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개요
Ⅱ. 맑스주의(맑시즘, 마르크스주의)의 철학적 관점
Ⅲ. 한국철학의 철학적 관점
Ⅳ. 북한주체문화의 철학적 관점
Ⅴ. 애니메이션 원령공주의 철학적 관점
참고문헌
Ⅱ. 맑스주의(맑시즘, 마르크스주의)의 철학적 관점
Ⅲ. 한국철학의 철학적 관점
Ⅳ. 북한주체문화의 철학적 관점
Ⅴ. 애니메이션 원령공주의 철학적 관점
참고문헌
본문내용
운명을 좌우하는 정치적 요구에 따라 탄생된 민족종교이다. 천도교뿐 아니라 증산교, 대종교, 원불교 등 한국 민족종교의 기능을 하는 종교들은 거의 강력한 정치성을 지니고 출발하는데 이는 외세 제국주의의 저항정신으로 민중의 생존권 보장을 위한 개혁영성으로서의 면모가 종교성과 혼합되어 있는 문화전통이다. 이들 민족종교는 일종의 정치혁명으로 출발하여 역사발전과정을 거치면서 하나의 고등종교의 양식을 갖추게 된 것이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주체사상의 종교화 과정을 이해한다면 주체사상의 다원주의적 해석은 얼마든지 가능하다. 주체영성 또한 정치적 이념으로서 출발했다가 종교화 과정을 거쳐 고유문화로 남아 일종의 민족적 국가종교로 유지되고 있는 것이라고 본다.
Ⅴ. 애니메이션 원령공주의 철학적 관점
이 애니메이션의 주인공은 외면적으로는 비록 산과 에보시 그리고 아시타카라는 세 인물로 구성되어 있지만 작품의 내면으로 깊이 들어가 본다면 본질적인 주인공은 바로 자연으로 대표되는 숲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원령 공주>에서는 미야자키 하야오의 다른 어떤 작품보다도 숲으로 대표되는 자연에 대한 원형적 관심이 전적으로 드러난다. 숲을 둘러싼 인간과 정령, 많은 신들의 이야기는 원초적인 생명에 대한 경외심으로 표현된다. 인간의 멸망과 그것을 극복하고 구원하는 것은 바로 숲의 복원이라는 주제의식으로 자연과 인간의 필연적인 대립 안에서 자연의 실체를 더욱 부각시키고 있는 것이다. <원령 공주>의 시대 배경인 무로마치 시대(1392∼1573)는 일본 문화가 꽃피는 시기이자, 본격적인 자연 파괴가 시작되는 시기이다. 본래 무로마치 시대는 자연과 인간이 동등한 입장으로 존재하며 산신과 인간은 서로를 이해하며 공존할 수 있었다. 하지만 인간은 차츰 이러한 자연과의 공존보다는 자신들의 이익에 관계한 문명의 진화를 택했다. 자연과 인간이 공존하는 모든 곳에서 신은 인간에게 쫓겨나고 물러나게 되며, 그 자리는 인간의 탐욕과 파괴로 뒤덮이고 만다. 신들은 분노하여 자연을 지키려고 생명을 걸고 싸우지만 인간들의 힘은 약해진 그들을 차츰 능가하여 세상을 파괴시키고 있었다.
그러한 시대를 배경으로 무엇이 옳은가에 대한 질문을 아시타카라는 중간자적인 입장을 통해 바로 관객에게 질문을 던지고 있는 것이다. 이 작품 안의 인물들은 우리에게 무엇을 묻고 있는 것일까? 산의 입장과 같이 자연의 실체에 대해 아무런 조건 없이 받아드리기만 하는 자연회귀의 입장을 고수해야 하는 것일까? 아니면 우리 인간으로 대표되는 에보시와 같이 자연을 파괴시키며 문명을 발전시켜 나가야 하는 진보적인 입장에서 숲을 바라보아야 하는 것일까?
