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대구시 북구 하수관거 조사-
1. 개요
2. 조사 대상 지역
3. 기초조사
● 북구의 지역별 면적, 가구수, 인구(금호강 이북지역)(2002년 기준)
● 오수량 산정
● 최대계획 우수 유출량
※ 우수 유출량 산정
4. 배제방식
5. 칠곡일대의 유량과 수질조사 - 동천교
●동천교 유량조사
●수질조사
6.팔거천 하수량과 수질
● 팔거천의 수질
7.북부 하수종말처리장
●북부하수처리장 유입수량
●유입수질
8.하수관거의 배제방식
9.하수관거 시설의 문
●하수관거 문제점
●차집관거 시설의 문제점
10.칠곡4지구
11. 결론
●칠곡 4지구 포함 오수량 및 우수량
1. 개요
2. 조사 대상 지역
3. 기초조사
● 북구의 지역별 면적, 가구수, 인구(금호강 이북지역)(2002년 기준)
● 오수량 산정
● 최대계획 우수 유출량
※ 우수 유출량 산정
4. 배제방식
5. 칠곡일대의 유량과 수질조사 - 동천교
●동천교 유량조사
●수질조사
6.팔거천 하수량과 수질
● 팔거천의 수질
7.북부 하수종말처리장
●북부하수처리장 유입수량
●유입수질
8.하수관거의 배제방식
9.하수관거 시설의 문
●하수관거 문제점
●차집관거 시설의 문제점
10.칠곡4지구
11. 결론
●칠곡 4지구 포함 오수량 및 우수량
본문내용
가 막히거나 침사지 및 유입펌프장까지 이송 퇴적되어 침사지의 유효 용적을 감소시키고 후속처리시설에 영향을 주는 등 하수처리시설 운영에 지장을 초래할 수 있다. 우수관거가 오수관거에 비해 적정유속확보가 어렵다고 한다.
관거 부실도
이음부 부실, 관거연결관 돌출등의 관거 부실 분제를 가지며 이는 관거 교체 및 보수가 필요하다. 또 하수처리시설의 유입량을 증대시키는 침입수 및 토양오염을 야기하는 유출수 항목은 거의 적은 량이고, 배수설비와의 연결 시 발생하는 연결관 돌출이 문제가 있다. 기존 분류식 지역에서 발생된 관거 부실도가 상당히 높은 편임으로 관거 정비에 많은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문제 관거의 점차적 교체와 보수가 필요하다
●차집관거 시설의 문제점
차집관거는 청천시에는 시가화지역으로부터 발생하는 오수를 녹지로부터의 계곡수 및 시가와 지역내 각 지천의 하천수와 분리하여 차집하고, 우천시에는 합류식 관거에서 유출되는 오수 및 일정량의 우수를 효과적으로 찻집할수 있도록 하는 하수관거이다.
북부처리장의 유입차집관로는 팔거천을 따라 태전교까지의 관로가 매설되어있고 칠곡2택지지구 상부지역까지 관로가 매설되어있다.
팔거천을 따라 매설된 관로와 노곡동의 관거가 합하여 금호강을 횡단하고 사수동의 관로는 연결구배를 고려 팔달자동차 학원 인근에서 금호강을 횡단후 북부하수처리장 차집관거로 북부하수처리장으로 유입된다.
차집관거의 문제점
I/I 다량 유입 예상
대부분의 차집관거 설치시 방류선과 연계등을 감안하여 부설이 용이한 하천변에 매설함에 따라 상당량의 I/I가 유입되어 유입수질 저하, 유입량 증가 등 하수처리장 운연에 많은 지장을 초래하고 있다.
유지관리의 어려움
차집관거는 준공이후 다량의 하수가 지속적으로 흐르는 상황이므로 대부분 내부 실태조사가 불가능하여 차집관거 문제점 파악 및 개 보수가 용이하지 못한 실정이다.
관로내 토사 퇴적
조사지역 합류식 관거 실치지역에 시설되는 차집관거의 용량은 우천시 차집량에 대한 월류수의 오염부하량을 적정한 선에서 억제하기 위해 시간최대 오수량의 2배로 하고 있다.(대구시가 그러함에서 적용) 이에 따라 합류식 하수도를 통해 우천시 유입된 토사가 차집관로내에 정체하며, 특히 하천 차집시설 차집관거는 구조적으로 강우시 다량의 토사유입을 수반하고 있다.
