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건강상식과 고혈압
Ⅱ. 건강상식과 암
Ⅲ. 건강상식과 치아
1. 유치와 영구치
2. 치아의 형태
3. 치아가 하는 일
4. 유치와 역할
5. 전치의 역할
6. 견치의 역할
7. 소구치의 역할
8. 대구치의 역할
9. 교합
10. 혀의 기능
11. 타액의 기능
12. 구강
Ⅳ. 건강상식과 식이요법
1. 간질환은 소모성 질환이기 때문에 영양섭취를 잘해야 된다
2. 배아(눈)이다
Ⅴ. 건강상식과 다이어트
Ⅵ. 건강상식과 금연
Ⅶ. 건강상식과 잠(수면)
참고문헌
Ⅱ. 건강상식과 암
Ⅲ. 건강상식과 치아
1. 유치와 영구치
2. 치아의 형태
3. 치아가 하는 일
4. 유치와 역할
5. 전치의 역할
6. 견치의 역할
7. 소구치의 역할
8. 대구치의 역할
9. 교합
10. 혀의 기능
11. 타액의 기능
12. 구강
Ⅳ. 건강상식과 식이요법
1. 간질환은 소모성 질환이기 때문에 영양섭취를 잘해야 된다
2. 배아(눈)이다
Ⅴ. 건강상식과 다이어트
Ⅵ. 건강상식과 금연
Ⅶ. 건강상식과 잠(수면)
참고문헌
본문내용
.
체지방 측정을 과학적으로 하지 못하는 실정이라면 자신의 아랫배를 한번 잡아보라.
물컹한 지방덩어리가 잡히면 다이어트가 필요한 것이다.
그럼 간단한 계산으로 비만도(Body Mass Index)를 계산해보자.
>> 공식 : 체중(kg)÷(키(m)*키(m))<<
예를 들어 키가 1.6m, 체중이 61kg인 사람이 있다.
계산해보면 61÷(1.6*1.6)=23.82가 나온다. 23.82가 비만도인 것이다.
과소체중 : 18.5 이하
정상 : 18.5-24.9
표준초과 : 25-29.9
비만 1형 : 30-34.9
비만 2형 : 35-39.9
비만 3형 : 40이상
체중, 특히 체지방이 많으면 당뇨병, 고혈압, 심장질환 등 많은 질병에 걸릴 위험성이 높아진다. 그러나 천천히 하자.
Ⅵ. 건강상식과 금연
단순히 `자기의지\'만을 강조해서는 금연에 실패할 확률이 높아진다.
차나 집을 사는 것처럼 금연도 꼼꼼한 계획이 필요하다. 전문가들의 충고를 모아본다.
1. 담배를 평생 끊는다는 것이 도저히 불가능하다는 생각이 들면 일단 한달만이라도 끊어 보는 계획을 세운다.
2. 금연일은 생일이나 결혼기념일처럼 특별한 날로 정한다.
하지만 스트레스가 적은 날을 잡아야 한다.
3. 담배일기를 써서 흡연충동을 일으키는 요인들의 목록을 작성해서
그런 상황을 피하거나 대응책을 세운다. 예)압력을 받으면서 일할 때, 울적할 때, 전화로 대화할 때, 술마실 때, 텔레비전 볼 때, 운전할 때, 식사 후에, 화투 칠 때, 커피 마실 때, 다른 사람이 담배 피우는 것을 보았을 때, 바둑둘 때, 부부싸움할 때….
4. 가족이나 동료에게 금연사실을 알린다. 특히 자녀들에게 금연결심을 알리는 것이 좋다.
5. 금연 뒤 당분간은 흡연자나 흡연 장소를 멀리한다.
흡연자들은 친구가 금연을 했다고 하면 격려하기보다 은근히 방해하기 쉽다.
회식자리도 피하고 가게 되면 비흡연자 옆에 앉는다.
6. 담배를 피우든지 안 피우든지 흡연 충동은 3~5분 안에 사라진다.
정 담배를 피고 싶다면 5분 있다가 피우겠다고 생각하라.
고비를 넘길 수 있을 것이다.
7. 금단증상은 3일간이 가장 심하다.
`이렇게 힘들면 그냥 피는 것보다 빨리 죽겠다\'라는 생각이 들 것이다.
하지만 3일이 지나면 점점 편해지고 10일이면 사라진다.
8. 설사 한 두 개비 피웠다고 포기해서는 안된다.
담배를 피운 이유를 분석해 피할 수 있는 전략을 세운다.
9. 담배를 끊으면 평균 2~3㎏정도는 체중이 늘게 된다.
운동이나 다이어트로 조절할 생각을 해야지 체중 걱정 때문에 금연을 포기해서는 안된다.
10. 1~2년 금연했다고 `한 대만 피워도 되겠지\'하고 생각해서는 안된다.
