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대화가족치료이론
◉전략 가족치료이론
◉ 구조 가족치료이론
◉정신분석적 대상관계 가족치료이론
◉전략 가족치료이론
◉ 구조 가족치료이론
◉정신분석적 대상관계 가족치료이론
본문내용
가족치료 이론 중 한가지를 선정하여 주요기법과 주요내용을 상세히 조사하여 제출하기
예 : 경험주의 가족치료라면 의사소통 유형에 대한 상세한 내용의 조사와 가족조각이라든지 그 이론 안에서 중요하게 여기는 용어에 대한 설명을 구체적으로 언급해야 합니다.
그리고 그 이론을 다 조사하여 레포트를 작성한 후에 자신의 소감을 피력해야 합니다.
그 이론에 대하여 새롭게 안 점 혹은 장점 혹은 어려운 점 등에 대하여 언급하는 것이 부가점수요령입니다.
대화가족치료이론
1. 기원 및 주요인물
대화이론은 그레고리 벳슨의 정신분열증 환자의 가족을 연구한 사람들과 돈 잭슨의 정신세계연구소의 사람들에 의해서 만들어졌다. 1950년대 이중구속의 대화의 형태을 발견, 폴 와츨라위크는 1960년대에 인간의 변화를 대화 형태라는 측면에서 연구함.
로버트 피쉬의 제안에 의해 1966년에 단기치료센터가 MRI에 세워졌고, 와츨라위크는 여기서 그의 동료들과 대화의 관점을 연구함.
2. 이론의 기초
2.1. 공리모델 : 인간은 대화를 하지 않을 수 없다. 인간의 모든 행동은 대화라는 의미를 지닌다. 모든 행동은 언어를 통한 대화와 언어가 아닌 행동을 통한 대화 모두를 포함한다.
2.2. 표현모델 : 인간의 마음을 이해하고자 하는 일은 현재 표현된 대화를 이해하는 일이다. 인간의 마음의 기능은 사람들과의 관계 속에서 대화를 통해서 표현된다. 대화는 한 사람이 가지고 있는 마음을 표현하는 수단이며 이러한 수단을 이해할 때 그 사람의 마음은 충분히 이해된다.
2.3. 흐름모델 : 대화의 형태는 끊임없이 연속되는 흐름으로 존재한다. 대화의 시작과 끝은 알 수 없다. 단지 사람들이 자신들의 목적에 따라서 연속된 흐름을 끊어서 이해할 뿐이다.
3. 주요 개념 및 원리들
3.1 모든 행동은 대화라는 원리
3.2 내용과 관계의 원리
3.3. 디지털과 아날로직의 원리
3.4 대칭과 상보의 원리
4. 역기능 대화의 형태들
4.1 대화를 부정하는 역기능
4.2 규정된 관계를 부정하는 역기능
4.3 병리적 의존의 역기능
4.4 불일치의 역기능
4.5 경쟁과 남용의 역기능
5. 치료의 목표 및 방법
5.1 치료의 목표 : 역기능의 상호작용을 바꾸는 일이다. 역기능의 상호작용은 대화이론에 있어서 대화의 형태를 의미한다. 가족들이 가지고 오는 증상은 대화의 역기능 형태로 이해되기 때문에 치료자는 증상을 강화하는 행동들을 하지 못하도록 한다. 이러한 경로나 방식들이 발견되면 이를 차단하거나 고정된 역기능의 대화의 형태를 기능의 대화의 형태로 바꾸어 주는 일이 치료의 주된 목표가 된다. 치료의 활동은 가족들이 자신들이 어떤 대화의 형태를 가지고 있는가 하는 점을 보도록 이루어진다. 이렇게 자신들이 하는 대화를 보면서 대화를 하도록 하는 활동을 메타대화라고 한다.
