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일본불교의 역사
1. 헤이안시대
1) 사이초(767-828)
2) 구카이(773-835)
2. 호넨의 정토신종 - 정토종
1) 겐심
2) 호넨
3. 신란의 정토신앙 - 정토진종
1) 비승비속
2) 악인 정기설
4. 잇펜의 정토신앙 - 시종
5. 니치렌이 ㅡ 법화경 절대주의 - 일련종
6. 선종의 개화
Ⅲ. 일본불교의 사상
1. 불타의 생애
2. 연기
3. 불교사상의 발전
Ⅳ. 일본불교의 포교
Ⅴ. 일본불교와 민족주의
Ⅵ. 결론
Ⅱ. 일본불교의 역사
1. 헤이안시대
1) 사이초(767-828)
2) 구카이(773-835)
2. 호넨의 정토신종 - 정토종
1) 겐심
2) 호넨
3. 신란의 정토신앙 - 정토진종
1) 비승비속
2) 악인 정기설
4. 잇펜의 정토신앙 - 시종
5. 니치렌이 ㅡ 법화경 절대주의 - 일련종
6. 선종의 개화
Ⅲ. 일본불교의 사상
1. 불타의 생애
2. 연기
3. 불교사상의 발전
Ⅳ. 일본불교의 포교
Ⅴ. 일본불교와 민족주의
Ⅵ. 결론
본문내용
과 2권에 실려 있는 신화를 記紀神話라고 한다. 記紀神話가 神道的인 세계관을 정치적, 문화적, 종교적인 용어로 표현하여 전체 일본을 신의 나라로 만들고 있다면, 풍토기에 실려 있는 신화와 설화는 특정 지역을 신성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일본인들의 상당수는 이들 신화를 상당히 신빙성 있는 이야기(the plausible history)로 생각하고, 이들 신화에 근거하여 자기 민족은 하나의 기원을 가진 특별하고 깨끗한 민족으로 믿고 있고, 또한 그 점을 강조한다.
도쿠가와 막부가 성립한 17세기 이후 18세기에 걸쳐서 ‘日本的 中華主義’가 생겨나고, 19세기 후반에서 20세기 전반에 ‘일본주의‘가 팽배할 수 있었던 것, 그리고 근래에 다시 ‘日本人論‘이 제기될 수 있었던 것은 모두 이와 같이 일본의 신화가 일본 민족이 인종적으로나 문화적으로 우월하다는 의식을 심어줄 수 있었기 때문이다.
일본의 민족주의가 이와 같이 비교적 잘 유지될 수 있었던 것은 神道 때문이다. 神道는 이스라엘의 유대교와 대비될 수 있다. 유대교가 이스라엘 민족주의 그 자체이듯이 神道는 일본 민족주의 그 자체이다. 그리고 미국주의(Americanism)라고 할 수 있는 미국의 공민종교가 개신교의 바탕을 두고 있다면, 일본 민족주의는 神道에 철저히 바탕을 두고 있다.
통계에 의하면, 일본의 神道 인구와 불교 인구는 합쳐서 전체 인구를 상회한다. 이 점은 일본인들이 신도와 불교를 함께 믿고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神道 안에는 불교적인 요소가, 그리고 불교 안에는 神道的인 요소가 함께 들어 있다. 따라서 일본에서는 神佛混合, 兩部神道라는 개념이 사용되기도 한다. 神道와 불교는 이와 같이 상호 많은 영향을 주고받았기 때문에 불교가 일본 민족주의적인 색채를 은연중에 지니고 있을 것이라는 점은 추측하기에 어렵지 않다. 일본 중세에 일어난 신불교 운동들 가운데 대부분은 法華經에 대한 해석을 토대로 하여, 일본이 불교를 통해 전 세계를 구제한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었다. 일본 불교의 이러한 사유방식은 현재까지 끊이지 않고 이어진다. 이러한 사유방식은 이스라엘 민족이 유대교를 통해 세계를 구원한다는 선민의식과 유사하다.
