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인슐린의 종류
1. 속효형 인슐린
2. 중간형 인슐린
3. 지속형 인슐린
Ⅲ. 인슐린의 기능
1. 인슐린의 기능
2. 혈당량 유지 방법
Ⅳ. 인슐린의 작용과 신호전달
Ⅴ. 인슐린의 사용
Ⅵ. 인슐린의 흡수율
1. 운동
2. 열
3. 주사기 깊이
4. 주사부위
5. 마사지
6. 흡연
Ⅶ. 결론
참고문헌
Ⅱ. 인슐린의 종류
1. 속효형 인슐린
2. 중간형 인슐린
3. 지속형 인슐린
Ⅲ. 인슐린의 기능
1. 인슐린의 기능
2. 혈당량 유지 방법
Ⅳ. 인슐린의 작용과 신호전달
Ⅴ. 인슐린의 사용
Ⅵ. 인슐린의 흡수율
1. 운동
2. 열
3. 주사기 깊이
4. 주사부위
5. 마사지
6. 흡연
Ⅶ.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으면 당뇨병이 아니더라도 요당이 나타나는 신장성(腎臟性) 당뇨도 있으므로 요당의 증명만으로는 당뇨병의 확정진단은 할 수 없다.
공복시 혈당측정은 하게도른법(法)으로 아침식사 전 공복시의 모세관의 혈당값이 140 mg/dℓ 이상이면 당뇨병으로 진단한다. 그러나 경증의 경우는 정상 범위 안에 있을 수도 있으므로 다음의 당부하시험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
당부하시험은 당뇨병에서의 당부하시험의 성적은 최고혈당값이 비정상적으로 높고, 부하 전 값으로의 회복이 늦어지는 것이다. 부하시험에는 탄수화물의 종류 양 투여방법 등에 따라 몇 가지의 방법이 있지만 가장 많이 쓰이는 것은 포도당 부하시험 포식시험(飽食試驗)이다. 다같이 투여 전, 투여 후 30분 1시간 2시간 3시간에 채혈 채뇨하여 혈당 요당을 측정한다. 혈당은 귓불 또는 손끝의 모세혈관과 정맥으로부터의 정맥혈을 쓰는 방법이 있다.
당뇨병의 식이요법으로 우선 하루 섭취 칼로리를 정한다. 표준체중을 기준하여 성인은 경노동의 경우 체중 1 kg당 25 kcal, 보통노동은 30~35 kcal, 중노동에는 40~50 kcal로 한다. 비만인은 다시 칼로리를 제한하여 표준체중에 가깝게 만들 필요가 있다. 다음에 탄수화물을 하루 150~300 g으로 한다. 이것을 쌀밥으로 환산하면 매일 1~2공기에 해당한다. 단백질은 성인의 경우 60~100 g, 노동하는 젊은이는 120~150 g이 필요하다. 지방은 총 필요 칼로리에서 탄수화물 단백질에 의한 칼로리를 뺀 나머지를 섭취하는데, 되도록이면 동물성 지방을 피하고 식물성 지방을 많이 취하도록 한다.
알코올 음료 중 맥주 청주는 탄수화물이 많고 위스키 브랜디는 탄수화물은 적지만 알코올의 함량이 많다. 위스키 80 mℓ(위스키잔으로 2잔)당 200 kcal이므로 쌀밥 150 g에 해당한다. 맥주 1병, 청주 1홉도 약 200 kcal를 낸다. 이것들을 하루의 총섭취 칼로리에 포함시켜 계산하면 알코올 음료를 특히 제한할 필요는 없다. 그러나 양을 초과하기 쉽고 식사의 양도 많아져서 하루의 총 섭취 칼로리를 초과할 우려가 있으므로 주의한다.
식사는 하루의 총 칼로리를 결정한 다음 여러 가지 종류의 것을 섭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그리고 하루에 취하는 칼로리를 환자의 최소 필요량으로 한다(영양가는 可食分만 계산함).
식이요법만으로는 충분히 조절할 수 없는 경우 인슐린 요법을 병용한다. 그러나 중년 이후에 발병한 경우 식이요법만으로 효과를 보지 못할 때는 경구적 혈당강하제인 술포닐 요소(尿素), 비구아니드(biguanide) 제제로 치료한다. 인슐린은 그 작용시간에 따라 지속형 중간형 즉효형으로 대별된다. 지속형 중간형은 하루 한 번의 주사로 효과가 지속되고, 중등증(中等症) 경증의 당뇨병 환자에게 사용하며, 즉효형은 작용의 지속시간이 짧기 때문에 하루에 2~3회 주사할 필요가 있고, 중증 당뇨병이나 당뇨병성 아시도시스에 쓰인다. 술포닐요소는 현재 수십 종류, 비구아나이드도 3종류 정도가 발매되고 있다. 젊은층의 당뇨병, 노년이라도 아시도시스가 있는 경우나 신장장애가 있는 경우, 수술할 때 등은 경구적 혈당강하제를 쓰지 않고 인슐린을 사용하는 것이 원칙이다.
