.1
497.9
496.8
② -⑧

흡수율 x 100(%)
0.4823
0.5834
0.4217
0.6441
허 용 차(%)
0.05
⑪ 평 균
0.5329
9. 시험결과 고찰
일반적으로 잔골재의 밀도는 2.50g/㎤~2.65g/㎤정도, 흡수량이 1% 정도이다. 흡수량이 3%이상인 골재는 콘크리트용 골재로서 부적합하다.
위 시험 결과를 보면 잔골재의 밀도는 2.55g/㎤, 흡수량은 0.6441%가 나왔다. 규정보다 밀도와 흡수량은 규정안에 들었다. 그러나 다른 조와 비교했을 때 허용차 안에 밀도는 0.1정도가 벗어났고 흡수율 또한 많이 초과하였다.
가장 큰 이유를 보면 시험 과정에서 플라스크 물의 무게를 측정하고 시료를 넣었어야 했는데 물의 무게를 재지 않고 시료를 넣는 바람에 우리 조는 다른 플라스크에 옮겨 다시 시험을 했어야 했다. 그 과정에서 시료의 양이 부족하게 들어갔다.
그리고 다른 이유들을 생각해보면 원추형 몰드에서 골재가 흘러내리는 것을 육안으로 판별해 표면 건조 상태를 만드는데 육안으로 흘러내리는 정도를 판별하기도 어려웠고, 입자가 적어 공기와의 접촉되는 표면적이 넓기 때문에 수분이 빨리 말라 표면 건조 상태에 잔골재를 딱 맞추기가 힘들었다.
골재는 강도가 클수록, 흡수율이 낮을수록 건조수축을 억제하는데 효과적이고, 밀도가 클수록 공극을 줄여 시멘트 양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강도도 커지고 경제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골재는 밀도가 클수록 흡수율이 낮을수록 좋은 골재라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1.05.13
  • 저작시기2011.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6013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