5.2 치료의 방법
① 가르치기 : 가족을 대화이론의 관점에서 어떻게 이해하고 받아들이며 행동해야 하는가를 이해하도록 한다. 즉 대화의 규칙을 이해하고 받아들이며 행동해야 하는가를 이해하도록 한다.
② 분석하기 : 가족 구성원들이 가지고 오는 역기능 대화를 찾아내는 일이 된다.
③ 해석하기 : 가족들로 하여금 자신들이 가지고 있는 대화의 역기능의 형태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이해하도록 하는 작업이다.
④ 조정하기 : 역기능의 대화의 형태를 바꾸기 위한 여러 가지 치료의 전략을 의미한다. 역설의 방법 사용하기.
전략 가족치료이론
1. 기원 및 주요인물
전략가족치료이론은 크게 네 가지 주류들로 나누어진다. MRI(Mental Research Institute), 버지니아 새티어, 제일 헤일리와 끌로에 마다네스, 밀란 그룹
2. 이론의 기초
2.1 전략모델 : 밀턴 에릭슨은 문제의 발생기원들을 설명하지 않는다. 단지 이들은 가족들이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 말하며 치료자들이 지시하는 대로 행동하기를 원한다.
2.2. 사이버네틱 모델 : 가족들이 서로에 대해서 어떻게 피드백을 주는가 하는 점에 초점을 맞춘다. 가족들의 상호자
예 : 경험주의 가족치료라면 의사소통 유형에 대한 상세한 내용의 조사와 가족조각이라든지 그 이론 안에서 중요하게 여기는 용어에 대한 설명을 구체적으로 언급해야 합니다.
그리고 그 이론을 다 조사하여 레포트를 작성한 후에 자신의 소감을 피력해야 합니다.
그 이론에 대하여 새롭게 안 점 혹은 장점 혹은 어려운 점 등에 대하여 언급하는 것이 부가점수요령입니다.
대화가족치료이론
1. 기원 및 주요인물
대화이론은 그레고리 벳슨의 정신분열증 환자의 가족을 연구한 사람들과 돈 잭슨의 정신세계연구소의 사람들에 의해서 만들어졌다. 1950년대 이중구속의 대화의 형태을 발견, 폴 와츨라위크는 1960년대에 인간의 변화를 대화 형태라는 측면에서 연구함.
로버트 피쉬의 제안에 의해 1966년에 단기치료센터가 MRI에 세워졌고, 와츨라위크는 여기서 그의 동료들과 대화의 관점을 연구함.
2. 이론의 기초
2.1. 공리모델 : 인간은 대화를 하지 않을 수 없다. 인간의 모든 행동은 대화라는 의미를 지닌다. 모든 행동은 언어를 통한 대화와 언어가 아닌 행동을 통한 대화 모두를 포함한다.
2.2. 표현모델 : 인간의 마음을 이해하고자 하는 일은 현재 표현된 대화를 이해하는 일이다. 인간의 마음의 기능은 사람들과의 관계 속에서 대화를 통해서 표현된다. 대화는 한 사람이 가지고 있는 마음을 표현하는 수단이며 이러한 수단을 이해할 때 그 사람의 마음은 충분히 이해된다.
2.3. 흐름모델 : 대화의 형태는 끊임없이 연속되는 흐름으로 존재한다. 대화의 시작과 끝은 알 수 없다. 단지 사람들이 자신들의 목적에 따라서 연속된 흐름을 끊어서 이해할 뿐이다.