참고문헌
김숙경(2010) - 제 2형 당뇨병 환자에서 인슐린의 사용과 조절, 메디아미
곽정은(2009) - 당뇨일기, 인슐린 치료에도 합병증이, 한국당뇨협회
이문규(2011) - 입원 환자에서 적극적 인슐린 치료, 메디아미
한국당뇨협회(2000) - 인슐린의 종류와 용법
황진순(2011) - 1형 당뇨병에서 인슐린 치료의 최신지견, Medifo
한만길(2008) - 당뇨병의 치료에 있어서 인슐린처치의 합병증, 로얄동물메디컬센터
공복시 혈당측정은 하게도른법(法)으로 아침식사 전 공복시의 모세관의 혈당값이 140 mg/dℓ 이상이면 당뇨병으로 진단한다. 그러나 경증의 경우는 정상 범위 안에 있을 수도 있으므로 다음의 당부하시험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
당부하시험은 당뇨병에서의 당부하시험의 성적은 최고혈당값이 비정상적으로 높고, 부하 전 값으로의 회복이 늦어지는 것이다. 부하시험에는 탄수화물의 종류 양 투여방법 등에 따라 몇 가지의 방법이 있지만 가장 많이 쓰이는 것은 포도당 부하시험 포식시험(飽食試驗)이다. 다같이 투여 전, 투여 후 30분 1시간 2시간 3시간에 채혈 채뇨하여 혈당 요당을 측정한다. 혈당은 귓불 또는 손끝의 모세혈관과 정맥으로부터의 정맥혈을 쓰는 방법이 있다.
당뇨병의 식이요법으로 우선 하루 섭취 칼로리를 정한다. 표준체중을 기준하여 성인은 경노동의 경우 체중 1 kg당 25 kcal, 보통노동은 30~35 kcal, 중노동에는 40~50 kcal로 한다. 비만인은 다시 칼로리를 제한하여 표준체중에 가깝게 만들 필요가 있다. 다음에 탄수화물을 하루 150~300 g으로 한다. 이것을 쌀밥으로 환산하면 매일 1~2공기에 해당한다. 단백질은 성인의 경우 60~100 g, 노동하는 젊은이는 120~150 g이 필요하다. 지방은 총 필요 칼로리에서 탄수화물 단백질에 의한 칼로리를 뺀 나머지를 섭취하는데, 되도록이면 동물성 지방을 피하고 식물성 지방을 많이 취하도록 한다.
알코올 음료 중 맥주 청주는 탄수화물이 많고 위스키 브랜디는 탄수화물은 적지만 알코올의 함량이 많다. 위스키 80 mℓ(위스키잔으로 2잔)당 200 kcal이므로 쌀밥 150 g에 해당한다. 맥주 1병, 청주 1홉도 약 200 kcal를 낸다. 이것들을 하루의 총섭취 칼로리에 포함시켜 계산하면 알코올 음료를 특히 제한할 필요는 없다. 그러나 양을 초과하기 쉽고 식사의 양도 많아져서 하루의 총 섭취 칼로리를 초과할 우려가 있으므로 주의한다.
식사는 하루의 총 칼로리를 결정한 다음 여러 가지 종류의 것을 섭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그리고 하루에 취하는 칼로리를 환자의 최소 필요량으로 한다(영양가는 可食分만 계산함).
식이요법만으로는 충분히 조절할 수 없는 경우 인슐린 요법을 병용한다. 그러나 중년 이후에 발병한 경우 식이요법만으로 효과를 보지 못할 때는 경구적 혈당강하제인 술포닐 요소(尿素), 비구아니드(biguanide) 제제로 치료한다. 인슐린은 그 작용시간에 따라 지속형 중간형 즉효형으로 대별된다. 지속형 중간형은 하루 한 번의 주사로 효과가 지속되고, 중등증(中等症) 경증의 당뇨병 환자에게 사용하며, 즉효형은 작용의 지속시간이 짧기 때문에 하루에 2~3회 주사할 필요가 있고, 중증 당뇨병이나 당뇨병성 아시도시스에 쓰인다. 술포닐요소는 현재 수십 종류, 비구아나이드도 3종류 정도가 발매되고 있다. 젊은층의 당뇨병, 노년이라도 아시도시스가 있는 경우나 신장장애가 있는 경우, 수술할 때 등은 경구적 혈당강하제를 쓰지 않고 인슐린을 사용하는 것이 원칙이다.
참고문헌
김숙경(2010) - 제 2형 당뇨병 환자에서 인슐린의 사용과 조절, 메디아미
곽정은(2009) - 당뇨일기, 인슐린 치료에도 합병증이, 한국당뇨협회
이문규(2011) - 입원 환자에서 적극적 인슐린 치료, 메디아미
한국당뇨협회(2000) - 인슐린의 종류와 용법
황진순(2011) - 1형 당뇨병에서 인슐린 치료의 최신지견, Medifo
한만길(2008) - 당뇨병의 치료에 있어서 인슐린처치의 합병증, 로얄동물메디컬센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