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개요
Ⅱ. 환경보전의식(환경보존의식)과 의식함양
Ⅲ. 환경보전의식(환경보존의식)과 환경교육
Ⅳ. 환경보전의식(환경보존의식)과 환경보전활동
1. 환경보전 활동을 위한 도구 확보
2. 쓰레기 분리수거를 위한 시설 확보
1) 분리 배출용 수거통 설치(병류, 캔류, 플라스틱류 등)
2) 재활용품 분리 수거장 설치
3. 실외 환경보전 학습장 설치 운영
1) 폐타이어를 이용한 화분 시설(우천로 꽃길 조성)
2) 산야초 동산 조성
Ⅴ. 환경보전의식(환경보존의식)과 학교환경
1. 교실환경 구성
2. 실내 환경 구성
1) 1층 복도
2) 2층 복도
3) 동쪽 계단
4) 서쪽 계단
5) 환경관
Ⅵ. 환경보전의식(환경보존의식)과 설문조사
1. 환경보전에 대한 인지도
2. 환경보전에 대한 관심도
3. 환경교육 수용 자세
4. 환경보전 실천 의지
5. 환경오염에 대한 체감도
Ⅶ. 환경보전의식(환경보존의식)과 고등학생
참고문헌
Ⅱ. 환경보전의식(환경보존의식)과 의식함양
Ⅲ. 환경보전의식(환경보존의식)과 환경교육
Ⅳ. 환경보전의식(환경보존의식)과 환경보전활동
1. 환경보전 활동을 위한 도구 확보
2. 쓰레기 분리수거를 위한 시설 확보
1) 분리 배출용 수거통 설치(병류, 캔류, 플라스틱류 등)
2) 재활용품 분리 수거장 설치
3. 실외 환경보전 학습장 설치 운영
1) 폐타이어를 이용한 화분 시설(우천로 꽃길 조성)
2) 산야초 동산 조성
Ⅴ. 환경보전의식(환경보존의식)과 학교환경
1. 교실환경 구성
2. 실내 환경 구성
1) 1층 복도
2) 2층 복도
3) 동쪽 계단
4) 서쪽 계단
5) 환경관
Ⅵ. 환경보전의식(환경보존의식)과 설문조사
1. 환경보전에 대한 인지도
2. 환경보전에 대한 관심도
3. 환경교육 수용 자세
4. 환경보전 실천 의지
5. 환경오염에 대한 체감도
Ⅶ. 환경보전의식(환경보존의식)과 고등학생
참고문헌
본문내용
때문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장폐수에 대한 심각정도를 나타낸 문항은 학교계열, 학년, 성별에 상관없이 긍정적으로 응답한 경우가 많았는데, 학교계열별로 실업계 고등학교 47.3%로 인문계 고등학교 47.0%보다 많았다. 학년별로는 1학년인 경우 47.4%로 2학년 46.9%보다 많았고, 성별로 여학생인 경우 48.1%로 남학생 46.2%보다 많았다. 카이제곱 검정결과 학교계열의 p-값은 .051이고, 학년의 p-값은 .146이므로 .05보다 크기 때문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고, 성별의 p-값은 .001이므로 .05보다 작기 때문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황사 현상에 대한 심각정도룰 나타낸 문항은 학교계열, 학년, 성별에 상관없이 긍정적으로 응답한 경우가 많았는데, 학교계열별로 인문계 고등학교 66.2%로 실업계 고등학교 55.7%보다 많았다. 학년별로는 1학년인 경우 61.6%로 2학년 60.2%보다 많았고, 성별로 남학생인 경우 61.2%로 여학생 60.5%보다 많았다. 카이제곱 검정결과 학교계열의 p-값은 .000이고, 성별의 p-값은 .014이므로 .05보다 작기 때문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고, 학년의 p-값은 .560이므로 .05보다 크기 때문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시는 물의 오염에 대한 심각정도를 나타낸 문항은 학교계열, 학년, 성별에 상관없이 긍정적으로 응답한 경우가 많았는데, 학교계열별로 실업계 고등학교 46.1%로 인문계 고등학교 43.6%보다 많았다. 학년별로는 1학년인 경우 46.1%로 2학년 43.7%보다 많았고, 성별로 여학생인 경우 47.8%로 남학생 41.8%보다 많았다. 카이제곱 검정결과 학교계열의 p-값은 .928이므로 .05보다 크기 때문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고, 학년의 p-값은 .043이고, 성별의 p-값은 .032이므로 .05보다 작기 때문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쓰레기나 폐기물에 대한 심각정도를 나타낸 문항은 학교계열, 학년, 성별에 상관없이 긍정적으로 응답한 경우가 많았는데, 학교계열별로 실업계 고등학교 68.5%로 인문계 고등학교 62.9%보다 많았다. 