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개요
Ⅱ. 연소의 개념
Ⅲ. 연소의 반응
Ⅳ. 연소의 생성물
1. 화석 연료의 주요 연소 생성물
2. 철가루의 연소 생성물
Ⅴ. 연소의 3요소
1. 가연성 물질
2. 공기(산소)
3. 점화원
Ⅵ. 연소와 연소장치
1. 회전식 버너(rotary oil burner)
2. 압력분무식 버너(pressure injection burner)
3. 증기, 공기분무식 버너
참고문헌
Ⅱ. 연소의 개념
Ⅲ. 연소의 반응
Ⅳ. 연소의 생성물
1. 화석 연료의 주요 연소 생성물
2. 철가루의 연소 생성물
Ⅴ. 연소의 3요소
1. 가연성 물질
2. 공기(산소)
3. 점화원
Ⅵ. 연소와 연소장치
1. 회전식 버너(rotary oil burner)
2. 압력분무식 버너(pressure injection burner)
3. 증기, 공기분무식 버너
참고문헌
본문내용
nk system)시켜 비례제어로 조절하나. 중요량 보일러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중유연소용 버너이다.
2. 압력분무식 버너(pressure injection burner)
건형올일버너(gun ytpe oil burner)라고도 하며 무화는 유압과 기류식을 병합한 것으로 5~30kg/㎠정도로 가압된 기름이 노내부를 선화하면서 분출되며 공기와 마찰 및 오일의 표면장력에 의한 미립자로 되어 공기와 혼합되어 연소하는 버너이다. 착화는 전극붕의 방전으로 이루어지고 연소량제어는 일반적으로 온오프제어(on-off-control)를 한다. 특징은 소형으로 전자동 연소가 되어 연소상태가 양호하며 소용량으로 많이 사용된다.
3. 증기, 공기분무식 버너
증기 또는 압축공기를 분무시켜서 분무를 양호하게 하고 유량조절범위를 크게 하는 방식으로 고압기류식과 저압기류식이 있으며 외부혼합식과 내부혼합식이 있다.
특징은 무화를 위해 유압을 높일 필요가 없고 연료의 점도가 커도 무관하나 무화매체가 소비되고 소음이 심하다.
참고문헌
김종식 외 1명(1999), 촉매연소의 반응 특성 연구,Ⅰ, 계명대학교 낙동강환경원
남금문 외 2명(2010), 바닥 장식재의 연소생성물 분석, 한국법과학회
문현숙(2011), 연소 개념에 대한 초등교사의 사례 연구 : 기체변화를 중심으로, 제주대학교
송재철(1986), 연소의 3요소와 소화의 3방식이 확인조사의 중요한 관찰요소, 한국화재보험협회
임진웅 외 3명(2012), 온구기의 연소 특성에 관한 고찰, 대한한의학회 대한침구학회
화학장치 편집부(1999), 연소 및 연소장치, 화학공업조사회
2. 압력분무식 버너(pressure injection burner)
건형올일버너(gun ytpe oil burner)라고도 하며 무화는 유압과 기류식을 병합한 것으로 5~30kg/㎠정도로 가압된 기름이 노내부를 선화하면서 분출되며 공기와 마찰 및 오일의 표면장력에 의한 미립자로 되어 공기와 혼합되어 연소하는 버너이다. 착화는 전극붕의 방전으로 이루어지고 연소량제어는 일반적으로 온오프제어(on-off-control)를 한다. 특징은 소형으로 전자동 연소가 되어 연소상태가 양호하며 소용량으로 많이 사용된다.
3. 증기, 공기분무식 버너
증기 또는 압축공기를 분무시켜서 분무를 양호하게 하고 유량조절범위를 크게 하는 방식으로 고압기류식과 저압기류식이 있으며 외부혼합식과 내부혼합식이 있다.
특징은 무화를 위해 유압을 높일 필요가 없고 연료의 점도가 커도 무관하나 무화매체가 소비되고 소음이 심하다.
참고문헌
김종식 외 1명(1999), 촉매연소의 반응 특성 연구,Ⅰ, 계명대학교 낙동강환경원
남금문 외 2명(2010), 바닥 장식재의 연소생성물 분석, 한국법과학회
문현숙(2011), 연소 개념에 대한 초등교사의 사례 연구 : 기체변화를 중심으로, 제주대학교
송재철(1986), 연소의 3요소와 소화의 3방식이 확인조사의 중요한 관찰요소, 한국화재보험협회
임진웅 외 3명(2012), 온구기의 연소 특성에 관한 고찰, 대한한의학회 대한침구학회
화학장치 편집부(1999), 연소 및 연소장치, 화학공업조사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