우수토실 유지관리
우수토실의 적정 유지관리 즉, 주기적인 준설 및 청소를 소흘히 함으로써 강우시 적정량이 차집되지 못하고 방류선으로 월류되어 방류수역을 오염시키고 있다.
하천수의 유입
우천시 하천수위 상승으로 인해 우수토실로 하천수가 다량 유입되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유지관리 대장, 도면 미비
차집관거 및 우수토실등이 단계별 증설 및 지형여건 변동에 따라 일관성 있는 도면 및 관리대장 등이 미비하고 총괄적이고 체계적인 유지관리 및 현황파악이 어려운 실정이다.
⇒개선방안
오수관거를 매설하여 우 오수를 분리하거나 개량 및 보수를 통한 관거 갱생을 통하여 적정량 이상의 하수와 토사유입을 방지하며 우 오수 분리가 곤란한 합류식 취락지역은 관거 시점부에 침사조를 설치하거나 기존 합류관거내 오수와 계곡수를 분리할 수 있는 분리간벽 설치, 공공하수도 차집관거 연결부에 우수토실 설치로 맑은 계곡수와 토사는 가능한한 하천으로 유도하며 지속적인 차집관거 내부조사 및 관거준설과 유지관리를 병행해야 할 것이다.
10.칠곡4지구
4지구 학정동 일대
"북구청에 따르면 학정동 4만 2천여평의 부지를 택지개발예정 지구(칠곡 4지구)로 설정, 대구시의 승인이 나는 대로 연내에 1천 600가구 5천 100여명을 수용할 수 잇는 규모로 개발할 계획이다."(매일신문 2002년 1월 30일자)
지 역
면적(㎢)
가구수(호)
인구(인)
오수량(㎥/일)
칠곡 4지구
0.14
1,600
5,100
2,084
최대 계획 우수 유출량=11,193㎥/day
11. 결론
●칠곡 4지구 포함 오수량 및 우수량
오수량=93,483+2,084=95,567㎥/day
우수량=4,351,622+11,193=4,362,815㎥/day
팔거천의 수질
BOD (mg/l)
SS (mg/l)
평균
200.0
188.1
최대
250.8
228.0
최소
155.9
141.1
북부 하수처리장의 설계수질- BOD : 150 mg/l, SS : 160 mg/l
팔거천으로부터 유입되는 하수의 수질은 평균 BOD : 200.0mg/l ,SS : 188.1mg/l 로서 북부 하수처리장의 설계수질 BOD:150 mg/l, SS:160 mg/l 보다 높게 나타난다. 또한 최소 값 역시 설계수질과 비슷하기에 팔거천의 현재의 수질은 하수처리장이 운전되기에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 볼 수 있다. 그래서 현재의 관거를 굳이 바꿔야 할 필요는 없다.
현재 금호강 이북의 칠곡지역은 칠곡1,2,3지구는 분류식으로 처음 택지개발이 이루어질 때부터 분류식으로 하였고, 그 이외의 지역은 합류식으로 되어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분류식으로 되어 있는 칠곡1,2,3지구경우도 분류식으로 되어있어도 합류식으로 된 부분의 하수와 함께 처리장까지 가면서 분류식의 기능을 제대로 살리지 못하고 있다.
합류식 및 분류식 배제방식과 두 방식을 동시에 채택하는 합병식 중 일반적인 비교에서 어느 방식이 유리하다고 판단하기는 어렵지만 방류수역의 수지오염 방지라는 측면에서 볼 때는 분류식 배제방식이 유리하다. 합류식의 최대결점은 우천시 우수와 오수가 혼합되어 미처리상태로 우수토실 등으로부터 방류되는 점과 청천시 오수량에 대하여 충분한 유속을 확보하기 어려우므로 오수중의 부유물이 관거내에 침전되고 이것이 강우초기에 일시에 유출되어 방류수역을 오염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굳이 분류식으로 할 필요는 없어도 방류수역의 수질보전의 측면에서 분류식 하수배제방식이 더 없이 유리하기에 현재의 합류식 배제방식을 경제성 유지관리면 등을 고려해가며 점차적으로 분류식 배제방식으로 바꾸어 가는 것이 수질 보전 측면에서 필요하다.