백발백중 다시 피게 되고 오히려 그 동안에 못 핀 것을 보충하려고 더 많이 피게 된다.
Ⅶ. 건강상식과 잠(수면)
점심 시간 직후인 5교시 수업 시간에는 여기저기 조는 친구들이 눈에 띈다. 배가 부르면 왜 눈이 감기는 것일까?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산소나 영양분을 몸의 각 부분으로 실어 나르기 위한 피의 양은 우리 몸무게의 약 8%이다. 그것은 몸 전체가 동시에 움직인다면 형편없이 부족한 양이지만, 피는 몸의 어디서나 똑같은 양이 움직이지는 않는다. 피는 우리 몸에서 자주 움직이는 곳에 더 많이 흐른다.
그렇기 때문에 음식을 먹으면, 그것을 소화시키기 위해 위가 열심히 움직이게 되며, 따라서 위로 많은 양의 피가 모이게 된다. 이처럼 위에 많은 피가 모이게 되면 뇌 부분에 흐르던 피의 양이 자연히 줄어들어, 뇌의 활동이 둔해져 졸게 되는 것이다.
그렇다고 식사 후에 바로 심한 운동을 하거나 공부를 시작하면, 근육이나 머리 족으로 피가 모이게 되어 음식물을 소화시켜야 하는 위의 활동이 약해져 소화 기능이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식사 후에는 아무것도 하지 않고 얼마 동안 누워 있거나 아주 가벼운 운동을 하는 것이 좋다. 단, 누워 있을 때 잠을 자면 안 된다. 자면 소화 기능도 약해진다.
참고문헌
대한산업보건협회(2006) : 상식코너 - 잠에 대한 비밀, 대한산업안전협회
도다 하루미 외 1명(2009) : 다이어트 상식사전, 이퍼블릭
서정돈(1980) : 고혈압 의 상식, 조달청
이기찬(1980) : 암 에 대한 상식, 동부그룹
유현지(2010) : 건강백과 : 알면 알수록 건강해진다! -건강하게 치아 관리하는 “치아상식”, POBA행정공제회
현대양계사(1985) : 체질에 따른 올바른 식이요법, 현대양계사 현축
체지방 측정을 과학적으로 하지 못하는 실정이라면 자신의 아랫배를 한번 잡아보라.
물컹한 지방덩어리가 잡히면 다이어트가 필요한 것이다.
그럼 간단한 계산으로 비만도(Body Mass Index)를 계산해보자.
>> 공식 : 체중(kg)÷(키(m)*키(m))<<
예를 들어 키가 1.6m, 체중이 61kg인 사람이 있다.
계산해보면 61÷(1.6*1.6)=23.82가 나온다. 23.82가 비만도인 것이다.
과소체중 : 18.5 이하
정상 : 18.5-24.9
표준초과 : 25-29.9
비만 1형 : 30-34.9
비만 2형 : 35-39.9
비만 3형 : 40이상
체중, 특히 체지방이 많으면 당뇨병, 고혈압, 심장질환 등 많은 질병에 걸릴 위험성이 높아진다. 그러나 천천히 하자.
Ⅵ. 건강상식과 금연
단순히 `자기의지\'만을 강조해서는 금연에 실패할 확률이 높아진다.
차나 집을 사는 것처럼 금연도 꼼꼼한 계획이 필요하다. 전문가들의 충고를 모아본다.
1. 담배를 평생 끊는다는 것이 도저히 불가능하다는 생각이 들면 일단 한달만이라도 끊어 보는 계획을 세운다.
2. 금연일은 생일이나 결혼기념일처럼 특별한 날로 정한다.
하지만 스트레스가 적은 날을 잡아야 한다.
3. 담배일기를 써서 흡연충동을 일으키는 요인들의 목록을 작성해서
그런 상황을 피하거나 대응책을 세운다. 예)압력을 받으면서 일할 때, 울적할 때, 전화로 대화할 때, 술마실 때, 텔레비전 볼 때, 운전할 때, 식사 후에, 화투 칠 때, 커피 마실 때, 다른 사람이 담배 피우는 것을 보았을 때, 바둑둘 때, 부부싸움할 때….
4. 가족이나 동료에게 금연사실을 알린다. 특히 자녀들에게 금연결심을 알리는 것이 좋다.
5. 금연 뒤 당분간은 흡연자나 흡연 장소를 멀리한다.
흡연자들은 친구가 금연을 했다고 하면 격려하기보다 은근히 방해하기 쉽다.
회식자리도 피하고 가게 되면 비흡연자 옆에 앉는다.
6. 담배를 피우든지 안 피우든지 흡연 충동은 3~5분 안에 사라진다.
정 담배를 피고 싶다면 5분 있다가 피우겠다고 생각하라.
고비를 넘길 수 있을 것이다.
7. 금단증상은 3일간이 가장 심하다.
