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현미경과 위상차현미경
Ⅱ. 현미경과 광학현미경
1. 광학 현미경을 위한 표본들의 준비와 염색
2. 분해능(해상력) : 실제적 한계
Ⅲ. 현미경과 공초점현미경
Ⅳ. 현미경과 형광현미경
Ⅴ. 현미경과 전자현미경
1. 투과전자현미경(transmission eletron microscope)
2. 주사전자현미경(scanning eletron microscope)
참고문헌
Ⅱ. 현미경과 광학현미경
1. 광학 현미경을 위한 표본들의 준비와 염색
2. 분해능(해상력) : 실제적 한계
Ⅲ. 현미경과 공초점현미경
Ⅳ. 현미경과 형광현미경
Ⅴ. 현미경과 전자현미경
1. 투과전자현미경(transmission eletron microscope)
2. 주사전자현미경(scanning eletron microscope)
참고문헌
본문내용
된 전자 파를 이용하여 훨씬 짧은 전자파를 사용하기 때문에 전자현미경을 사용하여 얻은 해상력은 광학적인 것의 100정도인 0.004㎛에 이르게 된다.
1. 투과전자현미경(transmission eletron microscope)
전자파가 표본을 투과하여 나온 전 beam을 몇 개의 magnetic lens를 써서 확대시킨 후 형광 screen에 영상을 형성케하는 것 이다. 세포내의 미토콘드리아, 엽록체, 골지체, 리보소옴, 리소조옴, 소포체등을 자세히 관찰할 수 있게 하여 준다.
2. 주사전자현미경(scanning eletron microscope)
전자파가 표본의 표면세서 반사되는 전 자 beam을 수용하여 형성하는 light signal 이 광전자중 배관(photo multiplier)에 의해 증폭된 eletric signal로 바뀌어 영상판에 나타나게 한다. 단세포로 되어 있는 박테리아 는 물론 동물의 혈구, 곤충의 체표면 등을 높은 해상력으로 관찰케 해준다.
참고문헌
▷ 김종안 외 4명(2009), 광학 현미경을 이용한 선표준물 측정 시스템 개발, 한국정밀공학회
▷ 김윤희(2008), 형광현미경의 임상적 활용에 대한 교재개발과 실기교육, 전주기전대학
▷ 김진태 외 2명(2010), 전자 현미경을 이용한 전자빔 리소그래피 장치의 구현, 한국물리학회
▷ 김종문 글, 임혜경 그림(2011), 현미경 속 작은 세상의 비밀, 예림당
▷ 송우섭 외 4명(2011), 공초점 현미경의 발전과 응용된 다양한 생물 연구 소개, 한국광학회
▷ 정수진(2009), 위상차현미경의 보급률 및 사용실태 조사연구, 단국대학교
1. 투과전자현미경(transmission eletron microscope)
전자파가 표본을 투과하여 나온 전 beam을 몇 개의 magnetic lens를 써서 확대시킨 후 형광 screen에 영상을 형성케하는 것 이다. 세포내의 미토콘드리아, 엽록체, 골지체, 리보소옴, 리소조옴, 소포체등을 자세히 관찰할 수 있게 하여 준다.
2. 주사전자현미경(scanning eletron microscope)
전자파가 표본의 표면세서 반사되는 전 자 beam을 수용하여 형성하는 light signal 이 광전자중 배관(photo multiplier)에 의해 증폭된 eletric signal로 바뀌어 영상판에 나타나게 한다. 단세포로 되어 있는 박테리아 는 물론 동물의 혈구, 곤충의 체표면 등을 높은 해상력으로 관찰케 해준다.
참고문헌
▷ 김종안 외 4명(2009), 광학 현미경을 이용한 선표준물 측정 시스템 개발, 한국정밀공학회
▷ 김윤희(2008), 형광현미경의 임상적 활용에 대한 교재개발과 실기교육, 전주기전대학
▷ 김진태 외 2명(2010), 전자 현미경을 이용한 전자빔 리소그래피 장치의 구현, 한국물리학회
▷ 김종문 글, 임혜경 그림(2011), 현미경 속 작은 세상의 비밀, 예림당
▷ 송우섭 외 4명(2011), 공초점 현미경의 발전과 응용된 다양한 생물 연구 소개, 한국광학회
▷ 정수진(2009), 위상차현미경의 보급률 및 사용실태 조사연구, 단국대학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