새로이 생기는 칠곡4지구의 경우도 합류식으로 해도 북부 하수처리장에서 처리함에 문제는 되지 않으나, 방류수역의 수질보전 측면에서 처음부터 분류식으로 하는 것이 좋다.
관거 부실도
이음부 부실, 관거연결관 돌출등의 관거 부실 분제를 가지며 이는 관거 교체 및 보수가 필요하다. 또 하수처리시설의 유입량을 증대시키는 침입수 및 토양오염을 야기하는 유출수 항목은 거의 적은 량이고, 배수설비와의 연결 시 발생하는 연결관 돌출이 문제가 있다. 기존 분류식 지역에서 발생된 관거 부실도가 상당히 높은 편임으로 관거 정비에 많은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문제 관거의 점차적 교체와 보수가 필요하다
●차집관거 시설의 문제점
차집관거는 청천시에는 시가화지역으로부터 발생하는 오수를 녹지로부터의 계곡수 및 시가와 지역내 각 지천의 하천수와 분리하여 차집하고, 우천시에는 합류식 관거에서 유출되는 오수 및 일정량의 우수를 효과적으로 찻집할수 있도록 하는 하수관거이다.
북부처리장의 유입차집관로는 팔거천을 따라 태전교까지의 관로가 매설되어있고 칠곡2택지지구 상부지역까지 관로가 매설되어있다.
팔거천을 따라 매설된 관로와 노곡동의 관거가 합하여 금호강을 횡단하고 사수동의 관로는 연결구배를 고려 팔달자동차 학원 인근에서 금호강을 횡단후 북부하수처리장 차집관거로 북부하수처리장으로 유입된다.
차집관거의 문제점
I/I 다량 유입 예상
대부분의 차집관거 설치시 방류선과 연계등을 감안하여 부설이 용이한 하천변에 매설함에 따라 상당량의 I/I가 유입되어 유입수질 저하, 유입량 증가 등 하수처리장 운연에 많은 지장을 초래하고 있다.
유지관리의 어려움
차집관거는 준공이후 다량의 하수가 지속적으로 흐르는 상황이므로 대부분 내부 실태조사가 불가능하여 차집관거 문제점 파악 및 개 보수가 용이하지 못한 실정이다.
관로내 토사 퇴적
조사지역 합류식 관거 실치지역에 시설되는 차집관거의 용량은 우천시 차집량에 대한 월류수의 오염부하량을 적정한 선에서 억제하기 위해 시간최대 오수량의 2배로 하고 있다.(대구시가 그러함에서 적용) 이에 따라 합류식 하수도를 통해 우천시 유입된 토사가 차집관로내에 정체하며, 특히 하천 차집시설 차집관거는 구조적으로 강우시 다량의 토사유입을 수반하고 있다.
우수토실 유지관리
우수토실의 적정 유지관리 즉, 주기적인 준설 및 청소를 소흘히 함으로써 강우시 적정량이 차집되지 못하고 방류선으로 월류되어 방류수역을 오염시키고 있다.
하천수의 유입
우천시 하천수위 상승으로 인해 우수토실로 하천수가 다량 유입되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유지관리 대장, 도면 미비
차집관거 및 우수토실등이 단계별 증설 및 지형여건 변동에 따라 일관성 있는 도면 및 관리대장 등이 미비하고 총괄적이고 체계적인 유지관리 및 현황파악이 어려운 실정이다.
⇒개선방안
오수관거를 매설하여 우 오수를 분리하거나 개량 및 보수를 통한 관거 갱생을 통하여 적정량 이상의 하수와 토사유입을 방지하며 우 오수 분리가 곤란한 합류식 취락지역은 관거 시점부에 침사조를 설치하거나 기존 합류관거내 오수와 계곡수를 분리할 수 있는 분리간벽 설치, 공공하수도 차집관거 연결부에 우수토실 설치로 맑은 계곡수와 토사는 가능한한 하천으로 유도하며 지속적인 차집관거 내부조사 및 관거준설과 유지관리를 병행해야 할 것이다.