이 작품의 결말은 미묘한 여운을 남긴 채 해피엔딩으로 마무리 지어지려 하지만 단순한 이야기를 끝으로 이 작품은 결말을 짓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작품이 관객에게 던지는 질문처럼 자연으로의 회귀냐? 과학문명의 발전이냐? 즉, 인간은 어느 쪽의 견해에 속하여 자신들의 운명을 주도해 나가야 하는 것인가? 라는 두 가지 견해 사이에서 아시타카와 두 명의 대립적인 인물 산과 에보시가 내린 결론은 바로 공존이다. 사슴신의 희생으로 숲이 부활하게 되며 그들의 갈등이 일단락 지어지자 아시타카는 산에게 인간이 사는 곳으로 함께 가자고 제안하지만 산은 자연과 함께 하겠다는 뜻과 함께 각자의 길을 걷자고 한다. 에보시 또한 스스로가 겪은 자연의 존재를 실감하고 숲을 파괴하지 않고 발전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결심하고 새로운 마을을 건설하고자 한다. 아시타카는 그 대립적인 인물들의 갈등 사이에서 중간자적 입장으로 서로에게 이해할 수 있는 거리감의 폭을 좁혀주었으며 공존의 기회를 만들었다. 아시타카의 역할에서 우리가 느낄 수 있는 것은 서로간의 갈등과 대립이 아닌 공존과 절충의 이해가 있어야만 인간은 발전할 수 있다는 것이다.
참고문헌
1. 김병로(2000), 북한사회의 종교성: 주체사상과 기독교의 종교양식 비교, 통일 연구원
2. 루이 알튀세르 저, 서관모 백승욱 역(1996), 철학과 맑스주의, 샛길
3. 이남영(1986), 심재룡 편집(1989), \"동양철학- 그 두 가지 연구 방법\", 한국에서 철학하는 자세들, 집문당
4. 유민호 외 1명(2010), 미야자키 하야오 애니메이션의 컬러 시스템 분석 : 원령공주를 중심으로, 한국애니메이션학회
5. 양병무(2006), 철학적 관점에서 본 21세기 문화환경과 인문학, 순천향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6. 채창석(2011), 철학적 관점에 본 인성교육의 의미, 대구가톨릭대학교
Ⅴ. 애니메이션 원령공주의 철학적 관점
이 애니메이션의 주인공은 외면적으로는 비록 산과 에보시 그리고 아시타카라는 세 인물로 구성되어 있지만 작품의 내면으로 깊이 들어가 본다면 본질적인 주인공은 바로 자연으로 대표되는 숲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원령 공주>에서는 미야자키 하야오의 다른 어떤 작품보다도 숲으로 대표되는 자연에 대한 원형적 관심이 전적으로 드러난다. 숲을 둘러싼 인간과 정령, 많은 신들의 이야기는 원초적인 생명에 대한 경외심으로 표현된다. 인간의 멸망과 그것을 극복하고 구원하는 것은 바로 숲의 복원이라는 주제의식으로 자연과 인간의 필연적인 대립 안에서 자연의 실체를 더욱 부각시키고 있는 것이다. <원령 공주>의 시대 배경인 무로마치 시대(1392∼1573)는 일본 문화가 꽃피는 시기이자, 본격적인 자연 파괴가 시작되는 시기이다. 본래 무로마치 시대는 자연과 인간이 동등한 입장으로 존재하며 산신과 인간은 서로를 이해하며 공존할 수 있었다. 하지만 인간은 차츰 이러한 자연과의 공존보다는 자신들의 이익에 관계한 문명의 진화를 택했다. 자연과 인간이 공존하는 모든 곳에서 신은 인간에게 쫓겨나고 물러나게 되며, 그 자리는 인간의 탐욕과 파괴로 뒤덮이고 만다. 신들은 분노하여 자연을 지키려고 생명을 걸고 싸우지만 인간들의 힘은 약해진 그들을 차츰 능가하여 세상을 파괴시키고 있었다.
그러한 시대를 배경으로 무엇이 옳은가에 대한 질문을 아시타카라는 중간자적인 입장을 통해 바로 관객에게 질문을 던지고 있는 것이다. 이 작품 안의 인물들은 우리에게 무엇을 묻고 있는 것일까? 산의 입장과 같이 자연의 실체에 대해 아무런 조건 없이 받아드리기만 하는 자연회귀의 입장을 고수해야 하는 것일까? 아니면 우리 인간으로 대표되는 에보시와 같이 자연을 파괴시키며 문명을 발전시켜 나가야 하는 진보적인 입장에서 숲을 바라보아야 하는 것일까?