학년별로는 1학년인 경우 67.0%로 2학년 64.4%보다 많았고, 성별로 여학생인 경우 70.4%로 남학생 60.9%보다 많았다. 카이제곱 검정결과 학교계열의 p-값은 .163이고, 학년의 p-값은 .064이므로 .05보다 크기 때문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고, 성별의 p-값은 .005이므로 .05보다 작기 때문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장 등의 나쁜 냄새에 대한 심각정도를 나타낸 문항는 학교계열, 학년, 성별에 상관없이 긍정적으로 응답한 경우가 많았는데, 학교계열별로 실업계 고등학교 52.7%로 인문계 고등학교 51.3%보다 많았다. 학년별로는 2학년인 경우 52.1%로 1학년 51.9%보다 많았고, 성별로 여학생인 경우 52.4%로 남학생 51.6%보다 많았다. 카이제곱 검정결과 학교계열의 p-값은 .120이고, 성별의 p-값은 .132이므로 .05보다 크기 때문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고, 학년의 p-값은 .001이므로 .05보다 작기 때문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분별한 자연 훼손에 대한 심각정도를 나타낸 문항은 학교계열, 학년, 성별에 상관없이 긍정적으로 응답한 경우가 많았는데, 학교계열별로 실업계 고등학교 58.2%로 인문계 고등학교 54.3%보다 많았다. 학년별로는 2학년인 경우 58.0%로 1학년 54.6%보다 많았고, 성별로 여학생인 경우 57.9%로 남학생 54.6%보다 많았다. 카이제곱 검정결과 학교계열의 p-값은 .058이고, 성별의 p-값은 .181이므로 .05보다 크기 때문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고, 학년의 p-값은 .029이므로 .05보다 작기 때문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고문헌
◇ 교육부, 자연과 함께 숨쉬는 교육, 교육부, 1993
◇ 김동규, 세계의 환경교육, 교육과학사, 1996
◇ 민숙자, 지구를 지키는 환경과학, 도서출판사, 1997
◇ 사평초등학교, 다양한 체험 활동을 통한 환경 보존의 생활화, 환경교육시범학교운영보고서, 2000
◇ 정승우, 우리나라 환경교육 활성화를 위한 정책 방안에 관한 연구, 경희대대학원 행정학과, 2000
◇ 환경처, 환경교육 연수 교재, 환경처 공보관실, 2001
공장폐수에 대한 심각정도를 나타낸 문항은 학교계열, 학년, 성별에 상관없이 긍정적으로 응답한 경우가 많았는데, 학교계열별로 실업계 고등학교 47.3%로 인문계 고등학교 47.0%보다 많았다. 학년별로는 1학년인 경우 47.4%로 2학년 46.9%보다 많았고, 성별로 여학생인 경우 48.1%로 남학생 46.2%보다 많았다. 카이제곱 검정결과 학교계열의 p-값은 .051이고, 학년의 p-값은 .146이므로 .05보다 크기 때문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고, 성별의 p-값은 .001이므로 .05보다 작기 때문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황사 현상에 대한 심각정도룰 나타낸 문항은 학교계열, 학년, 성별에 상관없이 긍정적으로 응답한 경우가 많았는데, 학교계열별로 인문계 고등학교 66.2%로 실업계 고등학교 55.7%보다 많았다. 학년별로는 1학년인 경우 61.6%로 2학년 60.2%보다 많았고, 성별로 남학생인 경우 61.2%로 여학생 60.5%보다 많았다. 카이제곱 검정결과 학교계열의 p-값은 .000이고, 성별의 p-값은 .014이므로 .05보다 작기 때문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고, 학년의 p-값은 .560이므로 .05보다 크기 때문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시는 물의 오염에 대한 심각정도를 나타낸 문항은 학교계열, 학년, 성별에 상관없이 긍정적으로 응답한 경우가 많았는데, 학교계열별로 실업계 고등학교 46.1%로 인문계 고등학교 43.6%보다 많았다. 