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청, 난청 정의, 난청 유형, 난청 원인, 난청과 난청인, 난청과 난청아(난청아동), 난청인, 난청아, 난청아동, 청각장애]난청의 정의, 난청의 유형, 난청의 원인, 난청과 난청인, 난청과 난청아(난청아동) 분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난청, 난청 정의, 난청 유형, 난청 원인, 난청과 난청인, 난청과 난청아(난청아동), 난청인, 난청아, 난청아동, 청각장애]난청의 정의, 난청의 유형, 난청의 원인, 난청과 난청인, 난청과 난청아(난청아동)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난청의 정의

Ⅲ. 난청의 유형
1. 선천성 난청이란
2. 후천성 난청이란

Ⅳ. 난청의 원인
1. 난청원인 : 노인성 난청
2. 난청원인 : 메니에르질환
3. 난청원인 : 돌발성 난청
4. 난청원인 : 소음성 난청

Ⅴ. 난청과 난청인
1. 정상인의 귀의 구조
1) 실험방법
2) 결과
2. 난청인의 귀의 구조
1) 고막과 추골의 이격
2) 내이와 등골의 이격
3) 고막과 추골의 접촉불량
4) 내이와 등골의 접촉불량
5) 이소골과 고막, 내이의 이격
3. 실험결과 분석

Ⅵ. 난청과 난청아(난청아동)

참고문헌

본문내용

에서 진행되기 때문에 환자들은 인식을 하지 못하다가 계속 소음에 노출되면 일반회화 음역인 2~3킬로헤르츠까지 파급되어 불편을 호소하기 시작하며 이러한 자각증상이 나타나면 정상적인 청력을 회복하기는 어렵다.
Ⅴ. 난청과 난청인
보청기를 사용하여 난청을 해소 하지만 난청은 고막과 중이의 이상이라고 할 수가 있다. 고막에 접촉되어 있는 추골에 이격이 생기거나 아니면 고막의 생김새가 중앙에 오목한 부위가 정상적으로 유지되어야 하는데 특히 물이 들어가 고막이 젖었다가 마를 때 오목부위가 늘어지거나 오므라들어서 변형이 생기면 추골과의 거리가 멀어져서 난청이 올 수밖에 없고 또 중이에 있는 3개의 뼈가 조금이라도 이상이 생기면 고막의 진동을 22배 증폭하는 구실을 못하게 되어 난청이 올 수도 있다고 생각된다.
추골과 고막, 내의와 등골의 이격이나 접촉 면적을 달리하여 소리의 전달 과정에서 오는 음의 세기와 이소골의 상태 변화, 고막과 내의의 이격으로 음의 전달 과정에서 오는 음의 세기를 측정하였다.
1. 정상인의 귀의 구조
1) 실험방법
정상인의 귀의 구조모형을 제작하여 외이에 45㏈ 투여하였다.
2) 결과
중이의 모형을 통과한 음은 증폭되어 55㏈이 측정되었다.
2. 난청인의 귀의 구조
1) 고막과 추골의 이격
① 실험방법 : 정상인의 귀의 구조모형에서 고막과 추골을 떨어지게 하여 45㏈을 투여하였다.
② 결과 : 중이의 모형을 통과한 음의 세기는 38㏈이 측정되었다.
2) 내이와 등골의 이격
① 실험방법 : 내이와 등골을 떨어지게 하여 45㏈을 투여하였다.
② 결과 : 중이의 모형을 통과한 음의 세기는 35㏈이 측정되었다.
3) 고막과 추골의 접촉불량
① 실험방법 : 고막과 추골의 접촉한 한 면을 떨어지게여 45㏈을 투여하였다.
② 결과 : 중이의 모형을 통과한 음의 세기는 42㏈이 측정되었다.
4) 내이와 등골의 접촉불량
① 실험방법 : 고막과 등골의 접촉한 한면을 떨어지게여 45㏈을 투여하였다.
② 결과 : 중이의 모형을 통과한 음의 세기는 40㏈이 측정되었다.
5) 이소골과 고막, 내이의 이격
① 실험방법 : 이소골과 고막, 내이가 떨어지게 하여 45㏈을 투여하였다.
② 결과 : 중이의 모형을 통과한 음의 세기는 30㏈이 측정되었다.
3. 실험결과 분석
난청인의 귀의 구조유형에 따른 실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고막과 추골의 접촉이 불량인 귀의 구조에서 산출된 음의 세기가 가장 높았다.
2) 이소골, 고막, 내이 모두 떨어져 있는 귀의 구조에서 산출된 음의 세기가 가장 낮았다.
3) 고막과 추골, 등골과 내이의 접촉이 양호한 귀의 구조를 통과한 음의 세기가 가장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Ⅵ. 난청과 난청아(난청아동)
난청아의 언어치료
①문제의 발음을 교정 개선하는 발음치료
②목소리의 질을 개선하는 목소리 치료
③부족한 언어를 확장 발전시키는 언어지도
난청아의 언어치료 목표: 난청자가 소리를 듣고 말하며 생활과 학습에의 불편을 최소화
발음치료의 출발은 보청기 적합부터 출발되어야 한다. 소리를 들어야 그 발음이 정착되고 잊어버리지 않는다.
참고문헌
김규상, 소음 노출과 일시적 난청, 대한산업보건협회, 2010
김규상 외 5명, 소음 노출로 인한 업무관련성이 높은 직업성 난청 사례, 한국청각언어재활학회, 2011
김규상, 일반 질환과 난청, 한국청각언어재활학회, 2011
권형준, 소음성 난청 예방을 위한 자가청력측정법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2010
박형우 외 2명, 잡음환경에서 휴대전화 사용에 따른 소음성 난청예방 기술에 관한 연구, 한국음향학회, 2011
신애화, 소음성 난청 메카니즘 규명 및 난청예방 연구, 원광대학교, 2011
  • 가격6,5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3.07.22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6424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