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구조, 한자구조와 한자어, 한자구조와 부건, 한자구조와 어근, 한자구조와 필획, 한자구조와 고사성어]한자구조와 한자어, 한자구조와 부건, 한자구조와 어근, 한자구조와 필획, 한자구조와 고사성어 분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자구조, 한자구조와 한자어, 한자구조와 부건, 한자구조와 어근, 한자구조와 필획, 한자구조와 고사성어]한자구조와 한자어, 한자구조와 부건, 한자구조와 어근, 한자구조와 필획, 한자구조와 고사성어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한자구조와 한자어

Ⅲ. 한자구조와 부건
1. 부건의 의미
2. 부건의 범위와 층차

Ⅳ. 한자구조와 어근
1. 활성어근
2. 비활성어근

Ⅴ. 한자구조와 필획

Ⅵ. 한자구조와 고사성어

참고문헌

본문내용

글자도 필획으로 적용될 수 있고, 그 수효는 제한되어 있다.(李圭甲 1999 : 2 참조)
필획의 종류는 바로 筆形(혹은 劃形이라고도 함) 종류라고 볼 수 있다. 필획의 여러가지 형태가 바로 필형이기 때문이다. 좀 더 상세히 말하면, 筆形이란 書藝에서 기본 筆劃과 그 방향이나 길이, 각도와 구부러진 정도가 각각 다른 여러 가지의 필획형태를 말하는 것으로, 이는 運筆의 과정에서 약간씩 변형이 일어난 것에 불과하며, 이를 필획과 완전히 다른 것으로 간주하지는 않는다.
이 필획의 형태는 “一(橫)(竪)()(點) (捺) (提), ㄱ(折), (鉤)”의 8종을 포함하여 28종으로 구분하는 사람도 있지만(劉國正 外 : 1998 : 400), 이중에 折과 鉤는 단독으로 존재한다기 보다는 竪鉤, 彎鉤, 斜鉤, 橫折, 折등과 같이 다른 것과 통합한 형태로 존재하여, 실질적으로 가장 기본적인 것은 “一(橫)(竪)()(點) (捺) (提)”의 6종류이다. 이들을 가장 쉽게 볼 수 있는 글자가 ‘永’자라 하여 처음 習字할 때, 이 글자를 대상으로 많이 연습했으나 사실은 ‘永’이 ‘提’를 보여주지 못하고 있고, 오히려 ‘求’가 이 여섯 종류의 필형을 다 갖추고 있다.
그런데 실제 한자를 쓰다보면 이 여섯 가지와 약간 다른 것들이 있는데, 그것들은 모두 이 기본필형에서 파생되어 나온 필획형태(필형)라고 볼 수 있다. 아울러 이 필형수는 글자의 필획을 어떻게 보는가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다. 대체적으로 볼 때 한자의 敎學이나 工具書의 검색을 위한 것에는 그 분류가 약간 적고, 서예가들은 좀 더 세분화하고 있다.
Ⅵ. 한자구조와 고사성어
고사성어
管鮑之交
過猶不及
曲學阿世
鷄鳴狗盜
한자음, 뜻
대롱관
고기포
갈 지
사귈교
지날과
같을유
아닐부
미칠급
굽을곡
배울학
아첨할아
세상세
닭 계
울 명
개 구
도둑도
고사성어의 뜻
관중과 포숙아 사이와 같은 사귐이란 뜻으로 시세를 떠나 친구를 위하는 두터운 우정을 일컫는 말
정도를 지나침은 미치지 못하는 것과 같다는 뜻.
도에서 벗어난 학문을 닦아 세상에 아부함.
닭의 울음 소리를 잘 내는 사람과 개 흉내를 잘 내는 좀 도둑이라는 뜻으로 선비가 배워서는 안 될 천한 기능을 가진 사람.
관련한자어
刎頸之交
金蘭之交
斷金之交
水魚之交
莫逆之友
助長
출전
「史記」
<管仲列傳>
「列子」
<力命篇>
「論語」
<先進篇>
「史記」
<儒林傳>
「史記」
<孟嘗君列傳>
고사성어
肝膽相照
乾坤一擲
結草報恩
大器晩成
한자음, 뜻
간 간
쓸개담
서로상
비칠조
하늘건
땅 곤
하나일
던질척
맺을결
풀 초
갚을보
은혜혜
큰 대
그릇기
늦을만
이룰성
고사성어의 뜻
서로 간과 쓸개를 거내 보인다는 뜻으로 서로 마음을 터 놓고 격이 없는 사귐.
하늘과 땅을 걸고 한번 주사위를 던진다는 뜻으로 흥하고 망하고 성공하고 실패를 운에 맡기고 단번에 일을 결정함
죽어 혼령이 되어도 은혜를 잊지 않고 갚음
큰 그릇은 만드는 데 오래 걸린다는 뜻으로 晩年이 되어 성공하는 것을 이름
관련한자어
披肝淡
= =+ 一擲乾坤
大才晩成
출전
<柳子厚墓地銘>
한유의<過鴻溝>
「春秋左氏傳」
「後漢書」
<馬援傳」
참고문헌
김일병, 한자 합성어의 구조와 형성에 대한 연구, 한국어교육학회, 2005
김일환, 한자의 언어구조와 주체관념의 상관성, 공주대학교국제교육원, 1994
송민영, 현대한자의 구조연구에 대한 고찰, 건양대학교인문과학연구소, 2001
송민영, 한자구조연구에 대한 고찰, 한국중문학회, 1999
이미숙, 한자 구조분석을 통한 한자의 이해력 신장 방안, 대진대학교, 2002
허시운, 한자어 의미 투명도 연구 : 구조, 구성 성분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2010

키워드

  • 가격6,5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3.07.18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6272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