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개요
Ⅱ. 기면증(기면병)의 정의
Ⅲ. 기면증(기면병)의 증상
1. 주간수면과다증
2. 수면발작
3. 탈력발작
4. 수면마비
5. 입면시 환각
6. 자동행동
7. 잠에 취한 상태
8. 야간수면시의 장애
Ⅳ. 기면증(기면병)의 원인
Ⅴ. 기면증(기면병)의 치료
1. 행동적 접근
1) 좋은 수면위생
2) 계획된 낮잠
3) 주변인에 대한 교육
2. 약물치료
Ⅵ. 결론
참고문헌
Ⅱ. 기면증(기면병)의 정의
Ⅲ. 기면증(기면병)의 증상
1. 주간수면과다증
2. 수면발작
3. 탈력발작
4. 수면마비
5. 입면시 환각
6. 자동행동
7. 잠에 취한 상태
8. 야간수면시의 장애
Ⅳ. 기면증(기면병)의 원인
Ⅴ. 기면증(기면병)의 치료
1. 행동적 접근
1) 좋은 수면위생
2) 계획된 낮잠
3) 주변인에 대한 교육
2. 약물치료
Ⅵ.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론 흔히 야간수면중에 이유 없이 자주 깨는 경향이 있다.
Ⅳ. 기면증(기면병)의 원인
유전적 배경이 강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나르코렙시 직계가족은 일반인의 40배 가까운 유병율을 보이며 인간의 백혈구에서 보여지는 HLA-DR2(and -DQwl)가 100% 관련되어 있다.
수면박탈, 불규칙한 수면-각성양상과 같은 수면의 부담이 악화요인이며 두부외상, 탈수초화, 뇌종양으로 인한 시상하부의 기능부전이 드문 원인으로 보고된 바 있다.
나르코렙시의 병리생리는 기본적으로 REM수면, NREM수면, 그리고 각성이라는 세가지 상태의 경계영역 통제의 장애로 인한 해리상태dissociation라고 할 수 있다. Klipke는 서파수면이 수면전반에 걸처 고르게 분포되고 수면시작 REM주기(sleep onset REM periods: SOREMPs)가 나타나고, 중심체온이 전진되어 있는 점을 들어 일중 수면-각성 리듬의 장애라고 하였다.
나르코렙시는 깨어있는 상태에서 정상적으로 유지되어야 할 망양계-피질의 각성 체계의 장애나 혹은 자가면역기전의 장애 때문이라는 설이 제시되기도 한다.
치료약물의 기전에 따라, 과도한 졸리움과 수면발작에는 도파민성, 콜린성 신경원의 장애가 탈력발작에는 세로토닌성 신경원의 장애가 제시되고 있으나 확립된 이론은 아직 없는 형편이다.
Ⅴ. 기면증(기면병)의 치료
완치는 어려우나 행동의 변화와 약물을 적절히 사용함으로써 졸림증과 탈력발작의 증상을 없애거나 완화시킬 수는 있으며 장기적인 약물복용이 필요하다.
1. 행동적 접근
1) 좋은 수면위생
- 규칙적인 취침시간과 기상시간을 지킨다.
- 침실의 분위기를 시원하고 안락하고 차분하며 조용하게 만든다.
- 술을 금지한다.
- 기면병의 치료제를 너무 밤늦게 복용하지 않는다.
- 적당한 운동을 한다
2) 계획된 낮잠
규칙적으로 시간에 맞추어서 약 15분~30분 정도의 짧은 낮잠을 자는 것이 도움이 된다. 낮잠은 기면병 환자에서 졸음에 대한 보조치료적 역할을 한다.
3) 주변인에 대한 교육
이 병의 본질을 이해하여야 하고 환자의 낮잠의 필요성을 알아야 한다.
2. 약물치료
운동항진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각성을 유발할 수 있는 것으로 보이는 약물 중 하나다.
모다피닐인데, 모다피닐은 기면증 치료로 대중화된 약이다. 모다피닐과 암페타민은 모두 정상적인 사람과 기면증 환자들에 각성상태를 강화한다. 그리고 두 약물 모두 시냅스 공간에서 도파민을 수송하는 분자가 제거된 쥐들에게는 아무런 효과도 발휘되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각성상태가 뇌의 신호체계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음을 알 수 있는 현상이다.
Ⅵ. 결론
수면은 일일리듬의 범위에서 일어날 뿐만 아니라 수면을 하는 동안에도 여러 미묘한 리듬이 나타난다. 잠자는 동안 사람들은 다섯 가지 분명한 단계를 순환하게 된다. 그 다섯 가지 수면 단계는 1단계 수면, 2단계 수면, 서파수면(3, 4단계 수면), REM 수면으로 구분된다.
