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개요
Ⅱ. 권율 장군의 성장
Ⅲ. 권율 장군의 생애
Ⅳ. 권율 장군의 전설
Ⅴ. 권율 장군과 임진왜란
Ⅵ. 권율 장군과 행주대첩
참고문헌
Ⅱ. 권율 장군의 성장
Ⅲ. 권율 장군의 생애
Ⅳ. 권율 장군의 전설
Ⅴ. 권율 장군과 임진왜란
Ⅵ. 권율 장군과 행주대첩
참고문헌
본문내용
아와 천여 명의 군병을 모집하여 남원 전투에서 적을 크게 무찌르고 나주목사가 되었으나 부임 전에 전라도 순찰사가 되었다. 권율은 호남의 병사 만여 명을 이끌고 서울로 향하던 중 왜병이 금산을 거쳐 전라도로 진격하는 것을 알고 금산의 이치(梨峙)에서 동복현감 황진과 더불어 왜군을 막았다. 하루종일 싸우던 중 황진이 총을 맞아 사기가 떨어졌으나 권율이 독촉하여 이치 전투를 승리로 이끌었다. 이 전투의 승리로 전라도는 안전하게 보존될 수 있었다.
권율은 서울을 수복하기 위해 전라도 군사 만여 명을 행주산성에 집결시켜 성을 수리하고 목책을 만들어 대비하게 하였다. 병사 선거이는 시흥, 창의사 김천일은 강화, 충청감사 허욱은 통진에서 그를 응원토록 했다. 벽제관에서 승리한 왜병은 그 여세를 몰아 3만 여명의 군사로 행주산성을 공격해 왔다. 적은 3진으로 나누어 종일 9차례의 공격을 퍼부었으나 죽음을 각오한 필사 항전으로 적을 격퇴시켰다. 왜적은 큰 피해를 입고 퇴각하자 권율은 이를 놓치지 않고 추격하여 130여 명을 죽이고 적장에게도 큰 부상을 입히는 대승을 거두었다. 이 싸움에서 패한 적은 서울에서 철수하였으며 전세가 역전되는 전기가 되었다. 이 싸움에서 승리한 권율은 전라도 순찰사에서 도원수가 되어 왜적 토벌의 총사령관이 되었다.
전세 만회의 계기가 되었던 행주산성 전투의 주역은 호남인이 그 중심이었다. 권율 휘하의 병사 만여 명이 모두 전라도 군사였고, 그를 엄호했던 병사 선거이와 창의사 김천일도 모두 전라도 출신이었다. 그리고 왜적을 무찌르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던 신무기인 화차(火車)는 장성의 변이중이 발명하여 공급한 것이었다. 관군과 함께 용감하게 싸운 승병은 처영(處英)이 인솔한 해남 대흥사의 승병이었다. 그로부터 대흥사는 호국 사찰의 중심이 되었다.
이처럼 전세 반전의 계기가 되었던 임진왜란 3대첩의 하나였던 행주 대첩은 전적으로 호남인들의 활약으로 말미암은 것이었다.
참고문헌
ⅰ. 김규섭 외 2명, 조선시대 권율 장군 모역 주변 계획 설계, 한국전통조경학회, 2003
ⅱ. 박재광, 6월의 문화인물 : 권율, 문화체육관광부, 1999
ⅲ. 박재광, 임진왜란기 이순신과 권율, 순천향대학교 이순신연구소, 2009
ⅳ. 유한준, 권율·곽재우, 대일출판사, 2002
ⅴ. 최낙철, 도원수충장공 권율장군실기, 권율장군사적연구소, 1982
ⅵ. 한국문화예술진흥원, 충장공 권율, 한국문화예술위원회, 1999
권율은 서울을 수복하기 위해 전라도 군사 만여 명을 행주산성에 집결시켜 성을 수리하고 목책을 만들어 대비하게 하였다. 병사 선거이는 시흥, 창의사 김천일은 강화, 충청감사 허욱은 통진에서 그를 응원토록 했다. 벽제관에서 승리한 왜병은 그 여세를 몰아 3만 여명의 군사로 행주산성을 공격해 왔다. 적은 3진으로 나누어 종일 9차례의 공격을 퍼부었으나 죽음을 각오한 필사 항전으로 적을 격퇴시켰다. 왜적은 큰 피해를 입고 퇴각하자 권율은 이를 놓치지 않고 추격하여 130여 명을 죽이고 적장에게도 큰 부상을 입히는 대승을 거두었다. 이 싸움에서 패한 적은 서울에서 철수하였으며 전세가 역전되는 전기가 되었다. 이 싸움에서 승리한 권율은 전라도 순찰사에서 도원수가 되어 왜적 토벌의 총사령관이 되었다.
전세 만회의 계기가 되었던 행주산성 전투의 주역은 호남인이 그 중심이었다. 권율 휘하의 병사 만여 명이 모두 전라도 군사였고, 그를 엄호했던 병사 선거이와 창의사 김천일도 모두 전라도 출신이었다. 그리고 왜적을 무찌르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던 신무기인 화차(火車)는 장성의 변이중이 발명하여 공급한 것이었다. 관군과 함께 용감하게 싸운 승병은 처영(處英)이 인솔한 해남 대흥사의 승병이었다. 그로부터 대흥사는 호국 사찰의 중심이 되었다.
이처럼 전세 반전의 계기가 되었던 임진왜란 3대첩의 하나였던 행주 대첩은 전적으로 호남인들의 활약으로 말미암은 것이었다.
참고문헌
ⅰ. 김규섭 외 2명, 조선시대 권율 장군 모역 주변 계획 설계, 한국전통조경학회, 2003
ⅱ. 박재광, 6월의 문화인물 : 권율, 문화체육관광부, 1999
ⅲ. 박재광, 임진왜란기 이순신과 권율, 순천향대학교 이순신연구소, 2009
ⅳ. 유한준, 권율·곽재우, 대일출판사, 2002
ⅴ. 최낙철, 도원수충장공 권율장군실기, 권율장군사적연구소, 1982
ⅵ. 한국문화예술진흥원, 충장공 권율, 한국문화예술위원회, 1999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