학년별로는 1학년인 경우 46.1%로 2학년 43.7%보다 많았고, 성별로 여학생인 경우 47.8%로 남학생 41.8%보다 많았다. 카이제곱 검정결과 학교계열의 p-값은 .928이므로 .05보다 크기 때문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고, 학년의 p-값은 .043이고, 성별의 p-값은 .032이므로 .05보다 작기 때문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쓰레기나 폐기물에 대한 심각정도를 나타낸 문항은 학교계열, 학년, 성별에 상관없이 긍정적으로 응답한 경우가 많았는데, 학교계열별로 실업계 고등학교 68.5%로 인문계 고등학교 62.9%보다 많았다. 학년별로는 1학년인 경우 67.0%로 2학년 64.4%보다 많았고, 성별로 여학생인 경우 70.4%로 남학생 60.9%보다 많았다. 카이제곱 검정결과 학교계열의 p-값은 .163이고, 학년의 p-값은 .064이므로 .05보다 크기 때문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고, 성별의 p-값은 .005이므로 .05보다 작기 때문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장 등의 나쁜 냄새에 대한 심각정도를 나타낸 문항는 학교계열, 학년, 성별에 상관없이 긍정적으로 응답한 경우가 많았는데, 학교계열별로 실업계 고등학교 52.7%로 인문계 고등학교 51.3%보다 많았다. 학년별로는 2학년인 경우 52.1%로 1학년 51.9%보다 많았고, 성별로 여학생인 경우 52.4%로 남학생 51.6%보다 많았다. 카이제곱 검정결과 학교계열의 p-값은 .120이고, 성별의 p-값은 .132이므로 .05보다 크기 때문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고, 학년의 p-값은 .001이므로 .05보다 작기 때문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분별한 자연 훼손에 대한 심각정도를 나타낸 문항은 학교계열, 학년, 성별에 상관없이 긍정적으로 응답한 경우가 많았는데, 학교계열별로 실업계 고등학교 58.2%로 인문계 고등학교 54.3%보다 많았다. 학년별로는 2학년인 경우 58.0%로 1학년 54.6%보다 많았고, 성별로 여학생인 경우 57.9%로 남학생 54.6%보다 많았다. 카이제곱 검정결과 학교계열의 p-값은 .058이고, 성별의 p-값은 .181이므로 .05보다 크기 때문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고, 학년의 p-값은 .029이므로 .05보다 작기 때문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고문헌
◇ 교육부, 자연과 함께 숨쉬는 교육, 교육부, 1993
◇ 김동규, 세계의 환경교육, 교육과학사, 1996
◇ 민숙자, 지구를 지키는 환경과학, 도서출판사, 1997
◇ 사평초등학교, 다양한 체험 활동을 통한 환경 보존의 생활화, 환경교육시범학교운영보고서, 2000
◇ 정승우, 우리나라 환경교육 활성화를 위한 정책 방안에 관한 연구, 경희대대학원 행정학과, 2000
◇ 환경처, 환경교육 연수 교재, 환경처 공보관실, 2001
추천자료
갯벌의 보존과 개발에 대한 경제분석의 표준화 및 해양환경회계설계방안
환경오염과 보존
NGO-환경분야 활동 세계의 습지보전운동
★☆인간과 윤리 - 환경개발과 보존☆★
환경보존과미래
환경보존에 대해서
[환경]환경보존과 에너지자원
가전 분야에서 Convergence 될 수 있는 Item과 가전 분야에서 환경 보존 및 에너지 절약을 ...
비무장지대의 자연생태환경과 보전방안
[대기오염][공기오염][환경오염][대기오염물질][대기오염 사례][환경보존]대기오염의 개념, ...
아마존(아마존강)의 환경과 자연, 아마존(아마존강)의 동식물, 아마존(아마존강) 밀림의 감소...
우리나라의 개발과 보존 대립 실태 및 환경 문제 해결
환경보존
중국의 비즈니스 모델-바이오,에너지절약,신재생,환경보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