1단계는 과도기적인 단계로서 5분에서 10분 정도 지속된다. 근육긴장과 체온이 저하됨에 따라서 호흡과 심장박동률이 감소한다. 이 때 EEG 유형은 각성시의 β파에서 졸음 단계의 α파를 거쳐서 저 주파수의 θ로 변화된다. 수면주기가 2, 3, 4단계로 진행됨에 따라 호흡, 심장박동, 근육강도 및 체온은 계속 하강한다.
2단계에서는 뇌파가 아주 짧은 기간동안 폭발하는 듯한 수면방추(sleep spindle)가 나타난다. 점차적으로 뇌파는 진폭이 높고 빈도가 낮아지면서 서파수면(slow-wave sleep)이라 부르는 깊은 잠에 빠지게 된다. 서파수면이란 3, 4단계의 수면을 말하는데, 이 단계에서는 저빈도의 Δ파가 가장 현저하게 나타난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잠든 지 한 시간 이내에 서파수면에 도달하게 되는데, 이 수면은 약 30분 정도 지속된다. 그리고 수면주기는 역전되어 더 낮은 더 낮은 수면단계로 이동한다.
참고문헌
방양원 외 1명(2009), 소아 기면증의 진단과 치료, 대한소아신경학회
신홍범(2010), 기면증 : 임상 양상, 진단 그리고 치료, 대한수면의학회
이향운 외 1명(2000), 각성장애로 발현한 기면증의 변종, 대한수면의학회
주민경(2008), 기면증과 과다수면의 진단: 국제수면질환분류 제2판을 중심으로, 대한수면연구학회
주은연 외 1명(2004), 기면증과 과다수면을 유발하는 다른 질환들, 대한수면연구학회
한선정 외 3명(2008), 기면증 환자의 진단에서 반복적 다중수면잠복기검사의 유용성, 대한수면연구학회
Ⅳ. 기면증(기면병)의 원인
유전적 배경이 강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나르코렙시 직계가족은 일반인의 40배 가까운 유병율을 보이며 인간의 백혈구에서 보여지는 HLA-DR2(and -DQwl)가 100% 관련되어 있다.
수면박탈, 불규칙한 수면-각성양상과 같은 수면의 부담이 악화요인이며 두부외상, 탈수초화, 뇌종양으로 인한 시상하부의 기능부전이 드문 원인으로 보고된 바 있다.
나르코렙시의 병리생리는 기본적으로 REM수면, NREM수면, 그리고 각성이라는 세가지 상태의 경계영역 통제의 장애로 인한 해리상태dissociation라고 할 수 있다. Klipke는 서파수면이 수면전반에 걸처 고르게 분포되고 수면시작 REM주기(sleep onset REM periods: SOREMPs)가 나타나고, 중심체온이 전진되어 있는 점을 들어 일중 수면-각성 리듬의 장애라고 하였다.
나르코렙시는 깨어있는 상태에서 정상적으로 유지되어야 할 망양계-피질의 각성 체계의 장애나 혹은 자가면역기전의 장애 때문이라는 설이 제시되기도 한다.
치료약물의 기전에 따라, 과도한 졸리움과 수면발작에는 도파민성, 콜린성 신경원의 장애가 탈력발작에는 세로토닌성 신경원의 장애가 제시되고 있으나 확립된 이론은 아직 없는 형편이다.
Ⅴ. 기면증(기면병)의 치료
완치는 어려우나 행동의 변화와 약물을 적절히 사용함으로써 졸림증과 탈력발작의 증상을 없애거나 완화시킬 수는 있으며 장기적인 약물복용이 필요하다.
1. 행동적 접근
1) 좋은 수면위생
- 규칙적인 취침시간과 기상시간을 지킨다.
- 침실의 분위기를 시원하고 안락하고 차분하며 조용하게 만든다.
- 술을 금지한다.
- 기면병의 치료제를 너무 밤늦게 복용하지 않는다.
- 적당한 운동을 한다
2) 계획된 낮잠
규칙적으로 시간에 맞추어서 약 15분~30분 정도의 짧은 낮잠을 자는 것이 도움이 된다. 낮잠은 기면병 환자에서 졸음에 대한 보조치료적 역할을 한다.
3) 주변인에 대한 교육
이 병의 본질을 이해하여야 하고 환자의 낮잠의 필요성을 알아야 한다.
2. 약물치료
운동항진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각성을 유발할 수 있는 것으로 보이는 약물 중 하나다.