`이렇게 힘들면 그냥 피는 것보다 빨리 죽겠다\'라는 생각이 들 것이다.
하지만 3일이 지나면 점점 편해지고 10일이면 사라진다.
8. 설사 한 두 개비 피웠다고 포기해서는 안된다.
담배를 피운 이유를 분석해 피할 수 있는 전략을 세운다.
9. 담배를 끊으면 평균 2~3㎏정도는 체중이 늘게 된다.
운동이나 다이어트로 조절할 생각을 해야지 체중 걱정 때문에 금연을 포기해서는 안된다.
10. 1~2년 금연했다고 `한 대만 피워도 되겠지\'하고 생각해서는 안된다.
백발백중 다시 피게 되고 오히려 그 동안에 못 핀 것을 보충하려고 더 많이 피게 된다.
Ⅶ. 건강상식과 잠(수면)
점심 시간 직후인 5교시 수업 시간에는 여기저기 조는 친구들이 눈에 띈다. 배가 부르면 왜 눈이 감기는 것일까?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산소나 영양분을 몸의 각 부분으로 실어 나르기 위한 피의 양은 우리 몸무게의 약 8%이다. 그것은 몸 전체가 동시에 움직인다면 형편없이 부족한 양이지만, 피는 몸의 어디서나 똑같은 양이 움직이지는 않는다. 피는 우리 몸에서 자주 움직이는 곳에 더 많이 흐른다.
그렇기 때문에 음식을 먹으면, 그것을 소화시키기 위해 위가 열심히 움직이게 되며, 따라서 위로 많은 양의 피가 모이게 된다. 이처럼 위에 많은 피가 모이게 되면 뇌 부분에 흐르던 피의 양이 자연히 줄어들어, 뇌의 활동이 둔해져 졸게 되는 것이다.
그렇다고 식사 후에 바로 심한 운동을 하거나 공부를 시작하면, 근육이나 머리 족으로 피가 모이게 되어 음식물을 소화시켜야 하는 위의 활동이 약해져 소화 기능이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식사 후에는 아무것도 하지 않고 얼마 동안 누워 있거나 아주 가벼운 운동을 하는 것이 좋다. 단, 누워 있을 때 잠을 자면 안 된다. 자면 소화 기능도 약해진다.
참고문헌
대한산업보건협회(2006) : 상식코너 - 잠에 대한 비밀, 대한산업안전협회
도다 하루미 외 1명(2009) : 다이어트 상식사전, 이퍼블릭
서정돈(1980) : 고혈압 의 상식, 조달청
이기찬(1980) : 암 에 대한 상식, 동부그룹
유현지(2010) : 건강백과 : 알면 알수록 건강해진다! -건강하게 치아 관리하는 “치아상식”, POBA행정공제회
현대양계사(1985) : 체질에 따른 올바른 식이요법, 현대양계사 현축
추천자료
양파에 관한 모든것... 유래, 원산지, 특성, 쓰임, 효능, 약리효과, 영양, 성분, 식이요법, ...
[아토피][아토피피부염]아토피(아토피피부염)의 정의와 원인, 아토피(아토피피부염)의 증상과...
심장질환(심장병, 심혈관계질환) 정의, 심장질환(심장병, 심혈관계질환) 종류, 심장질환(심장...
[대장질환] 궤양성대장염의 원인과 증상 및 식이요법, 변비의 원인과 식사요법치료(이완성변...
[당뇨병치료법] 당뇨병 치료를 위한 식이요법(식사요법), 운동요법, 약물요법(당뇨병 치료방법)
[당뇨병] 당뇨병의 병태생리, 당뇨병의 원인과 증상, 당뇨병의 종류(분류), 당뇨병 치료를 위...
[췌장질환] 췌장의 구조와 기능, 췌장질환의 종류 - 급성췌장염, 만성췌장염, 췌장암의 원인...
[소화기계질환의 치료식이요법] 위장질환의 식이요법 - 급성위염, 만성위염, 소화성궤양, 위...
[간질환] 간 질환의 종류와 원인 및 증상, 간염(급성간염, 만성간염), 간경변, 지방간, , 간...
[담낭질환] 담도의 구조와 기능, 담도질환(담석증, 담낭염, 담관염, 담낭암, 담관암) - 담낭...
[고혈압의 치료방법] 고혈압 치료의 식이요법(식사요법), 약물요법, 운동요법, 생활지도, 고...
[위장질환] 위의 구조와 기능, 위장질환(위질환)의 종류(급성위염과 만성위염), 소화성 궤양,...
[간장질환] 간의 구조와 기능, 간장질환의 병태생리, 간질환 환자의 대사성 장애, 간장질환(...
[장질환] 장염(급성장염, 만성장염), 변비증(이완성 변비, 경련성 변비, 장애성 변비), 지방...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