Ⅵ. 결론
불교는 기원전 5세기경 인도에서 비롯되어 6세기에 중국과 한국을 거쳐 일본에 전해졌다. 쇼토쿠 태자는 고구려의 승려 혜자로부터 불교를 받아들여 보호하였고, 그 뒤 백제로부터 기술자를 불러 호류지등 많은 사찰이 일본 각지에 세워졌다. 가마쿠라 시대에는 일부 엘리트를 위한 종교에서 민중의 종교로 바뀌었는데 호넨, 신란, 도겐, 니치렌 등의 승려들이 민중들에게 알아듣기 쉽게 도를 설파했기 때문이었다.
도쿠가와 시대에는 막부의 보호를 받아 크게 융성했으나, 지금은 선조 공양을 주로 하는 장례식 불교의 성격이 강하다. 불교는 신토와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발전하여 독특한 일본만의 신불신앙을 탄생시켰다. 현재 일본의 가정에는 신단과 불단이 함께 있는 경우도 흔하다. 이와같이 일본의 종교는 기존의 신토신앙을 중심으로 불교전래후 두 종교가 같이 전파되었 으며 현재도 일본인들의 생활의 기본이 되고 있다.
참고문헌
◎ 김천학(2010), 일본불교의 원측에 대한 인식, 한국사상사학회
◎ 김순석(2008), 근대 일본 불교 세력의 침투와 불교계의 동향, 인하대학교한국학연구소
◎ 원영상(2011), 근대 일본불교의 현실참여와 아나키즘, 한국일본근대학회
◎ 이미나 외 1명(2010), 일본불교의 침투와 한국불교 사찰건축에 대한 영향 Ⅰ, 한국건축역사학회
◎ 제점숙(2011), 일본불교의 근대인식과 개항기 조선, 한국일본근대학회
◎ 한상길(2009), 한국 근대불교의 형성과 일본, 일본불교, 한국사상문화연구원
도쿠가와 막부가 성립한 17세기 이후 18세기에 걸쳐서 ‘日本的 中華主義’가 생겨나고, 19세기 후반에서 20세기 전반에 ‘일본주의‘가 팽배할 수 있었던 것, 그리고 근래에 다시 ‘日本人論‘이 제기될 수 있었던 것은 모두 이와 같이 일본의 신화가 일본 민족이 인종적으로나 문화적으로 우월하다는 의식을 심어줄 수 있었기 때문이다.
일본의 민족주의가 이와 같이 비교적 잘 유지될 수 있었던 것은 神道 때문이다. 神道는 이스라엘의 유대교와 대비될 수 있다. 유대교가 이스라엘 민족주의 그 자체이듯이 神道는 일본 민족주의 그 자체이다. 그리고 미국주의(Americanism)라고 할 수 있는 미국의 공민종교가 개신교의 바탕을 두고 있다면, 일본 민족주의는 神道에 철저히 바탕을 두고 있다.
통계에 의하면, 일본의 神道 인구와 불교 인구는 합쳐서 전체 인구를 상회한다. 이 점은 일본인들이 신도와 불교를 함께 믿고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神道 안에는 불교적인 요소가, 그리고 불교 안에는 神道的인 요소가 함께 들어 있다. 따라서 일본에서는 神佛混合, 兩部神道라는 개념이 사용되기도 한다. 神道와 불교는 이와 같이 상호 많은 영향을 주고받았기 때문에 불교가 일본 민족주의적인 색채를 은연중에 지니고 있을 것이라는 점은 추측하기에 어렵지 않다. 일본 중세에 일어난 신불교 운동들 가운데 대부분은 法華經에 대한 해석을 토대로 하여, 일본이 불교를 통해 전 세계를 구제한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었다. 일본 불교의 이러한 사유방식은 현재까지 끊이지 않고 이어진다. 이러한 사유방식은 이스라엘 민족이 유대교를 통해 세계를 구원한다는 선민의식과 유사하다.