모다피닐인데, 모다피닐은 기면증 치료로 대중화된 약이다. 모다피닐과 암페타민은 모두 정상적인 사람과 기면증 환자들에 각성상태를 강화한다. 그리고 두 약물 모두 시냅스 공간에서 도파민을 수송하는 분자가 제거된 쥐들에게는 아무런 효과도 발휘되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각성상태가 뇌의 신호체계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음을 알 수 있는 현상이다.
Ⅵ. 결론
수면은 일일리듬의 범위에서 일어날 뿐만 아니라 수면을 하는 동안에도 여러 미묘한 리듬이 나타난다. 잠자는 동안 사람들은 다섯 가지 분명한 단계를 순환하게 된다. 그 다섯 가지 수면 단계는 1단계 수면, 2단계 수면, 서파수면(3, 4단계 수면), REM 수면으로 구분된다.
1단계는 과도기적인 단계로서 5분에서 10분 정도 지속된다. 근육긴장과 체온이 저하됨에 따라서 호흡과 심장박동률이 감소한다. 이 때 EEG 유형은 각성시의 β파에서 졸음 단계의 α파를 거쳐서 저 주파수의 θ로 변화된다. 수면주기가 2, 3, 4단계로 진행됨에 따라 호흡, 심장박동, 근육강도 및 체온은 계속 하강한다.
2단계에서는 뇌파가 아주 짧은 기간동안 폭발하는 듯한 수면방추(sleep spindle)가 나타난다. 점차적으로 뇌파는 진폭이 높고 빈도가 낮아지면서 서파수면(slow-wave sleep)이라 부르는 깊은 잠에 빠지게 된다. 서파수면이란 3, 4단계의 수면을 말하는데, 이 단계에서는 저빈도의 Δ파가 가장 현저하게 나타난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잠든 지 한 시간 이내에 서파수면에 도달하게 되는데, 이 수면은 약 30분 정도 지속된다. 그리고 수면주기는 역전되어 더 낮은 더 낮은 수면단계로 이동한다.
참고문헌
방양원 외 1명(2009), 소아 기면증의 진단과 치료, 대한소아신경학회
신홍범(2010), 기면증 : 임상 양상, 진단 그리고 치료, 대한수면의학회
이향운 외 1명(2000), 각성장애로 발현한 기면증의 변종, 대한수면의학회
주민경(2008), 기면증과 과다수면의 진단: 국제수면질환분류 제2판을 중심으로, 대한수면연구학회
주은연 외 1명(2004), 기면증과 과다수면을 유발하는 다른 질환들, 대한수면연구학회
한선정 외 3명(2008), 기면증 환자의 진단에서 반복적 다중수면잠복기검사의 유용성, 대한수면연구학회
추천자료
약물사용(알콜,흡연,아편,환각제,수면제)에 대하여
동기와 정서 Summary(William James & William McDougall의 이론 비교 및 문제점/초기의 ...
[영아의 신체 운동] 영아기 신체운동 발달 - 아동의 신체성장, 영아의 손의 조작능력, 영아의...
[아동건강교육] <영유아 건강교육> 영유아의 건강교육과 관련된 내용의 청결, 치아, 배변, 휴...
신생아의 발달단계별 건강관리 (신생아의 건강요인, 신생아의 건강증진, 수면과 휴식, 위생 ...
영유아 건강교육 방법의 다양한 접근에 대해 설명하고 바람직하지 않는 건강지도의 각 실제 ...
[영유아발달] 영아기(&#23344;兒期)의 발달적 변화 - 수면의 변화, 영아기 두뇌 발달, 뇌...
[보육학개론] 영역별 발달 특성 - 신체발달(physical development) 및 운동발달(motor develo...
전치태반 모성 케이스입니다 간호진단 3개입니다 - 1. 침습적 수술로 인한 감염 위험성, 2. ...
양성전립선비대증(BPH) 케이스 스터디 case study - 문헌고찰, 통증, 지식부족, 수면장애 간...
[노인건강문제관리] 노인의 일상생활에서의 간호, 생활환경과 안전, 개인위생, 운동, 영양과 ...
유아기 아동의 건강증진( 1. 영양 2.보완 및 대체의학 3.수면과 활동 4.치아건강 5.안전증진...
유아기아동의 건강증진 A+ (1. 영양 2. 보완 및 대체의학 3. 수면과 활동 4. 치아건강 5. 안...
정신약물치료, 항정신병약물, 항불안제, 기분안정제, 항파킨슨약물, 진정제, 수면제, 알츠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