3. 주요 개념 및 원리들
3.1 모든 행동은 대화라는 원리
3.2 내용과 관계의 원리
3.3. 디지털과 아날로직의 원리
3.4 대칭과 상보의 원리
4. 역기능 대화의 형태들
4.1 대화를 부정하는 역기능
4.2 규정된 관계를 부정하는 역기능
4.3 병리적 의존의 역기능
4.4 불일치의 역기능
4.5 경쟁과 남용의 역기능
5. 치료의 목표 및 방법
5.1 치료의 목표 : 역기능의 상호작용을 바꾸는 일이다. 역기능의 상호작용은 대화이론에 있어서 대화의 형태를 의미한다. 가족들이 가지고 오는 증상은 대화의 역기능 형태로 이해되기 때문에 치료자는 증상을 강화하는 행동들을 하지 못하도록 한다. 이러한 경로나 방식들이 발견되면 이를 차단하거나 고정된 역기능의 대화의 형태를 기능의 대화의 형태로 바꾸어 주는 일이 치료의 주된 목표가 된다. 치료의 활동은 가족들이 자신들이 어떤 대화의 형태를 가지고 있는가 하는 점을 보도록 이루어진다. 이렇게 자신들이 하는 대화를 보면서 대화를 하도록 하는 활동을 메타대화라고 한다.
5.2 치료의 방법
① 가르치기 : 가족을 대화이론의 관점에서 어떻게 이해하고 받아들이며 행동해야 하는가를 이해하도록 한다. 즉 대화의 규칙을 이해하고 받아들이며 행동해야 하는가를 이해하도록 한다.
② 분석하기 : 가족 구성원들이 가지고 오는 역기능 대화를 찾아내는 일이 된다.
③ 해석하기 : 가족들로 하여금 자신들이 가지고 있는 대화의 역기능의 형태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이해하도록 하는 작업이다.
④ 조정하기 : 역기능의 대화의 형태를 바꾸기 위한 여러 가지 치료의 전략을 의미한다. 역설의 방법 사용하기.
전략 가족치료이론
1. 기원 및 주요인물
전략가족치료이론은 크게 네 가지 주류들로 나누어진다. MRI(Mental Research Institute), 버지니아 새티어, 제일 헤일리와 끌로에 마다네스, 밀란 그룹
2. 이론의 기초
2.1 전략모델 : 밀턴 에릭슨은 문제의 발생기원들을 설명하지 않는다. 단지 이들은 가족들이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 말하며 치료자들이 지시하는 대로 행동하기를 원한다.
2.2. 사이버네틱 모델 : 가족들이 서로에 대해서 어떻게 피드백을 주는가 하는 점에 초점을 맞춘다. 가족들의 상호자
추천자료
[아동복지][아동복지정책][아동복지서비스]아동복지(아동복지정책, 아동복지서비스) 발전 과...
일일 드라마 살맛납니다 를 통해 살펴본 가족치료의 개입 사례와 그 이론들(2012년 추천 우수...
해결중심가족치료의 발달배경, 주요개념, 치료기법, 치료목표, 치료자역할 등을 서술하고 자...
해결중심가족치료(주요개념, 상담기법) PPT 파워포인트
가족대상실천기법 (보웬, 미누친, 사티어, 행동주의, 해결중심) 이론요약 보고서, 미누친의 ...
인지행동 모델 - 벡(Beck)의 인지치료. 엘리스(Ellis)의 합리적 정서행동치료, 스키너(Skinne...
가족상담및치료- 주제 : 경험적 가족치료의 주요개념중 하나는 자아 존중감이다. 자아존중감...
[가족미술치료] 가족미술치료기법(미술활동의 이론적 배경, 미술치료과정)
[경험적 가족치료] 경험적 가족치료의 주요개념 중 하나는 자아존중감인데 자아존중감을 높일...
[인지치료이론] 아론 벡(Beck)의 인지치료 - 인지치료의 주요개념과 상담과정 및 상담기법
이야기치료 이론(발달배경,주요개념,치료기법)에 대하여 서술하시오
가족대상 사회복지실천에서 활용될 수 있는 여러 가지 가족치료모델의 특징과 주요개념을 이...
가족상담및치료)경험적 가족치료의 주요개념중 하나는 자아존중감이다. 자아존중감을 높일 수...
가족상담및치료)경험적 가족치료의 주요개념 중 하나는 자아존중감이다. 자아존중감을 높일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