10.칠곡4지구
4지구 학정동 일대
"북구청에 따르면 학정동 4만 2천여평의 부지를 택지개발예정 지구(칠곡 4지구)로 설정, 대구시의 승인이 나는 대로 연내에 1천 600가구 5천 100여명을 수용할 수 잇는 규모로 개발할 계획이다."(매일신문 2002년 1월 30일자)
지 역
면적(㎢)
가구수(호)
인구(인)
오수량(㎥/일)
칠곡 4지구
0.14
1,600
5,100
2,084
최대 계획 우수 유출량=11,193㎥/day
11. 결론
●칠곡 4지구 포함 오수량 및 우수량
오수량=93,483+2,084=95,567㎥/day
우수량=4,351,622+11,193=4,362,815㎥/day
팔거천의 수질
BOD (mg/l)
SS (mg/l)
평균
200.0
188.1
최대
250.8
228.0
최소
155.9
141.1
북부 하수처리장의 설계수질- BOD : 150 mg/l, SS : 160 mg/l
팔거천으로부터 유입되는 하수의 수질은 평균 BOD : 200.0mg/l ,SS : 188.1mg/l 로서 북부 하수처리장의 설계수질 BOD:150 mg/l, SS:160 mg/l 보다 높게 나타난다. 또한 최소 값 역시 설계수질과 비슷하기에 팔거천의 현재의 수질은 하수처리장이 운전되기에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 볼 수 있다. 그래서 현재의 관거를 굳이 바꿔야 할 필요는 없다.
현재 금호강 이북의 칠곡지역은 칠곡1,2,3지구는 분류식으로 처음 택지개발이 이루어질 때부터 분류식으로 하였고, 그 이외의 지역은 합류식으로 되어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분류식으로 되어 있는 칠곡1,2,3지구경우도 분류식으로 되어있어도 합류식으로 된 부분의 하수와 함께 처리장까지 가면서 분류식의 기능을 제대로 살리지 못하고 있다.
합류식 및 분류식 배제방식과 두 방식을 동시에 채택하는 합병식 중 일반적인 비교에서 어느 방식이 유리하다고 판단하기는 어렵지만 방류수역의 수지오염 방지라는 측면에서 볼 때는 분류식 배제방식이 유리하다. 합류식의 최대결점은 우천시 우수와 오수가 혼합되어 미처리상태로 우수토실 등으로부터 방류되는 점과 청천시 오수량에 대하여 충분한 유속을 확보하기 어려우므로 오수중의 부유물이 관거내에 침전되고 이것이 강우초기에 일시에 유출되어 방류수역을 오염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굳이 분류식으로 할 필요는 없어도 방류수역의 수질보전의 측면에서 분류식 하수배제방식이 더 없이 유리하기에 현재의 합류식 배제방식을 경제성 유지관리면 등을 고려해가며 점차적으로 분류식 배제방식으로 바꾸어 가는 것이 수질 보전 측면에서 필요하다.
새로이 생기는 칠곡4지구의 경우도 합류식으로 해도 북부 하수처리장에서 처리함에 문제는 되지 않으나, 방류수역의 수질보전 측면에서 처음부터 분류식으로 하는 것이 좋다.
키워드
추천자료
수화의 개념과 역사 지화
뇌병변장애의 개념과 직업재활방안
낙동강 페놀 오염사고
자해 및 상동 행동 치료 프로그램
척수의 구조 및 반사신경
의료사회사업론 - 화상환자에 대한 의료사회복지실천 욕구 및 개입과정
[장애인심리][장애인심리발달][장애인심리검사][심리적 특성]장애인심리와 장애인심리발달 및...
통합예술치료의 활용에 관한 연구
과학과 학습자료(교수자료)의 종류와 활용, 과학과 자주학습자료(교수자료), 과학과 영화DVD...
[매매춘][성매매]매매춘(성매매)의 개념, 매매춘(성매매)의 유형, 매매춘(성매매)의 형태, 매...
[동서양고전읽기] 돈 끼호테(돈 키호테/Don Quixote)
[풍선놀이][풍선][풍선놀이][풍선터뜨리기][알루미늄깡통][풍선자석][유리병][향수풍선]풍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