이 작품의 결말은 미묘한 여운을 남긴 채 해피엔딩으로 마무리 지어지려 하지만 단순한 이야기를 끝으로 이 작품은 결말을 짓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작품이 관객에게 던지는 질문처럼 자연으로의 회귀냐? 과학문명의 발전이냐? 즉, 인간은 어느 쪽의 견해에 속하여 자신들의 운명을 주도해 나가야 하는 것인가? 라는 두 가지 견해 사이에서 아시타카와 두 명의 대립적인 인물 산과 에보시가 내린 결론은 바로 공존이다. 사슴신의 희생으로 숲이 부활하게 되며 그들의 갈등이 일단락 지어지자 아시타카는 산에게 인간이 사는 곳으로 함께 가자고 제안하지만 산은 자연과 함께 하겠다는 뜻과 함께 각자의 길을 걷자고 한다. 에보시 또한 스스로가 겪은 자연의 존재를 실감하고 숲을 파괴하지 않고 발전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결심하고 새로운 마을을 건설하고자 한다. 아시타카는 그 대립적인 인물들의 갈등 사이에서 중간자적 입장으로 서로에게 이해할 수 있는 거리감의 폭을 좁혀주었으며 공존의 기회를 만들었다. 아시타카의 역할에서 우리가 느낄 수 있는 것은 서로간의 갈등과 대립이 아닌 공존과 절충의 이해가 있어야만 인간은 발전할 수 있다는 것이다.
참고문헌
1. 김병로(2000), 북한사회의 종교성: 주체사상과 기독교의 종교양식 비교, 통일 연구원
2. 루이 알튀세르 저, 서관모 백승욱 역(1996), 철학과 맑스주의, 샛길
3. 이남영(1986), 심재룡 편집(1989), \"동양철학- 그 두 가지 연구 방법\", 한국에서 철학하는 자세들, 집문당
4. 유민호 외 1명(2010), 미야자키 하야오 애니메이션의 컬러 시스템 분석 : 원령공주를 중심으로, 한국애니메이션학회
5. 양병무(2006), 철학적 관점에서 본 21세기 문화환경과 인문학, 순천향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6. 채창석(2011), 철학적 관점에 본 인성교육의 의미, 대구가톨릭대학교
추천자료
에피쿠로스 사상의 전개 및 삶의 방식에 관한 철학<고중세철학>
[종교][기독교와 타종교 비교][종교와 스포츠 비교][종교 철학 비교]종교 필요성, 종교 종류,...
[언어기호학][언어기호학 영역][신화][의미론][철학자]언어기호학의 개념, 언어기호학의 영역...
[도올 김용옥][도올][김용옥][종교철학][저서][과학시대][도올 김용옥의 강의]도올 김용옥의 ...
[종교][신앙][종교 성격][종교 기능][종교 이론][종교분쟁][철학][심리학][종교 문제점]종교...
[예술][예술의 상대성과 절대성][예술과 미][예술과 도덕][철학][과학]예술의 정의, 예술의 ...
[근세, 근세시대, 근세시대, 근세건축, 근세교육, 근세철학]근세(근세시대)와 근세시대, 근세...
[서양근세, 서양근세 무신론, 서양근세 역사, 서양근세 철학, 서양근세 교육, 서양근세 르네...
[3M(쓰리엠), 경영혁신, 기업철학, 인사관리, 연구개발, 환경활동]3M(쓰리엠)의 연혁, 3M(쓰...
[동양, 동양윤리, 동양사상, 동양철학, 동양의학(한의학), 동양예술]동양과 동양윤리, 동양과...
[법, 법과 법률, 법과 법령, 법과 법규, 법과 법학, 법과 법신학, 법과 법철학, 법과 법치주...
[루치아노 베네통][베네통][창의성][색상철학]루치아노 베네통의 특징, 루치아노 베네통의 역...
[서양, 스파르타, 봉건제도, 원시주의, 철학, 가치관]서양의 스파르타, 서양의 봉건제도, 서...
[동양, 동양 인물화, 동양 예술, 동양 서예, 동양 무도, 동양 철학, 동양 불교, 동양 법가,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