Ⅵ. 결론
불교는 기원전 5세기경 인도에서 비롯되어 6세기에 중국과 한국을 거쳐 일본에 전해졌다. 쇼토쿠 태자는 고구려의 승려 혜자로부터 불교를 받아들여 보호하였고, 그 뒤 백제로부터 기술자를 불러 호류지등 많은 사찰이 일본 각지에 세워졌다. 가마쿠라 시대에는 일부 엘리트를 위한 종교에서 민중의 종교로 바뀌었는데 호넨, 신란, 도겐, 니치렌 등의 승려들이 민중들에게 알아듣기 쉽게 도를 설파했기 때문이었다.
도쿠가와 시대에는 막부의 보호를 받아 크게 융성했으나, 지금은 선조 공양을 주로 하는 장례식 불교의 성격이 강하다. 불교는 신토와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발전하여 독특한 일본만의 신불신앙을 탄생시켰다. 현재 일본의 가정에는 신단과 불단이 함께 있는 경우도 흔하다. 이와같이 일본의 종교는 기존의 신토신앙을 중심으로 불교전래후 두 종교가 같이 전파되었 으며 현재도 일본인들의 생활의 기본이 되고 있다.
참고문헌
◎ 김천학(2010), 일본불교의 원측에 대한 인식, 한국사상사학회
◎ 김순석(2008), 근대 일본 불교 세력의 침투와 불교계의 동향, 인하대학교한국학연구소
◎ 원영상(2011), 근대 일본불교의 현실참여와 아나키즘, 한국일본근대학회
◎ 이미나 외 1명(2010), 일본불교의 침투와 한국불교 사찰건축에 대한 영향 Ⅰ, 한국건축역사학회
◎ 제점숙(2011), 일본불교의 근대인식과 개항기 조선, 한국일본근대학회
◎ 한상길(2009), 한국 근대불교의 형성과 일본, 일본불교, 한국사상문화연구원
추천자료
[불교계 경기체가][서방가][미타찬][안양찬]불교계 경기체가의 형태, 불교계 경기체가와 서방...
[불교, 터미널케어, 불법, 보살 및 아미타불, 민간신앙]불교와 터미널케어, 불교와 불법, 불...
[불교용어, 출가, 가람(사찰, 사원)]불교용어와 출가, 불교용어와 가람(사찰, 사원), 불교용...
[불교, 불교 유아관, 불교 인간관, 불교 사생관, 불교 죽음관, 불교 종단관, 불교 해탈관, 유...
[불교불상, 불교, 불상, 불교불상 의미, 불교불상 유형, 불교불상 표현방식, 불교불상 수인]...
[불교사회복지, 불교복지]불교사회복지(불교복지)의 대상, 전달체계, 불교사회복지(불교복지)...
[불교, 불교적 상상력, 불교적 진리판별, 불교적 역사의식, 불교적 사생관, 불교적 청소년, ...
[신라불교, 신라불교 특징, 신라불교 성격, 신라불교 시기구분, 신라불교 수용, 신라불교 발...
[중국불교, 중국불교와 불교전래, 중국불교와 선재동자, 중국불교와 선종, 중국불교와 당왕조...
[불교][불국정토][불법][불구][십이연기설][정혜결사운동][환경윤리][현대과학]불교와 불국정...
[불교용어][불교][공][선][윤회][아라한][조속예불][불타][입정]불교용어와 공(空), 불교용어...
[한국불교][불교][한국불교 중요성][한국불교 전개][한국불교 전통윤리][한국불교 예불의식]...
[불교, 불교와 선종, 불교와 힌두교, 불교와 향가, 불교와 불구, 삼국시대, 청소년비행, 노인...
[불교복지, 불교사회복지]불교복지(불교사회복지)의 주체, 불교복지(불교사회복지)의 전달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